탑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개신동의 충북대학교박물관에 있는 석탑.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석탑이다. 흥덕구 산남동 속칭 원흥리 마을 뒤편(동쪽)에 있는 낮은 야산에 있었다. 당초부터 이곳에 있었던 것은 아닌 듯하다. 이웃마을(도 교육청 서쪽)의 이름이 탑곡(塔谷)인 점으로 보아 옛 절터(寺址)에서 옮겨온 것으로 추정된다. 이 석탑이 위치한 곳이 택지개발 지구로 개...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사직동 용화사 경내에 있는 석탑. 층급받침은 3단이나 각 단이 높고 넓은 것이 특징이다. 초층탑신석(初層塔身石)은 1매(一枚)로 조성되었다. 전면(前面)에는 우주(隅柱)가 없고 중심부에는 방형(方形)의 감실(龕室)이 마련되었으며 나머지 3면(面)에는 우주가 각출(刻出)되어 있다. 초층 지붕돌[옥개석(初層屋蓋石)]과 2층 탑신석(二層塔身石)은 1매석...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계산리에 있는 고려 시대 석탑. 청주 계산리 오층석탑(淸州 桂山里 五層石塔)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계산리의 사찰터에 있는 오층석탑이다. 사찰 이름을 알 수 없어 계산리사지로 불리고 있다. 계산리사지는 2019년 9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청주 계산리 오층석탑 주변에서 건물지와 진단구 등을 조사하여 사찰의 존재를...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한계리 백족사에 있는 고려 시대 삼층석탑. 백족사(白足寺)는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한계리 백족산(白足山) 중턱 남쪽 기슭에 있는 사찰이다. 사찰의 연혁을 알려 주는 문헌 자료는 없으나, 청주 백족사 삼층석탑(淸州 白足寺 三層石塔)과 대웅전에 봉안된 석조여래좌상을 보면 고려 시대 조영된 사찰임을 알 수 있다. 전설에 의하면, 조선 시대 세조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의 보살사에 있는 석탑. 2층 탑의 몸체[옥신]에 새겨진 ‘강희계미(康熙癸未)’라는 음각 명문에 의하여 1703년(숙종 29)에 건립된 것을 알 수 있다. 보살사 극락보전의 앞에 있는 조선시대 탑으로 기단부터 상륜부까지 잘 보존되어 있다. 지대석 위에 하대석을 대신하는 3단의 받침이 있고 그 위에 중판복엽(重辦複葉)의 복련화문(伏蓮...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탑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 ‘탑동’의 지명유래가 된 석탑으로 결실된 기단부와 2·3·4 층의 몸돌[옥신석] 및 4층 지붕돌[옥개석]을 제외하고도 현재 높이가 3.3m이니 당초에는 6m 이상 되는 장중하고 우수한 석탑이었을 것 이다. 상당구 탑동 일신여자고등학교 북쪽의 개인 주택 앞마당에 있는데, 원래는 현 위치에서 서쪽으로 약 4...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사동리의 안심사에 있는 조선 후기 세존사리탑. 청주 안심사 세존사리탑(淸州 安心寺 世尊舍利塔)은 법주사의 말사인 안심사에 있다. 석가세존의 사리를 봉안한 탑이다. 1976년 12월 21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변경되었다. 2024년...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사직동에 있는 위령탑. 6·25 전쟁 때 순국한 청주와 청원군 출신 전몰장병들의 넋을 위로하고 충의를 기리기 위해 1955년에 세운 위령탑이다. 흥덕구 사직동 청주방송[CJB] 뒷산인 사직산(社稷山)[87.4m] 위에 있다. 3단으로 구성된 현대식 석조 조형물로 높이는 12.3m이다. 평지보다 높게 흙으로 단을 쌓고 그 위에 기념탑을 세...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내덕동에 있는 학생독립기념탑. 청주농업학교 학생들에 의하여 주도된 3·1운동과 항일학생운동을 기념하기 위해 청주농업고등학교 동문회에서 건립하였다. 본래의 기념탑은 1982년 ‘나라 사랑 탑’이라는 이름으로 건립한 것이었는데, 지금은 1998년 8월 그 규모도 늘리고 명칭도 ‘청농학생독립운동기념탑(淸農學生獨立運動紀念塔)’으로 바꾸어 다시...
비
-
사적(事蹟)을 기념하기위해 세우는 돌. 비(碑)는 보통 비석 혹은 석비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 까지 석비가 그 숫자를 셀 수 없을 만큼 전국 곳곳에 많이 남아있다. 석비는 묘비와 탑비·능묘비 외에도 비문의 내용이 알려주는 역사적 사료로서의 금석문의 가치나 서체가 보여주는 서예사적 가치, 그리고 석비의 양식의 변천을 통해 미술사적 가치를 함께 보여주는...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율량동에 있는 조선시대 율봉도찰방(栗峰道察訪)을 지낸 김하련의 선정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 상당구 율량동 율봉공원의 율량동 고가 입구에 있는 4기의 비석 가운데 두번째 비석이다. 비석의 반 이상이 땅 속에 묻혀 있어 온전한 비석의 형태를 알아 볼 수 없었으나 율봉공원으로 이전하면서 원래의 상태로 세웠다. 비신의 규모는 높이 146....
-
청주성 탈환전에서 향토의병을 이끌었던 박춘무(朴春茂)[1544~1611]의 공적을 기리는 전적비. 195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7월 4일 지금의 복대동에서 거병하였으며, 8월 1일에 조헌(趙憲)[1544~1592]의 의병과 더불어 청주성 전투에 참여하여 청주성을 수복하였다. 그 뒤 진천지역으로 진격하여 진천지역의 왜적을 격퇴하였다. 임진왜란 때 육지 전투에서 최초의 승...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에 있는 영규대사(靈圭大師)[?~1592]의 공적을 기리는 전적비. 임진왜란 때 육상 전투에서 최초의 승리를 거둔 청주성 전투에서 승군(僧軍)을 이끌었던 영규대사의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1974년에 세운 전적비(戰蹟碑)이다. 청주시 내 중앙공원(中央公園) 동쪽 출입구 오른쪽 화단에 조헌(趙憲)[1544~1592] 전장기적비(戰場紀蹟碑) 옆...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에 있는 의병장 조헌(趙憲)[1544~1592]의 비석.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조헌의 청주성 탈환을 기념하기 위한 전적비(戰蹟碑)로 그가 죽은지 약 120년 뒤인 1710년(숙종 36)에 세워졌다. 상당구 서문동에 세웠던 것을 일제강점기 때 옮겨, 현재는 상당구 남문로2가 중앙공원(中央公園)의 동쪽 출입구의 오른쪽 화단에 서향으...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에 있는 김원근 설교기념비. 1924년에 대성보통학교를 설립하여 18년 동안 수업료를 받지 않고 일체의 운영비를 사재(私財)로써 충당한 설립자 김원근(金元根)[1886~1965] 선생의 뜻을 기리고자 1933년에 아동보호자 회원을 중심으로 한 청주 일대의 유지들이 대성보통학교 교정에 설립하였다. 상당구 수동 399번지 현재의 대성여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에 있는 대한민국 독립기념비. 1949년에 1945년 광복과 1948년 정부수립을 경축하기 위하여 세운 기념비이다. 상당구 남문로2가의 청주시내 중심가에 있는 중앙공원(中央公園) 남쪽 출입구 앞 남향에 있다. 2단대석 위에 다시 거북대좌를 설치하고 그 위에 높이 206㎝, 폭 87㎝, 두께 42㎝의 오석(烏石)의 비신碑身)을 세...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탑동에 있는, 민노아(閔老雅, F.S. Miller)와 부례선(富禮宣) 선교사를 기념하는 비. 청주지역 최초의 개신교(改新敎) 선교사(宣敎師)인 민노아(閔老雅)와 부례선의 행적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비석이다. 상당구 탑동의 일신여자고등학교 교정에 있다. 높이 154㎝, 폭44.5㎝. 두께 30.5㎝의 오석(烏石)의 비신(碑身...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외평동에 있는 임항조(林恒祚)와 채세환(蔡世煥)의 공적을 기념하는 비석. 1926년의 홍수 복구사업에 공헌한 임항조와 채세환의 공적을 기념하기 위해 1930년에 세운 공적비이다. 상당구 외평동 마을 입구의 청주에서 청주공항으로 가는 국도 변 오른쪽에 있다. 사각형의 화강암 받침돌 위에, 높이 123㎝, 폭 47㎝, 두께 18㎝의 비신을...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방서동에 있는 용지를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비석. 용지(龍池)를 기념하여 1983년 10월 마을 사람들의 이름으로 세웠으며, 비문은 한달우가 짓고 글씨는 한갑수가 썼다. 상당구 방서동 큰대머리마을 앞인 용개뜰의 농수원(農水源)으로 쓰이던 ‘용지’ 연못의 내력에 대해 기록하였다. 상당구 방서동 큰대머리마을 앞으로 청주...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영동에 있는 학생의거 기념탑. 1929년 항일학생운동을 주도한 청주고등보통학교(현재 청주중학교) 학생 7명의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1971년 11월 3일에 세웠다. 상당구 영동 청주중학교 교정에 있다. 본래의 기념탑은 1971년 11월 3일에 세운 것이나, 현재는 1997년 11월 3일 다시 세운 것이 남아 있다. 지금의 기념탑은 3단...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석곡동에 있는 박민준(朴敏俊)[1676~1744]의 묘비. 1728년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의병을 일으켜 반란군을 진압하는데 공적을 세운 박민준의 묘비로 1859년(철종 10)에 세웠다. 청주에서 청원군 부강으로 가는 서부도로의 충북공업고등학교 부근의 오른쪽 산자락에 위치하고 있다. 높이 186㎝, 폭 63㎝, 두께 37.5㎝이 오석...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에 위치한, 신항서원의 건립경위와 제향인물에 대해 기술한 비. 청주지역의 사림들이 주로 호서(湖西)지방의 훌륭한 유학자들의 신위를 신항서원에 모셔놓고 제향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상당구 용정동의 안말마을 뒷산자락의 평지에 서향으로 자리잡고 있다. 방형 받침돌[대좌] 위에 높이 190㎝, 폭74㎝, 두께 40㎝의 오석(烏石...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우암동에 있는 감동관(監董官) 이기상(李基相)의 불망비. 이기상이 근본에 힘써서 백성을 다스린 선정을 기리기 위하여 1901년에 세운 비석이다. 우암산 순환도로 삼일공원에서 청주대학교 가는 길 오른쪽 언덕 비선거리 7기의 비석 중 왼쪽부터 네 번째이다. 높이 142㎝, 폭 46㎝ 두께 27㎝ 비신(碑身) 위에 지붕돌[가첨석]을...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우암동에 있는 개항기 청주군수 이한응(李漢膺)의 불망비. 1901년에 청주군수를 지낸 이한응이 새로운 규범을 완성하는 등 선정을 베푼 것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비석이다. 상당구 우암동 우암산순환로의 삼일공원쪽에서 청주대학교로 가는 길 오른쪽 언덕에 있는 비석 중 왼쪽부터 다섯 번째이다. 높이 139㎝, 폭 48㎝, 두께 27㎝의 비신(碑...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에 있는 신태희(申泰羲)의 선정비. 조선 철종 대에 충청도 병마절도사영(兵馬節度使營)의 병마우후를 지낸 신태희의 선정을 기려 1859년(철종 10)에 세운 비석이다. 상당구 산성동 마을에서 서문으로 올라가는 길 왼쪽의 크고 넓은 자연석의 바위 위에 홈을 파고 세웠다. 방형 받침돌 위에 높이 139㎝, 폭 44㎝, 두께 1...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우암동에 있는 구완식의 비석. 조선 고종대에 충청절도사(忠淸節度使)를 지낸 구완식의 선정을 기리기 위하여 1893년에 세운 비석이다. 상당구 우암동 우암산 순회도로 청주대학교 부근의 속칭 비선거리에 있는 8기의 비석 중 왼쪽부터 세 번째에 있다. 사각의 화강암 받침돌 위에, 높이 132㎝, 폭 45㎝, 두께 25㎝의 비신을 세우고 그 위...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에 있는 표충사(表忠祠)의 이건 내력을 기록한 비석. 1731년(영조 7) 청주읍성(淸州邑城)의 북문 안에 표충사(表忠祠)를 1939년 도시계획에 밀려 지금의 자리로 옮기면서 그와 관련된 내력을 기록한 것이다. 상당구 수동 표충사(表忠祠) 안 내삼문으로 올라가는 계단 오른쪽 바깥 정원에 있다. 사각형의 받침돌 위에 높이 130㎝, 폭...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모충동에 있는 운호재단 설립자 강기용(康基用)[1917~1978]의 공적을 기리는 사적비. 학교법인 운호재단의 설립자인 강기용의 육영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1976년 9월 회갑을 맞아 후손들이 세운 사적비이다. 흥덕구 모충동의 서원대학교 내에 있다. 높이 181㎝, 폭 65㎝, 두께 32.5㎝ 의 오석(烏石)의 비신 위에 용을...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비하동에 있는 박춘무(朴春茂)[1544~1611]와 그 아들 손자 삼대에 걸친 창의를 기념하는 사적비. 임진왜란 때 청주성탈환에 공을 세운 박춘무, 이괄(李适)의 난·조청전쟁 때 의병을 일으킨 그 아들 박동명(朴東命)[1576~1636] 및 손자 박홍원(朴弘遠)[1606~?] 3대의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1992년에 세운 비석이다. 유도회 충청북도...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에 있는 삼충사의 사적비. 1731년(영조 7) 표충사(表忠祠)의 건립관련 내력을 기록한 비석이다. 상당구 수동의 표충사(表忠祠) 내 표충사(表忠祠) 본전(本殿) 오른쪽에 있다. 방형의 받침돌 위에 높이 246㎝, 폭 95㎝, 두께 38㎝의 오석(烏石)의 비신(碑身)을 세우고, 지붕돌[가첨석(加檐石)]을 얹었다. 전서(篆書)로 쓴 비...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에 있는 구룡사지의 사적비. 1764년(영조 40) 구룡사(九龍寺) 창건과 중창 내력 및 상당산성의 개축 사실을 기술한 비로, 은재거사(隱齋居士)가 비문을 짓고 글씨를 새겨서 건립했다. 상당구 산성동의 청주 상당산성 남문 옆에 있다. 높이 131㎝, 폭 54㎝, 두께 22㎝의 비신(碑身)을 세우고, 지붕돌[가첨석(加檐簷)]을 얹었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 속칭 산직말에 있었던 사적비. 1982년 3월에 운천동의 속칭 산직말이라는 곳에서 발견된 신라시대(新羅時代) 비석이다. 이 비석(碑石)은 우리나라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사적비(寺蹟碑)이다. 이 비(碑)는 정방형(正方形)의 형태로 3면에 비문(碑文)이 새겨져 있다. 규모는 높이 92㎝, 너비 91㎝, 두께 15~20㎝이며 재질은 화강암(花...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지북동에 있는 청주경씨의 사적비. 상당구 지북동에 세거해온 청주경씨의 문중에서 선대(先代)의 내력을 기념하기 위하여 1957년에 세운 비석이다. 23세손인 문인(門人) 경철호(慶哲浩)의 발의로 청주경씨 내력 및 주요 인물들에 대한 사적을 기록하여 후손들의 모범을 삼고자 한 것이라 하여, 비석을 건립한 목적을 기술하였다. 이곳 일대는 청주...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양지리에 있는 청풍 김씨 집안의 여종 삼월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조선 후기 비. 삼월(三月)은 청풍 김씨 집안의 여종이었다. 1489년(성종 20) 주인집 큰아들 김윤(金潤)이 태어난 지 3일 만에 어머니가 죽자 대신 젖을 먹여 키웠고, 김윤마저 18세에 유복자인 김숭의(金崇義)를 남기고 일찍 죽자 김숭의를 키워 후손들이 크게 번창할 수 있었다. 청풍...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 2가에 있는 김효성(金孝誠)[1585~1651]의 선정비. 1651년(효종 2)에 조선 인조(仁祖) 대에 청주목사(淸州牧使)를 지낸 김효성의 선정(善政)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비석이다. 상당구 남문로 2가 청주 시내 중심가에 있는 중앙공원(中央公園) 동편 화단에 서향으로 위치해 있다. 높이 128㎝, 폭 72㎝, 두께 19㎝의 하...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 2가에 있는 조선후기 청주목사 서유민의 선정비. 조선 후기에 청주목사를 지낸 서유민이 백성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관청건물을 보수한 선정을 기려 1842년(헌종 8)에 세운 비석이다. 남문로2가(南門路二街)의 중앙공원(中央公園) 내 동쪽 출입문으로 들어가면 바로 오른쪽에 있다. 높이 141㎝, 폭 43㎝, 두께 15㎝의 비갈(碑碣)...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에 있는 조선중기 청주목사 이경여(李敬輿)[1585~1657]의 선정비. 조선 인조(仁祖) 대에 청주 목사 이경여가 청렴결백하게 선정을 베푼 것을 기려 1631년(인조 9)에 세운 비이다. 남문로2가(南門路二街)의 청주시내 중심가에 있는 중앙공원(中央公園) 동편 담장 아래 화단에 서향에 위치해 있다. 거북대좌 위에 높...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에 있는 병마우후 이의장(李義長)을 기리는 마애선정비. 병마우후를 지낸 이의장의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만든 공덕비이다. 상당구 산성동의 명암저수지에서 오른쪽 산길, 산성으로 통하는 옛길 왼쪽 암벽에 새겼다. 평지에서 100㎝ 정도 위에 있는 높이 100㎝, 폭 120㎝ 정도의 거친 화강암 자연석에 높이 47㎝, 폭 120㎝로 다듬어...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에 위치한, 충청병사 민지열(閔趾烈)의 선정을 기리는 마애비. 상당구 산성동 것대봉수에서 시내쪽으로 내려오는 등산로 중턱 평지부의 오른쪽 자연석 바위에 3기의 선정비 중 왼쪽부터 두 번째이다. 평지에서 200㎝ 정도 위에 있는 거친 화강암 자연석에 너비 97㎝, 높이 52㎝로 비면을 다듬고, 다시 그 위로 지붕돌[가첨석(加簷石)]...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에 있는 충청병사 이삼(李參)의 선정을 기리는 비. 충청병사 이삼의 선정을 기려 조성한 마애선정비이다. 상당구 산성동 것대산(484.0m) 봉수에서 시내쪽으로 내려오다 평지부 오른쪽 암벽에 새긴 비 3개중 왼쪽부터 세 번째이다. 평지에서 200㎝ 정도 위에 있는 거친 화강암 자연석에 너비 95㎝ 높이 55㎝의 비면을 다듬고 그 위쪽...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우암동에 있는, 충청병영의 영장을 지낸 정종현(鄭宗鉉)의 치적을 기리는 선정비. 조선 고종대에 충청병영의 영장을 지낸 정종현의 선정을 기리기 위하여 1864년(고종 1)에 세운 비석이다. 상당구 우암동 우암산 순환도로 삼일공원에서 청주대학교 쪽으로 가는길 비선거리 7기의 비석 중 왼쪽부터 여섯 번째에 있다. 높이 97㎝, 폭 43㎝, 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율량동에 있는 허직의 선정을 기리는 비석. 조선 고종(高宗) 대에 율봉도찰방(栗峰道察訪)을 지낸 허직(許稷)의 선정을 기리기 위해 1865년(고종 2)에 건립하였다. 상당구 율량동 율봉공원의 율량동 고가 입구에 있는 4기의 비석 가운데 세번째 비석이다. 비석의 반 이상이 땅 속에 묻혀 있어 온전한 비석의 형태를 알아 볼 수 없었...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북문로1가에 있는 율곡(栗谷) 이이(李珥)[1536~1584]의 식송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 조선 중기 기호학파의 종장(宗長)이며, 정치가인 율곡(栗谷) 이이가 청주목사의 임기를 마치고 떠날 때 직접 소나무를 심은 사실을 기념하기 위해 1886년(고종 3)에 세운 표석이다. 소나무는 1946년에 고사하고 지금은 이 비석만 남아 있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에 있는 한봉수(韓鳳洙)[1883~1972]의 송공비. 근대의 의병장이자 독립운동가인 한봉수의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1967년에 세운 사적비이다. 청주시내 중심가에 있는 중앙공원(中央公園) 북쪽 출입구의 오른쪽 화단에 남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높이 191㎝ 폭 69㎝ 두께 39㎝의 오석(烏石)의 비신(碑身)을 세우고, 그 위에 두 마리 용...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정봉동에 있는 서광준[1910~1944] 지사의 송덕비. 독립운동가이며 지방유지로 활동한 서광준의 공적을 기려 1992년 1월 28일에 세운 추모비이다. 청주시 흥덕구 정봉동에 있다. 높이 151㎝, 폭 55㎝, 두께 23㎝의 오석(烏石)의 비신(碑身)을 세우고, 두 마리의 용이 다투는 듯한 형상의 이수(螭首)를 얹었다. 비의 제목은 ‘...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서동에 있는 김원근(金元根)[1886~1965]의 자선사업을 기리는 시혜비. 대성학원의 설립자 김원근이 일제강점기시 참의(參議)로 있었을 때 구휼 자선사업을 기려 세운 선행비이다. 흥덕구 강서동 반송말 강서파출소 옆의 도로변 공원에는 8기의 비석 중 왼쪽에서 네 번째이다. 높이 117㎝, 폭44㎝, 두께 20㎝의 오석(烏石)...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서동에 있는 박종대의 시혜비. 박종대의 육영사업과 자선사업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1980년에 세운 선행비이다. 흥덕구 강서동의 반송말 강서파출소 옆의 도로변 공원 8기의 비석 중 왼쪽부터 일곱 번째에 있다. 높이 86㎝, 폭 42㎝, 두께 18㎝의 오석(烏石)의 비신(碑身)을 세우고 지붕돌[가첨석(加檐石)]을 얹었다. 비의...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에 있는 고려 후기의 문신 곽예의 신도비. 고려 후기의 문신 연담공(蓮潭公) 곽예(郭預)[1232~1286]의 생애를 기록한 비석으로 1884년(고종 21년)에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에 위치한 연담공 묘소 입구에 세워졌다. 비의 총 높이는 2.3m이며, 방형 받침돌[대좌] 위에 높이 176㎝, 폭 61㎝, 두께 32㎝의 오석이다. 금석문 전면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에 있는 김우항의 신도비. 조선 숙종 대의 문신인 김우항의 신도비이다. 1964년 10월에 건립한 것으로 비문은 이종만(李種萬)이 짓고, 글씨는 변영인(卞榮寅)이 썼다. 상당구 산성동 청주에서 청원군 미원면으로 가는 국도변 왼쪽 언덕에 있다. 사각의 밭침대 위에 높이 143㎝, 폭 55㎝, 두께 25㎝의 오석(烏石) 비신을 세우고,...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수의동에 있는 박숭원(朴崇元)의 신도비. 조선 선조 대의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인 박숭원의 신도비이다. 비문은 황경원이 짓고, 윤용구가 글씨와 비액을 썼다. 그리고 박숭원의 외손인 송의섭이 이미 선조 대에 비문을 지었으며, 순조 대에 와서 비를 건립하게 된 내력에 대한 추기를 새겼다. 흥덕구 수의동 도장골마을 입구 왼쪽 언덕 위에 있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수의동에 있는 천곡(泉谷) 송상현(宋象賢)[1551~1592]의 신도비. 임진왜란 때 동래부사로 순국한 송상현의 신도비이다. 흥덕구 수의동의 강촌마을 묘소 아래 진입로 왼편에 있으며, 1984년에 충청북도 기념물 제66호로 지정되어 있다. 높이 280㎝, 폭 90㎝, 두께 26㎝의 비신(碑身)을 세우고 이수(螭首)를 얹었으며, 1980년...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신촌리에 있는 조선 후기 건립한 박훈의 신도비. 신도비는 높은 벼슬이나 학문적 성취를 이룬 인물의 묘소 앞에 세운 금석문으로 주인공의 세계(世系)와 생애, 주요 업적 등을 기록하였다. 박훈(朴薰)[1484~1540]은 본관이 밀양(密陽), 자는 형지(馨之), 호는 강수(江叟), 시호는 문도(文度)이다. 고조할아버지는 박절문(朴切問), 증조할아버지는 박...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관정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신중엄의 신도비. 신중엄(申仲淹)[1522~1604]은 본관이 고령(高靈), 자는 희범(希范)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신숙주(申叔舟), 증조할아버지는 신형(申泂), 할아버지는 신광윤(申光潤), 아버지는 신서(申漵)이다. 어머니는 진주 강씨와 전주 이씨이다. 음직으로 벼슬에 나아갔고, 임진왜란 때 군량을 제공하여 선무원종공신,...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대율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최명길의 신도비. 신도비는 높은 벼슬을 지냈거나 학문이 뛰어난 인물의 묘소 앞에 세운 금석문이다. 청주 최명길 신도비(淸州 崔鳴吉 神道碑)는 1702년(숙종 28) 세웠다. 최명길(崔鳴吉)[1586~1647]은 본관이 전주(全州), 자는 자겸(子謙), 호는 지천(遲川), 창랑(滄浪),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1605년(...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방서동에 있는 청주한씨(淸州韓氏)의 시조 한란(韓蘭)[?~?]의 출생지를 기념하여 세운 유허비. 청주를 본관으로 하는 대표적인 씨족 중의 하나인 청주한씨의 시조 한란의 출생를 기념하여 세운 유허비이다. 한란은 청주 지역 호족(豪族)으로 왕건(王建)이 후백제(後百濟)를 정벌하기 위해서 청주를 지날 때 군량미를 도와 삼중대광태위(...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방서동에 위치한, 무농정의 옛터를 기념하는 비. 한씨(韓氏) 문중에서 무농정의 옛 터에 세운 표석이다.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방서동 210-4의 대머리공원내에 있다. 높이 93㎝, 폭 40㎝, 두께 20㎝의 비갈(碑碣)모양의 비신(碑身)으로 세웠다. 앞면에 ‘무농정(務農亭)’이라 새기고, 뒷면에는 건립취지를 기술했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운동동에 있는 청주한씨(淸州韓氏) 시조 한란의 내력을 서술한 비석. 조선 선조 때 청주목사겸 청주진병마절제사로 부임한 한백겸(韓百謙)이 자신의 시조인 한란(韓蘭)[?~?]을 제사지내기 위해 1605년(선조 38)에 건립하였다. 한백겸은 한란의 유적을 고증하여 찾고, 그 동생인 이조참판 한준겸(韓浚謙)은 제사 때마다 후손들이 읽고 알 수 있도록 시조...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대성동 청주향교에 있는 홍재희(洪在羲)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선정비. 조선 고종 대에 충청병사(忠淸兵使)를 지낸 홍재희의 유학진흥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선정비이다. 비의 뒷면에 건립경위가 새겨져 있는데, 건립 시기는 “光緖十四年戊子二月日(광서14년 무자 이월일)” 즉 1888년(고종 25) 2월이고, 세운 이는 “本校西齋生立(본교서재생입)”이라...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에 있는 비석. 조선 고종(高宗) 때 흥선대원군이 집정하면서 1866년(고종 3)에 있었던 병인양요와 1871년에 있었던 신미양요를 통해 서양세력을 격퇴한 후 그 전승을 기념하고 척화를 강조하기 위해 1871년 4월 서울을 비롯하여 전국의 요충지에 척화비를 세웠다. 청주 척화비도 이때 세운 것이다. 상당구 남문로 2가...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원평동에 있는 홍재봉(洪在鳳)의 비석. 강서면장(江西面長)을 지낸 홍재봉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으로, 홍재봉은 까치내보[鵲川洑] 공사 및 식량증산에 많은 공적을 쌓았다. ‘1956년 7월 몽리자일동(蒙利者一同)’의 이름으로 세웠다고 되어 있으나 비석의 상태로 보아 최근에 다시 세운 것으로 보인다. 청주시 흥덕구 원평동에서 청원군...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비하동에 있는 의병장 박홍원(朴弘遠)[1606~?]의 비석. 1993년에 박홍원의 후손인 박화순(朴樺淳) 등이 이괄의 난을 진압하는데 공헌한 박홍원의 충절과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이다. 박홍원의 본관은 순천(順天)이며, 자는 상거(象巨)이고, 아버지는 박동명(朴東命)[1576~1636], 할아버지는 박춘무(朴春茂)[1544~1611]이다....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양청리에 있는 조선 전기 곽훈의 효자비. 곽훈(郭壎)은 본관이 청주(淸州), 자는 군응(君應)이다. 고조할아버지는 곽순(郭恂), 증조할아버지는 곽비(郭庇)[1415~1481], 할아버지는 곽희(郭僖), 아버지는 곽영형(郭英衡)이다. 효행 사실이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 권5에 ‘곽훈감호(郭壎感虎)’라고 실려 있다. 60세에 어머니상을...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운동동에 있는, 효자 양수척(楊水尺)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양수척은 조선 세조~성종 년간에 두 아우와 함께 청주에 살고 있었는데, 주위 사람들에게 많은 무뢰와 횡포를 저질렀을 뿐 아니라 늙은 어머니에게도 공손치 못하였다고 한다. 이에 노모는 항상 이들 형제들을 걱정하다 병이 들어 눕게 되고, 누운 채로...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에 위치하고 있는 전주이씨 종중 소유의 지석(자기판) 이제열 지석은 1987년 충남 청양군 낙지리에 있는 산소를 사초(莎草)하다가 묘 앞에서 사각형의 이색적인 옹기를 발견하여 파내면서 수습되었다. 다른 명칭으로 숭정 갑오년명 이제열 지석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이제열 지석의 주인공인 이제열(李齊說)[1635~1712]은 조선 숙종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 중앙공원(中央公園)내에 있는 비석 대좌. 청주시내 중심가인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 중앙공원(中央公園)내 동쪽편 아래 화단에 ‘목사 이경여(李敬輿)[1585~1657] 선정비(牧使 李敬輿 善政碑)’가 있다. 그리고 이 선정비 오른쪽으로 15m 되는 지점에 머리를 서쪽으로 한 거북대좌가 1기(基) 남아 있다. 거북대좌 윗부분에 비석(碑石)...
터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에 있었던 관청 자리. 산성동은 본래 청주군 산내이하면(山內二下面)에 속해 있던 지역이며, 상당산성의 안이 되므로 산성이라 한다. 지금의 산성동에 있었던 관터는 창말 북편 옛날 관아(官衙)가 있던 자리이다. 공남문에서 현재의 저수지를 통하여 북쪽 방향의 산 중턱에 남향의 다섯 칸 짜리 동헌(東軒)이 자리잡고 있었다. 동헌 앞쪽으로...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사창동에 있었던 사창(社倉) 자리. ‘사창(社倉)’은 조선시대에 각 고을의 환곡을 저장하여 두던 곳집(창고)으로서, ‘사창터‘는 이 사창이 있던 자리를 일컫는 이름이다. 1914년 일제 때 이 지역에 사창리(司倉里)라는 행정구역 명을 붙이면서 ‘사창’의 한자표기가 ‘司倉’으로 달라졌다. 사창 주변에는 ‘창말’이라는 마을이 있었다. 옛날 사창의 위치...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수곡동 쑥골에 위치한 조선시대 제방의 터. 이 제방은 기록으로 보아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데, 『여지도서(輿地圖書)』청주목 제언조에 ‘재주남오리주위칠백구십일척수심삼척(在州南五里周圍七百九十一尺水深三尺)’이라 하여 청주 남쪽 5리에 있으며 둘레가 7백 91척, 수심 3척으로 기록되어 있다. 택지개발과 함께 현재 청주 한솔초등학교의 운동장이...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주성동에 있었던 정자터. ‘이유당터’는 이유당(怡愉堂)이 있던 자리로 ‘이유당(怡愉堂)’은 청주 북쪽 10리되는 백화산 아래에 있었다. 참의(參議) 이덕수(李德洙)가 세웠다. 이유당(怡愉堂)이 세운 정자 이름이 ‘이유당(怡愉堂)’이다. 청원군 내수읍 구성리의 동쪽에 있는 주성동의 백화산 아래에 당이 있던 자리로 율량동과 주중동 사이에 있...
-
조선시대의 숙박시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인제원은 청주성 남쪽 6리에 있다.’라고 되어있고, 『청주읍지(淸州邑誌)』에는 ‘고을남쪽 6리에 있다. 16개의 원(院)이 옛날에 있었다. 옛터의 옆에 창(倉)을 세우고 객사를 두었다. 지금은 모두 폐하고 다만 신원(薪阮), 오근(吳根)이 사성(使星)을 보내고 맞는 장소이다.’고 한다. 현재 흥덕구 분평동 원...
-
조선시대의 숙박시설 정진원(情盡院)이 있던 터 원(院)이란 전국 각 역(驛)에 둔 숙박시설로 정진원(情盡院)이 이에 해당한다. 원의 설치목적은 공무연락자에게 숙식을 제공하고 공적임무를 띤 사람에게 편의를 제공하는데 있었다. 정진원은 청주에서 회인-보은- 문의-부강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한 숙박시설이었다. 정진원은 청주읍성(淸州邑城)의 남쪽 남석교 건너에 있었다. 『신증동국...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북문로2가에 위치한, 옛날 청주역이 있었던 자리. 1921년 11월 1일 조치원과 청주간의 충북선 개통으로 서문철교가 건설되었고 지금의 도청 방향의 사직로를 지나 중앙로와 교차하는 부근에서 북쪽으로 철로가 놓이면서 청주역이 건설되었다. 지금의 시청사거리 부근에 해당한다. ‘역전(驛前)’은 ‘구 역전 근처’로서 현재의 북문로2가와 북문로3가 사이를...
-
청주읍성의 남쪽 문이 있던 자리. 상당구 남문로 2가 남단에 있는 청주읍성 남문터는 청남문(淸南門)이라 하였으며, 홍예문·문루·옹성이 있었으나 일제 강점기에 모두 헐리어 성안에 있던 관아와 충청병영의 시설들도 없어졌다. 본래 남문 앞 옹성리(甕城里) 마을은 성안길의 남쪽 끝이며, 성곽도시였던 청주의 관문으로서 역할을 하였다. 남문터를 알리기 위해 1994년에...
-
청주읍성의 동쪽 문이 있던 자리. 청주읍성(淸州邑城)의 동문터는 개인문(開寅門 혹은 闢寅門)이라하였으며, 1910년대에 이른바 시구(市區) 개정사업 때 헐리었다. 동문의 안쪽에는 감옥과 용두사지(龍頭寺址) 철당간이 가까이 있었고, 홍살문을 지나는 큰 길이 청주목 관아와 연결되었으며, 문밖에는 잉어배미라 불리던 논과 그 동쪽으로 문외리 마을이 있었다. 성문 밖의...
-
청주읍성의 북쪽 문이 있던 자리. 상당구 북문로 1가와 2가의 경계에 있는 청주읍성의 북문터로 현무문(玄武門)이라고 하였으며, 홍예문과 문루, 옹성을 갖추고 있었으나 일제 강점기에 모두 헐렸고 북문 안쪽에 있던 표충사(表忠祠)는 수동으로 옮겨졌다. 1921년 북문 밖으로는 충북선 철로가 놓여졌었고, 지금은 청주의 중심로가 되었다. 1994년에 청주 문화사랑 모...
-
청주읍성의 서쪽 문이 있던 자리. 상당구 서문동 96번지에 있는 청주읍성 서문터는 서문동 오거리에서 성안길로 통하는 속칭 족발골목의 입구에 있다. 이곳은 청주읍성(淸州邑城)의 서문인 청추문(淸秋門)이 있었던 곳이나 일제 강점기인 1910년대에 이른바 시구 개정사업으로 헐리었다. 서문의 안에는 충청병영이 있었고 문밖에는 대교천 즉 지금의 무심천(無心川)이 흘렀으...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내곡동의 구릉 정상부(해발 74m)에서 확인된 청동기시대 전기의 움집. 흥덕구 내곡동의 서쪽 끝을 이룬 구릉 정상부에서 중부고속도로의 건설로 유적이 파괴될 상황에서 조사된 것이다. 해발 74m의 구릉 정상부 평탄면에서 남쪽으로 경사면이 시작되는 지점에 동서 길이 6.3m, 남북 너비 4.6m 크기의 긴네모꼴 움집터로, 부식 암반의 풍화토...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봉명동·송절동에 있는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의 집자리. 흥덕구 봉명동과 송절동 일원에 위치한 청주 봉명동유적에서는 신석기시대의 집자리와 청동기시대의 집자리가 조사되어 청주지역의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의 문화상을 이해하는데 좋은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청주지역에서 처음으로 조사된 것으로 행정구역상 송절동에 해당하는 봉명...
-
청동기시대의 생활유적. 청주 신봉·봉명동 지구 토지구획정리사업 추진계획에 따라 1993년 11월~12월에 걸쳐 지표조사를 실시하였고, 지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1998년 3월~5월에 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시굴조사를 통하여 확인된 유적의 성격·시대·분포범위 등에 따라 전체 조사대상지역을 Ⅰ~Ⅴ 지구로 구분하였다. 이중 Ⅳ지구는 원삼국기의 널무덤유고가 조밀하게 분포하고,...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사직동에 위치한, 조선시대의 사직단이 있었던 자리. 사직단은 천자(天子)나 제후(諸侯)가 토신(土神)인 사(社)와 곡신인 직(稷)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으로, 조선시대에는 한 해 농사의 풍년과 국태민안을 기원하기 위해 각 고을의 주, 군, 현에 사직단을 두었다. 청주의 사직단은 고려시대 공민왕(恭愍王)이 홍건적의 난을 피하여 청주에 와 있...
-
얼음을 저장하기 위해 만든 창고인 석빙고가 있었던 자리. 석빙고는 조선시대 고을마다 있었던 공용의 얼음 창고로, 겨울철에 얼음을 떠서 저장하였다가 여름 더위 때 사용하기 때문에 얼음이 녹지 않게 하기 위하여 지하에 설치하였다. 냉매(冷媒)는 주로 소금과 겨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록에 의하면 얼음을 채취하여 저장하는 일은 신라 때부터 있었으나 당시에 축조된 빙고는 현재 남...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상당산성 남문 진입로 부근에서 조사된 조선시대의 기와가마. 조사된 유구는 기와가마 1기이다. 가마는 북동쪽에서 남서 방향으로 경사진 지형의 화강암 부식토층을 굴착하여 만든 반지하식 등요로서, 연소실과 소성실 사이에 는 낮은 단벽이 설치된 일반적인 구조이다. 가마의 전체 형태는 장타원형이며 소성실은 너비의 큰 변화없이 직선적으로 연도에 이어진다. 전...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에 있는 조선 후기에 건립된 구룡사가 있었던 터. 『여지도서(輿地圖書)』를 비롯한 조선 후기의 각종 지리지에 남악사(南岳寺), 청심사(淸心寺)와 함께 상당산성 안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1744년(영조 20)에 상당산성의 승장 영휴(靈休)가 지은 필사본인『상당산성고금사적기(上黨山城古今事蹟記)』에 의하면 1720년(숙종 46)에 절...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에 있었던 남악사의 절터. 『여지도서(輿地圖書)』를 비롯한 조선 후기의 각종 지리지에 구룡사(九龍寺), 청심사(淸心寺)와 함께 상당산성 안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1744년(영조 20년)에 상당산성의 승장 영휴(靈休)가 지은 필사본인『상당산성고금사적기(上黨山城古今事蹟記)』에 의하면 1725년에 절도사 이태망(李台望)과 우후 이일(...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내곡동에 있는 조선 말기의 절터. 1986년 중부고속도로 건설 당시 머리 부분을 잃은 석조여래입상이 남아 있어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석조여래입상의 주변지역은 조선 말기에 세운 작은 절터로 밝혀졌고, 석불을 봉안하였던 원래의 절터는 38-1번지의 건물지로 확인되었다. 출토유물은 연꽃무늬와 해무리무늬가 베풀어진 수막새와 당초무늬, 해무리무늬 등이 있...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대성동, 현재 청주향교 자리에 있었던 고려시대 사찰의 터. 지금의 청주향교 자리에 있었던 고려시대의 사찰의 터인데, 문헌기록과 명문유물이 없어 절 이름과 유래를 알 수 없으나, 향교 일대에서 발견된 사찰과 관련된 기와 조각과 석조물들로보아 향교가 세워지기 이전에는 비교적 큰 규모의 사찰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청주향교의 여러 건물에는...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에 있는 대한불교수도원 자리에서 발견된 옛 절터. 문헌기록과 명문유물이 없어 절 이름과 연혁은 전혀 알 수 없으나, 주변에서 통일신라시대에서 고려시대에 이르는 기와 조각과 석조물 등이 발견되어 대략 사찰의 시기를 짐작할 수 있다. 지금의 대한불교수도원은 일제강점기에 일본 신사가 있었던 곳에 1952년에 신용화사(新龍華寺)라는 이름으로 창건되었으...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에 있었던 절터. 『여지도서(輿地圖書)』를 비롯한 조선 후기의 각종 지리지에 ‘목암(牧菴)’ 또는 ‘목우암(牧牛菴)’이라는 이름으로 나타나고 있다. 창건시기에 대한 문헌기록은 없으나, 출토유물로 보아 통일신라에 창건되어 조선 말기까지 번창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고려의 막새기와, 해무리굽 청자, 토기편 등이 다량으로 수습되고 있으며,...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사직동에 있는 고려시대 사찰 사뇌사의 터. 『조계진각국사어록(曹溪眞覺國師語錄)』에 "서원부사뇌사하안거(西原府思惱寺夏安居: 서원부 사뇌사에서 여름철 안거하였다)"라는 기록이 보여서 고려에 청주에 있던 대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유물이 발견된 곳은 대찰이 있을만한 곳이 아니어서 원 사지는 지금의 용화사 주변 지역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송절동에 위치한 고려시대 사찰의 터. 이 절터에 대한 문헌기록이 전혀 없어 사찰의 명칭은 물론 창건 및 폐사시기를 알 수 없으며, 단지 주변에서 발견되는 유물을 통하여 대략 고려시대에 작은 절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청주도축장에서 남쪽으로 통하는 덤박골고개에서 남쪽으로 약 200m 지점으로 신봉동과 송절동 사이에 형성된 야산의 북쪽...
-
조선시대 숙박시설인 오근원이 있었던 자리. 상당구 오동동에 해당하는 곳으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의하면 본래 오근부곡의 옛터를 오근원이라 한다 하였다. 오근부곡은 청주의 북쪽에 있으며, 동쪽으로는 청안현과 사십리 거리이고, 북쪽으로는 진천현과 삼십리, 서쪽으로는 목천현과 오십리, 남쪽으로는 청주와 삼십리 거리이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옛날에 오근원이...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에 위치한 고려시대 사찰 용두사의 터. 청주시내의 중심지에 자리하고 있는 용두사지(龍頭寺址)는 국보 제41호인 철당간이 남아 있는 관계로 널리 알려져 있다. 용두사의 창건과 폐사에 대한 문헌기록이 없어 자세한 연혁은 알 수 없다. 단지 1천년 이상을 제자리에 서있는 철당간의 당간기가 있어 절 이름뿐만 아니라 고려 초기의 상황을 어느 정도...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 무심천변에 위치한 절터. 문헌기록(文獻記錄)에 전혀 나타나지 않아 절 이름과 연혁은 알 수 없어 이 절터가 위치한 동명을 따서 ‘운천동사지(雲泉洞寺址)’라고 부르고 있다. 운천동사지(雲泉洞寺址)는 1970년에 이곳에 민가(民家)를 건축하던 중 청동으로 만든 범종(梵鐘) 안에 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 구양사명(句陽寺銘) 금고(金...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 속칭 산직말에 위치한 절터. 택지개발 전에는 마을의 민가(民家)에서 절터(寺址)의 유구(遺構)로 보이는 치석(治石)한 주초석(柱礎石)들이 있었다. 이곳은 1982년 3월 운천동 449번지에서 사적비(寺蹟碑)가 발견되면서 알려졌다. 청주 운천동 사적비(淸州雲泉洞寺蹟碑)라고 명명된 이 사적비는 원래의 위치에서 자주 옮겨진 상태로 발견...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에 위치한 고려시대 사찰 터. 이 절터에 대한 문헌자료의 기록이 없어 연혁을 알 수 없으나 1980년의 지표조사에서 ‘천흥사(天興寺)’라 쓰인 기와 조각이 수습되어 절터와 함께 옛 절의 이름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 절터에 대한 학술조사가 이루어지 않아 사역의 범위와 가람의 구조 등을 알 수 없지만, 주변에서 고려의 기와편이 다수 발견되고 있어...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에 위치한 조선 후기의 사찰 터. 조선 후기의 절터로 자세한 연혁은 알 수 없으나 『여지도서(輿地圖書)』를 비롯한 조선 후기의 각종 지리지에 구룡사(九龍寺), 남악사(南岳寺)와 함께 상당산성 안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충청도읍지(忠淸道邑誌)』에는 청심암(淸心菴)으로 기록된 것으로 보아 작은 암자였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여지도서(輿地圖書...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에 있었던 용두사 터에 있는 철제 당간지주. 밑에서부터 세 번째 철통에 철당간을 만들게 된 내력이 양각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주성(鑄成) 기록에 의하면 이 철당간은 준풍(峻豊) 3년(고려 광종 13, 962)에 건립되었다. 이 당간은 당시 청주지역의 대표적인 호족(豪族)세력인 당대등(堂大等: 戶長) 김예종(金芮宗)의 원(願)에 의하여 시...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사찰 터. 『직지』의 권말에 “선광 7년 정사 7월일 청주목 외곽의 흥덕사에서 활자로 주조하여 인출하다[宣光七年丁巳七月日 淸州牧外興德寺鑄字印施]”라는 간기가 남아 있어서, 『직지』가 청주 흥덕사에서 간행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져 청주 흥덕사의 존재도 주목받게 되었다. 기존에 연당리사지로 알려졌던 곳에서 1985년 발굴 조사를 통하여...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대성동에 있는 급수 및 수질검사를 위한 시설물. 제1, 2, 3 배수지시설은 우암산(牛岩山)[338m] 끝자락 8부 능선 정도에 위치하여 수압을 통해 시내에 수돗물을 공급하도록 하였다. 건축적으로 우수한 배수탑은 배수지 물의 수질을 검사하기 위해 출입하던 시설물이었으며, 시멘트로 만든 종 같은 모양을 엎어놓은 듯한 시설물이다. 종탑은 자갈이 많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탑동에 있는 고려시대 사찰의 터. 청주시 상당구 탑동의 일신여자고등학교 북쪽의 주택가에 있는 고려시대 사찰의 터이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5호로 지정된 오층석탑이 개인주택 안마당에 남아 있다. 문헌기록이 없어 절의 이름과 연혁은 알 수 없으나 절터에 남아있는 오층석탑으로 보아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시대에 이르는 사찰이 있었던 것으로 추...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에 위치한 고려시대 사찰의 터. 1980년의 지표조사에서 발견된 「흥천(興泉)」명 기와 조각을 통하여 이 절터가 고려에 있었던 ‘흥천사(興泉寺)’의 터였음이 밝혀졌다. 옛 절의 이름이 흥천사로 밝혀지기는 하였으나 흥천사가 어떠한 절이었는지는 역사의 기록이 전혀 없어 알 수 없다. 단지 이곳에서 출토되는 유물들이 대개 고려시대의 기와 파편들이어서...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환희리에 있는 조선 시대 사찰. 청주 수천암(淸州 水泉庵)은 조선 시대 작은 암자였던 수천암을 1914년 재실로 바꾼 것이다. 2009년 10월 23일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6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에 있는 조선 후기 보살사의 중심 불전. 청주 보살사 극락보전(淸州 菩薩寺 極樂寶殿)은 조선 전기 건립되었다가 선조 재위 기간[1567~1608] 중수되었으며, 1683년(숙종 9) 중건되었다가 1872년(고종 9) 다시 중수되었다. 청주 보살사 극락보전은 1980년 1월 9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5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사동리 안심사에 있는 조선 시대 불전. 안심사는 법주사의 말사로, 청주 안심사 대웅전(淸州 安心寺 大雄殿)은 석가모니 불상을 모신 곳이다. 「안심사고적연대표(安心寺古蹟年代表)」에 따르면 안심사는 통일 신라 시대 775년(혜공왕 11) 진표율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고려 시대인 1325년(충숙왕 12) 원명국사가 중창하고 1626년(인조 4) 송암이...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사동리 안심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전. 안심사는 「안심사고적연대표」에 진표율사가 창건하면서 “제자들의 마음을 편하게 한다”라는 뜻에서 사찰의 이름을 ‘안심사’라고 칭하였다고 전한다. 청주 안심사 비로전(淸州 安心寺 毘盧殿)은 중수기에 “1613년(광해군 5) 건립하고, 세월이 200여 년이 지나면서 지붕과 서까래 등이 퇴락하고 불상이 풍우(風雨)를 맞...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문덕리에 있는 조선 후기 월리사의 중심 불전. 월리사(月裡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의 말사이다. 신라 때 의상이 창건하였다고 전하지만, 확인할 수 있는 정확한 문헌이나 유물은 전하지 않는다. 월리사의 대략적인 연혁은 1665년(현종 6) 세운 ‘월리사사적비’를 통하여 알 수 있다. 1657년(효종 9) 원학이 인근에 있던 신흥사를 현...
서원ㆍ사당ㆍ정각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방서동에 있는 청주한씨(淸州韓氏) 문중에서 세운 정자. 최초의 무농정은 고려의 개국공신이며 청주한씨의 시조인 한란이 농사에 대한 교육과 농사일을 독려하기 위해 청주시 방서동 속칭 ‘큰대머리’ 마을 언덕 위에 건립하였다. 그러나 폐허가 되자 1688년(숙종 14) 후손 한익저(韓益著)가 그 터 옆에 유허비를 세웠다. 1949년 후손들이 정자가 있던...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관정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청주 백석정(淸州 白石亭)은 상당산성에서 발원하여 달천으로 흘러가는 감천(甘川) 가에 있다. 남쪽은 청주의 초입에 해당하며 영남에서 서울로 올라가는 길목이어서 많은 인사들이 머물며 학문을 교류하던 장소이다. ‘백석정’이라는 이름은 정자 앞에 돌출한 흰 바위에서 유래한다. 신교(申灚)[1641~1703]는 일찍이 벼슬을...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현도면 중척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청주 지선정(淸州 止善亭)은 1610년 오명립(吳名立)[1563~1633]이 세운 정자이다. ‘충효일생와지강빈(忠孝一生臥之江濱)’이라는 글을 써서 벽에 걸어 놓고 자연을 즐기고 제자를 기른 곳이다. 오명립은 자가 현백(顯伯), 호는 지선정, 본관은 보성(寶城)이다. 현도면 일대에 세거하는 보성 오씨 15세손으로, 161...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북문로1가에 있는 청주관아(淸州官衙)의 중심 건물. 1868년 목사 이덕수(李德洙)가 중수하면서 청녕각(淸寧閣)이라 편액을 고쳤다. 『여지도서(輿地圖書)』에 ‘근민헌 목사정당 십간’이라 하여 이 건물의 명칭이 근민헌(近民軒)이고 규모는 10칸이었음을 알 수 있으며, 『호서읍지(湖西邑誌)』에는 서원현감 이병정(李秉鼎)이 동헌을 창건하였음을...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귀래리에 있는 독립운동가 신채호의 사당과 묘소. 신채호(申采浩)[1880~1936]는 본관이 고령(高靈), 호는 단재(丹齋)이다. 중국에서 독립운동 중 1929년 일제 관헌에 피체되어 1936년 2월 21일 뤼순 감옥에서 순국하였다. 이후 고향인 낭성면 귀래리에 안장하였다. 1960년 후손들이 사당을 세웠으며, 1978년 다시 세웠다. 청주 신채호사당...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일면 신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우 및 사적비. 청주 체화당사(淸州 棣華堂祠)는 청주시 상당구 남일면 신송리에 있는 교하 노씨 4형제를 제향하는 사우이다. 노계원(盧繼元)[1532~1586], 노후원(盧後元)[1533~1592], 노종원(盧從元)[1535~1583], 노일원(盧一元)[1539~1611] 형제는 우애가 뛰어나 서애 유성룡(柳成龍)[1542~1...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비중리에 있는 조선 후기 안정 나씨 충효 정려. 안정 나씨(安定 羅氏)가 세거하는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비중리에 있는 퇴수헌(退修軒) 나사종(羅嗣宗)[1440~1491]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충신문과 아들 나운걸(羅云傑)[1456~1493]과 손자 나빈(羅濱)[1473~1495], 나린(羅潾)[1475~1495] 세 부자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수의동에 있는 천곡(泉谷) 송상현(宋象賢)[1551~1592], 한금섬(韓金蟾), 이소사(李召史)의 정려문. 임진왜란 때 순절한 동래부사 송상현과 그의 두 소실이었던 한금섬과 이소사의 정절을 함께 기려 세운 정려문이다. 본래는 1595년(선조 28) 송상현만 정려되었으나, 1704년(숙종 30)에 두 소실이 정려됨에 따라 함께 모시게 된 것이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모충동에 위치한, 연최적(延最績)의 충효를 기리기 위하여 세운 정려문. 연최적은 사헌부감찰로 재직 중 사직하였다가 다시 기용되었으나,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으로 파직되었다. 1693년에 인현왕후(仁顯王后) 폐위의 부당성과 화를 당한 서인(西人)들의 용서를 구하는 여섯 가지 항목의 상소를 올렸다가 일곱 번의 심한 고문을 받아 옥사...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비하동에 위치한, 순천박씨(順天朴氏) 문중(門中)에서 배출한 관료(官僚)들을 제향하는 사우(祠宇). 신라~조선시대까지 순천박씨 문중(門中)에서 배출한 8명의 관료(官僚)를 제향(祭享)하기 위해서 세운 제단(祭壇)이다. 위패비(位牌碑)는 오른쪽부터 “新羅江南大君朴公彦智之壇(신라강남대군박공언지지단: 신라강남대군 박언지(朴彦智)의 단)”, “高麗三重大匡...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서촌동에 있는 안동김씨 판관공파의 단소(壇所). 같은 마을에 살던 전주이씨(全州李氏) 종의군파(從義君派)와의 산송(山訟) 분쟁에서 패배하여 선조들의 묘소에 있던 석물들이 훼손됨에 따라 묘소가 실전되어 부득이 단소를 마련하게 되었다. 본래의 단소는 김정, 김보린(金寶麟), 김환, 김담수(金聃壽), 김상, 김응생(金應生) 등 여섯 분의 신위를 모신 것...
성곽·관아·누정
-
조선시대 청주관아(官衙)와 민거(民居)를 둘러쌓은 성. 읍성은 지방 군현의 주민을 보호하고 군사, 행정기능을 담당하던 성이다. 우리나라 역사서로서 가장 오래된『삼국사기(三國史記)』의 기록에 신라 685년(신문왕 5) 3월에 서원소경을 설치하고, 689년 윤(閏) 9월 26일에 서원경성을 쌓았던 기록이 있어 청주읍성의 전신은 아마도 통일신라가 구주오경제(九州五京制)를 갖추던 신문왕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미천리의 양성산에 있는 삼국 시대 석축 산성. 청주 양성산성(淸州 壤城山城)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에 있는 양성산[높이 297m]과 주변 봉우리를 둘러싸고 축조한 둘레 1㎞ 내외의 전형적인 신라의 석축 산성이다. 성벽과 문지, 집수 시설, 수구, 건물지 등이 있다. 성내 원형 집수 시설에 대한 발굴 조사에서 신라 시대부터 통일 신라 및 고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에 있는 상당산성(上黨山城)에 있었던 석축 산성. 고상당성은 조선 후기에 새로이 고쳐 쌓은 현재의 상당산성보다 앞선 시기에 존재했던 석축 산성이다. 상당(上黨)은 백제 때 청주의 지명인 상당현(上黨縣)에서 유래한 것으로, 삼국시대 이후 조선시대까지 청주의 별칭으로 사용되었다. 고상당성은 조선 후기에 지금의 모습을 갖춘 석...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정북동에 있는 삼국시대 성지. 청주 정북동 토성은 미호천변 평야의 중심에 자리한 평지형 토성이다. 정확한 축조연대를 알 수 없으나, 다만 1744년(영조 20)에 상당산성의 승장으로 있던 영휴(靈休)가 쓴 『상당산성고금사적기(上黨山城古今事蹟記)』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보인다. “신라 말에 궁예(弓裔)가 양길(梁吉)의 부하로 있다가 군사를...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대성동과 문화동에 있는 토축산성. 당산토성은 백제 때 상당현의 치소나 통일신라 때 서원경성으로 추정되는 성곽으로 청주의 초기 역사에서 주목되는 유적이다. 당산(唐山)이란 지명은 당산(唐山)이나 당산(堂山)으로 표기되는데, 이곳에 옛 서낭당과 같은 신앙처가 있었던 것에서 유래한다. 당산(唐山)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석화리 구릉에 축조된 백제 사비기의 목책성. 청주 석화리 목책성(淸州 石花里 木柵城)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석화리 미호강 동쪽의 낮은 구릉에 축조된 목책성이다. 2017년 12월 8일 충청북도 기념물 제16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북도 기념물로 변경되었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에 있는 충청도 병마절도사 본영의 정문. 중앙공원(中央公園) 내에 있으며, 충청도 병마절도사의 본영을 드나들던 출입문의 문루(門樓) 이다. 병영의 출입문은 보통 원문(轅門)이라고 부르며 좌우로 담장이 이어져 병영을 에워싸고 있었다. 현재의 건물은 1955년에 보수한 건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겹처마 팔작집이다. 공포형식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에 있었던 충청병마절도영(忠淸兵馬節度營)의 건물. 조선 중기 무렵 충청병마절도영의 중영(中營)에 세워졌던 건물로 목사(牧使) 최상정(崔尙鼎)이 개축하였다. 병영의 군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병영소속의 군관들이 청렴결백하게 업무를 집행해야한다는 뜻을 담아 건물의 명칭을 읍청당(挹淸堂)이라 한 것으로 보인다. 윤동형(尹東衡)[1674...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에 있었던 충청병마절도영(忠淸兵馬節度營)의 건물. 조선시대 충청병마절도영에 세워졌던 건물이다. 병영의 군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병영소속의 군관들이, ‘백성들에게 세 가지를 베풀어주라’는 뜻으로 건물의 명칭을 삼석당(三錫堂)이라 한 것으로 보인다. 영조(英祖)년간에 간행된 『여지도서(輿地圖書)』 공해(公廨), ‘삼석당, 십이간(十二...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에 있는 청주목 관아의 누각. 망선루는 객관(客館)의 동쪽에 있었는데, 옛 이름은 취경루(聚景樓)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의하면 1361년(공민왕 10)에 고려 공민왕(恭愍王)이 홍건적을 피하여, 안동으로 몽진하였다가 이곳에 옮겨와 수개월 동안 머물렀었다. 도적이 평정되자 문과와 감시(監試)의 합...
-
상당산성의 서쪽에 있는 군사시설로 지휘관이 올라가서 명령하던 곳. 청주시의 인구증가와 국내외 관광객의 증가로 상당산성을 찾는 관광객이 대폭 증가하여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여 1995년부터 상당산성 발굴조사가 시작되었다. 발굴조사지역은 산성동 산 28-1[성내로124번길 14] 임야에 속한 지역으로 서장대 터와 산성동 175번지, 산성동 177번지, 산성동 1...
가옥·건물
-
청주 주치(州治)의 서문(西門) 밖에 있던 군인을 사열하던 장소. 현재까지 치부당(治賦堂)의 존재에 대해 전혀 알려진 기록이 없다. 즉 치부당이 무엇이었는지, 어디에 있었는지, 언제까지 남아 있었는지, 건물이었는지 등, 현재 청주에 살고 있는 사람들 대부분은 이 유적 혹은 유물에 대해 아는 사람이 거의 없다. 다만, 조선 후기에 발간된 『청주읍지(淸州邑誌)』에 기록되어...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소전리에 있는 한옥. 전통 건축은 근대화 과정에서 수직적으로 확장되어 가는 경향을 보인다. 중2층 한옥은 2개의 지붕돌을 갖추고 있고 1층 지붕돌 공간을 겹쳐 사용하며 상이한 기능을 갖춘 2개의 층이 확연히 구분되는 한옥이다. 대표적인 것으로 소전리 한옥(所田里 韓屋), 경상남도 민재호 가옥, 전북 전희준 가옥, 황병주 가옥, 경기도 이진종 가옥을 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일면 효촌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가옥. 손갑수 가옥(孫甲洙 家屋)은 1935년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일면 효촌리 밀양 손씨 집성촌에 건립된 전통 가옥이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장성동에 있는 근대의 가옥. 흙벽돌집으로 소유자에 의하면 이 건물의 신축시기는 1900년대 이전이라고 한다. 흥덕구 장암동의 강태숙 가옥과 마찬가지로 ‘一’자형의 안채와 사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강태숙 가옥과 다른 점은 이 가옥의 위치가 평지라는 것이다. 안채는 부엌, 방, 방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퇴를 갖고 있다. 사랑채는 측간, 헛간...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장성동에 있는 근대에 건립된 가옥. 이 가옥은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에 지어진 근대 한옥이다. ‘ㄱ’자형 안채가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면으로 대문간과 광이 있다. 이 가옥의 측면과 후면에는 감나무 등으로 조성된 넓은 정원이 있다. ㄱ자형 안채는 가운데 대청마루를 두고서, 방들이 연결되어 있다. 지붕형태는 합각이다. ㄱ자형 안채 한쪽 편으로...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장암동에 있는 근대에 건립된 가옥. 2005년 현재 85세인 강태숙에 의하면, 큰아버지(백부)가 산을 지키기 위한 거처(산직집)의 용도로 축조하였고 건축된지는 100여년이 넘었다고 한다. 나지막한 언덕에 위치하며, 서남향을 하고 있다. 안채와 사랑채 기타 부속채로 이루어져 있다. 안채는 부엌, 안방, 웃방으로 구성되며 전면으로 반 칸 폭의 툇마루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화동에 위치한 근대에 건립된 주택. 청주시 상당구 대성동과 문화동의 경계가 되는 언덕 아래에 있으며 건립 당시 45도 경사의 물매 지붕을 갖고 있어, 청주지역의 어느 장소에서도 쉽게 눈에 띄는 뾰족 양철지붕이었다. 양식 및 일식 주택의 평면구성을 보이며, 지붕의 사면이 박공 형태로 이루어진 ‘+’자형 사모임 지붕으로 이루어진 주택건물로...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현암동에 있는 근대에 건립된 가옥. ‘一’자형 사랑채와 ‘ㄱ’자형 안채로 조선 후기에 지어진 전통가옥으로 사랑채는 높은 자연석 기단 위에 사각 주초를 놓고(사랑채 한편의 우주 주초는 커다란 원형 주초로 대규모 사찰 건물에서나 봄직한 것이다), 사각기둥을 세워 납도리집을 구성하였다. 전면 5칸의 평면 형식을 보면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방이 있고,...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화동에 있는 근대의 연립주택. 중간의 방화벽을 경계로 문화동 15-48[용담로21번길 16], 문화동 15-27번지 2호[용담로21번길 18-1]의 주택이 인접하고 있는 2호 연립주택이다. 이 주택은 1927년 조선총독부에서 제시한 2호 연립관사의 평면 유형에 준하여 세워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관사는 1호당 건평 18.5평, 합계 37평의 1...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호정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살림집. 청주 과필헌(淸州 果必軒)은 과필헌(果必軒) 신후(申逅)[1708~1779]가 지은 살림집이다. 조선 후기 청주 지역의 전형적인 양반가의 살림집 형태이다. 1989년 12월 8일 충청북도 민속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북도 민속문화재로...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문산리 문의문화재단지에 있는 조선 시대 문의현의 객사. 청주 문의 문산관(淸州 文義 文山館)은 옛 문의현(文義縣)[군]의 객사이다. 객사는 지방관이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전패(殿牌)에 예를 올리고, 공무 중인 관리들이 묵을 수 있는 숙소를 겸하는 곳이었다. 조선 전기부터 관아 건물로 있었으며, 임진왜란 후 폐현이 되었다가 복구하여 1666년(현종 7)...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문산리 문의문화재단지에 있는 조선 후기 민가. 청주 관정리 고가(淸州 官井里 古家)는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관정리에 있던 조선 후기 가옥이며, 1994년 문의문화재단지로 이전하여 복원하였다. 2003년 4월 11일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3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북도...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문산리 문의문화재단지에 있는 조선 후기 살림집. 청주 노현리 고가(淸州 蘆顯里 古家)는 옛 가덕면 노현리 이양훈(李讓勳)이 살았던 살림집으로 1993년 문의문화재단지가 조성된 후 이건하였다. 2003년 4월 11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2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북도 유형문...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방서동에 있는 조선 후기 살림집. 청주 방서동 고가(淸州 方西洞 古家)는 대표적인 청주 양반가의 살림집이다. 방서동 일대에 세거하던 청주 한씨 후손의 집으로 안채와 사랑채만 남아 있다. 대들보에 쓰인 상량문을 통하여 1860년(철종 11) 세운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지붕 망와는 1702년(숙종 28) 만든 것을 사용하고 있어 보다 이른 시기에 건축된 것...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문산리 문의문화재단지에 있는 조선 후기 살림집. 청주 부강리 고가(淸州 芙江里 古家)는 조선 후기 살림집으로 현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에 있던 건물을 1995년 문의문화재단지로 이전하였다. 2003년 4월 11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2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북도 유...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신전동에 있는 근대의 주택. 이 가옥은 안채의 종도리 장혀에 “歲在丙寅二月十八日巳時入柱上樑于申坐寅向之基戊戌生成造運(세재병인이월십팔일사시입주상량우신좌인향지기무술생성조운)”이라는 상량문이 적혀 있어 1926년에 지어졌음을 알 수 있다. 지어진 연대는 오래되지 않으나 조선시대의 전통적인 가옥이 일제강점기를 통해 변화되고 있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인차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살림집. 청주 신형호 고가(淸州 申鑅浩 古家)는 독립운동가 신형호(申鑅浩)[1902~1947]의 살림집이었다. 안채 상량문에 갑자(甲子), 혹은 갑오(甲午)라는 간지가 보이나 확실하지 않고, 1881년(고종 19) 지었다고 한다. 신형호는 본관이 고령(高靈)으로 인차리 일대에 세거하는 소안공파(昭安公派)로 나뉘는데, 신규식(申...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일면 고은리에 있는 조선 후기 양반가 살림집. 청주 고은리 고택(淸州 高隱里 古宅)은 1861년(철종 12) 건립된 양반 지주층의 고택이다. 1984년 1월 14일 국가민속문화재 제13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국가민속문화재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금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 가옥. 청주 손병희 생가(淸州 孫秉熙 生家)는 독립운동가 손병희(孫秉熙)[1861~1922]가 출생한 집이다. 손병희는 본관이 밀양(密陽), 초명은 응구(應九), 도호(道號)는 의암(義菴)이다. 일본 체류 시에는 이상헌(李祥憲)이라는 가명을 썼다. 1882년(고종 19) 동학에 입문하여 1894년 동학농민운동에 참가하였고, 1...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리에 있었던 강외초등학교의 목조 건축물. 강외초등학교는 1925년 강외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지역명이 강외면에서 오송읍으로 변경됨에 따라 2015년 3월 1일 오송초등학교로 이름이 바뀌었다. 강외초등학교 강당은 현재 철거되었으며 설계자와 시공자는 알 수 없다....
-
청주시 상당구 내덕동에 있는 천주교 청주교구 주교좌 성당의 성당건물. 내덕동 성당은 천주교 청주교구의 주교좌 성당으로 주교좌 성당이란 교구장(주교)관할구역의 중심교회로서 주교가 직위에 있고 미사를 주관하는 성당을 말한다. 천주교의 주교는 주교가 상주하는 특정한 교회를 지정하여 영구적으로 관할하게 하고 있으며 이를 ‘교구성당’(diocesan Cathedral)...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서운동에 있는 서운동성당의 건물. 1886년 10월부터 창호원 본당(현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소속이었다가 1920년 9월부터 고마리 본당(현 감곡)관할이 되었고, 1932년 10월 청주본당으로 승격되어 ‘청주본당’ 또는 ‘북문로본당’으로 불리었다. 이후 1962년 3월 12일 성당대지를 매입하여 현 소재지로 이사하고 북문로 청주본당에서 서운동본...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에 있는 수동성당의 건물. 1964년 9월 6일 서운동성당에서 분리되어 수동 본당을 설립하였으며, 서운동본당과 내덕2동본당에 이어 청주에서 3번째로 설립된 성당이다. 1965년 9월 26일 수동성당의 신축공사를 착수하여 1966년 8월 15일 성당 157평과 사제관 77평 및 강당 140평을 건립하였다. 이후 1985년 5월 교육관(150평)을...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에 있는 청주 성공회성당. 영국인 선교사 유신덕(G.E.Hewlett) 신부가 1922년 청주 상당구 대성동에서 예배를 갖기 시작하면서 청주에 성공회가 전파되었고, 구세실(Cecil Cooper) 주교에 의해 1935년 현재의 성공회 성당을 짓게 되었다. 상당구 수동 우암산 순환도로 입구의 오른쪽 언덕에 있다. 성당은 낮은 기단위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1가에 있는 교회의 건물. 청주제일교회는 1904년 11월 15일 미국 북장로회 서울 선교본부에서 청주 선교지부 설립을 위한 거점교회로 초가 건물의 청주읍교회로 출발했다. 이후 1914년 목조 예배당 건물을 신축하여 사용하였다. 이 건물은 기독교 학교인 세광중학교와 세광고등학교를 설립한 성직자이며 교육자인 구연직 목사 재직 당시인...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탑동에 있는 원불교 신도들의 교당. 일제강점기에 일본 불교의 사찰로 건축되어 사용되다가 광복 후 군부대의 사무실로 사용되었다. 1970년 3월 청주 원불교로 개칭하였고 1971년 6월 11일 초대 이재경 교무가 부임하였고 1973년 9월 3일 국방부로부터 여러 건물과 부지를 매입하여 현 위치에 이사하였다. 1974년 5월 20일 마루를 깔고 천장과...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내덕동에 있는 대성초등학교의 강당. 1963년 신축된 것으로 건립 당시부터 강당으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외부는 붉은색 벽돌 치장 쌓기로 마감하였으며, 내부의 벽면은 석회 마감을 하였다. 출입구 현관은 4m정도 앞으로 돌출하였으며, 지붕은 박공형태에 기와로 마감하고 있다. 내부의 평천장은 합판으로 마감되어 있다. 창문은 상하 오르내리창으로, 본 건물...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덕동 청주대학교에 있는 적벽돌조 건물. 청주대학교 대학원동(淸州大學校 大學院棟)은 1957년 강의실용으로 지은 현대 건축물로 일제 강점기부터 유행한 적벽돌조 건축 양식을 보이고 있다....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덕동 청주대학교에 있는 적벽돌조 건물. 청주대학교 목공실(淸州大學校 木工室)은 1957년 청주대학교 교사로 건축된 근현대 건축물로 일제 강점기에 들어온 서양식 적벽돌조 건축 양식을 보이고 있다....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덕동 청주대학교에 있는 적벽돌조 건물. 청주대학교 법과대(淸州大學校 法科大)는 청주대학교가 개교 10주년을 맞이하여 1957년 캠퍼스를 이전하면서 본관으로 지은 적벽돌조 3층 건물이다....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덕동 청주대학교에 있는 적벽돌조 건물. 청주대학교 제18강의동(淸州大學校 第十八講義棟)은 1958년 준공된 근현대 건축물로 일제 강점기에 들어온 서양식 적벽돌조 건축 양식을 보이고 있다....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덕동 청주대학교에 있는 적벽돌조 체육관 건물. 청주대학교 제2체육관(淸州大學校 第二體育館)은 청주대학교 체육관 시설로 1958년 준공된 근현대 건축물이다. 일제 강점기에 들어온 서양식 적벽돌조 건축 양식을 보이고 있다....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덕동 청주대학교에 있는 적벽돌조 건물. 청주대학교 제3강의동(淸州大學校 第三講義棟)은 청주대학교 도서관 용도로 1958년 준공된 근현대 건축물이다. 일제 강점기 이후 유행한 서양식 적벽돌조 건축 양식을 보이고 있다....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개신동에 있는 충북대학교의 강의동 건물. 건축 당시의 외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내부는 몇 차례 부분적인 수리를 하였고, 지붕의 기와는 1980년대에 다시 교체하였다. 건물 중앙의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 부분 바로 옆에는 근래에 화장실을 증축하였고 건물의 내부를 강의실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대체로 건립 당시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내덕동에 있는 일제 강점기 건물. 청주상업고등학교 구 본관은 1935년 3월 26일 설립인가를 받은 후 6월에 설계를 완성, 8월부터 공사를 시작하여 1936년 10월 1일 정식 준공을 하였다. 시공은 일본인 건설업자 다나하시가 공사비 5만원에 맡았다고 한다. 1995년 후면에 교사를 증축하고는 특별교실 및 전시관으로 이용되다가, 200...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에 위치하고 있는 일제 강점기 건물. 청주 대성여자중학교 강당은 청석학원의 태동과 함께 건립되었으며, 당시에는 이러한 큰 공간이 부족하였기 때문에 예식장으로도 사용되었다고 한다. 청주대학교 설립자의 아들인 김준철(金俊喆) 전 총장이 결혼식을 올린 곳이기도 하다. 청주 대성여자중학교 강당은 동서방향으로 기다란 장방형의 벽돌조 1층 건물...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탑동에 있는 청주 최초의 서양식건물. 구한말(舊韓末) 개화기에 충청북도지방 기독교 문화의 요람이었던 청주탑동양관은 1906년부터 1932년 사이에 건립된 여섯 동의 서구식 건물로서, 미국 북장로교회 소속 선교사들에 의해 청주지방에서는 맨 처음으로 건립된 양옥(洋屋) 건물이다. 미국 북장로교회 소속 선교사였던 민노아(閔老雅, F.S. Mi...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탑동에 있는 청주 최초의 서양식건물. 구한말(舊韓末) 개화기에 충청북도지방 기독교 문화의 요람이었던 청주탑동양관은 1906년부터 1932년 사이에 건립된 여섯 동의 서구식 건물로서, 미국 북장로교회 소속 선교사들에 의해 청주지방에서는 맨 처음으로 건립된 양옥(洋屋) 건물이다. 미국 북장로교회 소속 선교사였던 민노아(閔老雅, F.S. Mi...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탑동에 있는 청주 최초의 서양식건물. 구한말(舊韓末) 개화기에 충청북도지방 기독교 문화의 요람이었던 청주탑동양관은 1906년부터 1932년 사이에 건립된 여섯 동의 서구식 건물로서, 미국 북장로교회 소속 선교사들에 의해 청주지방에서는 맨 처음으로 건립된 양옥(洋屋) 건물이다. 미국 북장로교회 소속 선교사였던 민노아(閔老雅, F.S. Mi...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탑동에 있는 청주 최초의 서양식건물. 구한말(舊韓末) 개화기에 충청북도지방 기독교 문화의 요람이었던 청주탑동양관은 1906년부터 1932년 사이에 건립된 여섯 동의 서구식 건물로서, 미국 북장로교회 소속 선교사들에 의해 청주지방에서는 맨 처음으로 건립된 양옥(洋屋) 건물이다. 미국 북장로교회 소속 선교사였던 민노아(閔老雅, F.S. Mi...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탑동에 있는 청주 최초의 서양식건물. 구한말(舊韓末) 개화기에 충청북도지방 기독교 문화의 요람이었던 청주탑동양관은 1906년부터 1932년 사이에 건립된 여섯 동의 서구식 건물로서, 미국 북장로교회 소속 선교사들에 의해 청주지방에서는 맨 처음으로 건립된 양옥(洋屋) 건물이다. 미국 북장로교회 소속 선교사였던 민노아(閔老雅, F.S. Mi...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탑동에 있는 청주 최초의 서양식건물. 구한말(舊韓末) 개화기에 충청북도지방 기독교 문화의 요람이었던 청주탑동양관은 1906년부터 1932년 사이에 건립된 여섯 동의 서구식 건물로서, 미국 북장로교회 소속 선교사들에 의해 청주지방에서는 맨 처음으로 건립된 양옥(洋屋) 건물이다. 미국 북장로교회 소속 선교사였던 민노아(閔老雅, F.S. Mi...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덕동에 있던 연초제조창과 제조창 부지 내에 있던 담뱃잎 저장 창고. 청주연초제조창(淸州煙草製造廠)은 담배를 생산하고 수출하는 회사로 1946년 11월 문을 열었다. 동부창고(東部倉庫)는 담뱃잎을 저장하는 창고였다. 청주연초제조창과 동부창고는 2023년 청주 미래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대성동에 있는 일제 강점기 건물. 청주 충청북도지사 구 관사는 1937년 현 도청 본관의 건립에 따라 건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 도청본관 자리는 당시 큰 연못이 있었으며, 이를 메우기 위해 사용된 흙은 청주 충청북도지사 구 관사가 자리한 산자락을 절토하여 사용하였던 것이다. 자연스럽게 이 건물의 대지가 조성되고 도청 본관 공사가 끝난 후 이곳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화동에 있는 일제 강점기 충청북도청의 본관 건물. 1908년 6월 5일 충주의 관찰부가 청주로 이전하면서 현재의 중앙공원(中央公園) 자리에 위치하였다. 1928년 말 운주헌 바로 앞쪽으로 목조 단층건물을 신축하여 충청북도청의 본관으로 사용하다가, 1937년 현재 도청이 있는 자리에 큰 연못을 메워 신축하였다. 1959년 2층 평스라브 청사에서 3...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사창동의 내수동고개에 있는 시계탑. ‘내수동고개’라는 이름은 현재의 사창시장(司倉市場) 일대에 있었던 내수동(內水洞) 마을에서 따온 것이다. ‘내수’라는 이름은 마을이 천수동(天水洞) 안쪽에 있는 데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하며, 현재 사창시장 앞으로 지나는 내수동로[산업단지 육거리와 시계탑 오거리를 잇는 이면도로]에도 반영되어 있다. 내수동고개는 사창말고개라...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우암동에 있는 물류업체. 대신정기화물자동차(大信定期貨物自動車)는 1966년 설립된 종합 물류 회사이다. 2023년 청주 미래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율량동에 있는 이용원. 덕성이용원은 덕성초등학교 앞에 있는 단층 기와 건물에서 영업 중인 청주에서 가장 오래된 이발소이다. 덕성이용원의 사장 김승경은 1945년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에서 태어났다. 6남 1녀의 4남으로 태어난 김승경은 집안 형편이 어려워 16세 무렵 서울에서 처음 이발 기술을 배웠다. 이후 청주로 간 김승경은 1965년 덕성이용원을 개업한 고...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쌍이리에 있었던 일제 강점기 엽연초경작조합. 한일병합 후 일제 당국은 담배의 전매를 위하여 엽연초경작조합을 설립하였다. 청주 지역의 엽연초경작조합은 1912년 설립되었으며, 1913년 창고 3개 동이 건설되었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북문로3가에 있는 건설 회사 건물. 삼창토건(三昌土建)의 정식 창립일은 1968년 10월 12일이다. 청석학원 산하의 각급 교육 기관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수의 계약을 통하여 기관 내 건축 사업을 도맡아 왔다. 이러한 사업 방식에 대하여 청석학원 산하의 청주대학교를 중심으로 꾸준히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1994년 전 청주대학교 총장 김준철이 횡령죄로 징역...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북문로2가에 있는 옛 청주소방서와 소방망루. 청주소방서(淸州消防署)는 1946년 6월 청주시 북문로에 설립되었으며, 1970년 현재의 북문119안전센터 자리로 이전하였다. 한편 소방망루(消防望樓)는 1922년 서울 남산에 처음 설치되어 1970년대 중반에 이르기까지 소방관이 직접 망루에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시하였다. 그러나 1980년대 들어 활용도가 떨어졌...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북문로2가에 있는 (구)조선운송주식회사 건물. (구)조선운송주식회사는 1921년 7월 청주에서 5인, 조치원에서 2인, 경성에서 1인의 상인을 중심으로 발기하여 10월에 조선운수창고주식회사 본점으로 개업하였다. 1921년경 이미 당시로서는 현대적인 사무소와 여러 동의 창고를 세워 (건축물 관리대장에는 1930년으로 등재되어 있음) 운수창고업과 미곡...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화동에 있는 일제 강점기 공공시설로 건축된 건물. 1936년에 건설된 충청북도청 건물로 충청북도에서 가장 오래된 근대 건축물이다. 두 면이 도로에 면한 부지의 특성을 반영하여 모서리 벽면을 원형 평면으로 처리하여 주출입구를 형성하였다. 근대 초기 모더니즘 건축 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일제 강점기에 건축된 충청북도청의 상징적인 건물로서 2007년...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대성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때 수도시설로 건축된 문화재. 동부배수지 제수변실은 청주동부배수지의 중심 부분에 위치하는 배수량 확인 및 흐름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 제수변실로, 청주시의 발전에 따른 배수량 부족으로 1911년 4월 1일 착공하여 1923년 3월 31일 완공되어 현재 청주시에서 관리하고 있다. 동부배수지 제수변실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화동에 있는 한국전력 청주지점 관사 건물. 1932년 목조 시멘트기와 건물을 준공하여 개인 가정집으로 사용하다가 1944년 6월 29일 남선전력이 매입하여 직원의 숙소로 사용하였다. 이후 1950년 4월 27일 6평 규모의 새로운 부속건물(헛간·방·부엌)을 신축하였고 1961년 6월 30일 남선전력 등 3사가 ㈜한국전력으로 통합되어 소유권이 이전...
분묘
-
사체나 유골을 처리하는 장소 즉, 무덤. 분묘란 흔히 묘 또는 무덤이라도 하고 사체나 유골을 처리하는 장소임과 동시에 제사를 지내기 위한 장소나 시설로 역사적으로 오래된 무덤을 고분이라 한다. 분묘는 각 사회의 장제(葬制)나 또는 내세관과 깊이 관련되어있다. 또 자연환경이나 생업형태, 피매장자의 연령과 성별, 사회적 지위나 신분에 이르기까지 분묘의 형태와 습속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서동에 있는 고인돌. 강서동의 우림아파트와 삼덕아파트 부근으로 얕은 구릉지대의 끝부분에 위치한다. 이 고인돌유적은 부근에 있는 비하동의 돌덧널무덤과 함께 청주지역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유적이다. 청주지역의 문화유적에 대한 최근의 종합적인 조사는 1998년에 실시되었다. 이 조사는 제한적이고 부분적으로 실시되고 있던 유적...
-
널의 바깥에 널을 감싸는 나무덧널 시설을 마련한 무덤. 덧널무덤이란 널의 바깥에 널을 감싸는 덧널의 시설을 마련한 무덤을 말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삼한시대부터 삼국시대에 이르기까지 고대국가 형성기의 대표적인 무덤양식중의 하나이다. 이 덧널무덤은 B.C 2500년경 중국 은(殷)대부터 쓰이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본에서는 야요이시대 유적에서 다수 발견되고 있다. 우리나...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신봉동에서 출토된 고려시대의 매장유적. 청주시 중심부에서 북서쪽으로 약간 치우친 해발 60~115m쯤의 비교적 완만한 구릉지역 일대를(1,001,840㎡) 청주 봉명지구·신봉지구 토지구획 정리사업 지구로 지정하여 토지구획 정리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이 지역 일대의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 토지구획 정리사업은 청주시에서 주관하여 시행하였는데...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송절동에서 발굴된 원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매장·생활유적. 송절동 유적은 중부지역에서 확인된 원삼국시대의 대표적인 고분유적 중의 하나이다. 1989년 4월 청주공업단지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유적의 존재가 처음 확인된 후, 이곳에 대한 발굴조사는 1992년 11월~12월, 1993년 9월~11월의 두 차례에 걸쳐 충북대학교 박물관에...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신봉동에 있는 백제시대의 고분군. 청주 신봉동 고분군은 옛 백제권역에서 발견된 가장 큰 규모의 유적으로 5세기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조영되었다. 발굴조사를 통해 당시 백제의 대외관계와 지방통치를 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유적으로 평가되어 사적으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1982년 처음 고분군이 확인된 직후 발굴조사를 통해 유적의 가치를 주목받게 되었...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대신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제단. 청주 금성대군 제단(淸州 錦城大君 祭壇)은 단종 복위 운동으로 사사된 금성대군 이유(李瑜)[1426~1457]의 제단(祭壇)이다. 금성대군은 세종과 소헌왕후 심씨 사이에서 여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큰형이 제5대 문종으로 즉위하고 2년 2개월 만에 조카 단종에게 왕위가 계승되었으나 둘째 형 수양대군이 왕위를 차지하자 14...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신봉동(新鳳洞)에 있는 문화유씨(文化柳氏)의 선조를 모신 재실(齋室). 명심산(明心山)[113.4m]으로 일컬어지는 문화유씨 집단 묘역 남쪽의 건축자재사 안쪽에 위치한다. 본래는 지금의 농수산물시장 자리에 있었는데, 농수산물시장이 들어서자 지금의 자리로 옮겨졌다. 건물은 앞쪽 2칸 반, 옆면 1칸의 겹처마 맞배지붕 목조기와집 형식의 현대...
-
충청북도 청주시 수의동에 있는 임진왜란 때 의병 박우현의 묘.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청주성전투에서 전사한 박우현의 묘소로 청주시 수의동 도장골 마을 왼쪽 청룡산 중턱에 위치하고 있다. 박우현은 1572년(선조 5) 지금의 강서면 수의리 도장골마을에서 태어났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장 조헌의 의병진에 합류하여 청주성 북문 밖에서 교전 중에 전사하였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에 있는 곽예(郭預)[1232~1286]의 묘. 곽예는 고려 고종(高宗) 때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좌승지 등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충렬왕(忠烈王) 때 성절사로 원나라에 가는 도중에 죽었다. 시문에 능했으며 당대의 명필로도 이름이 높았다. 본래 충청북도 청원군 북이면 대율리에 있었는데, 1975년 국토개발지구로 지정됨에 따라 지금의...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수대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박광우의 묘소. 박광우(朴光佑)[1495~1545]는 자가 국이(國耳), 호는 필재(蓽齋), 본관은 상주(尙州), 시호는 정절(貞節)이다. 1545년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동선역으로 유배되었다가 사망하였다. 율곡 이이의 상소로 복권되었으며, 청주 송천서원에 제향되었다. 1967년 파주에서 옮겨 왔으며, 원형 봉분 앞에 묘표...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남계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송인수의 묘소와 신도비. 송인수(宋麟壽)[1499~1547]는 본관이 은진(恩津), 자는 미수(眉叟), 호는 규암(圭菴),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1521년(중종 16) 별시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거쳐 대사헌에 올랐다. 1545년(명종 즉위년) 을사사화가 일어나자 파직되어 청주로 낙향하였다가 1547년(명종 2)...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대율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최명길의 묘소. 최명길(崔鳴吉)[1586~1647]은 본관이 전주(全州), 자는 자겸(子謙), 호는 지천(遲川)·창랑(滄浪),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1605년(선조 38) 생원시와 진사시에 입격하고, 증광문과에 급제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의 공으로 정사공신(靖社功臣) 1등에 책록되고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에 봉하여...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대율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최석정의 묘소. 최석정(崔錫鼎)[1646~1715]은 조선 숙종 때의 문신이다. 최석정은 본관이 전주(全州), 자는 여화(汝和), 호는 명곡(明谷),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최기남(崔起南), 할아버지는 최명길(崔鳴吉), 아버지는 최후상(崔後尙), 아버지는 최후량(崔後亮)이다. 부인 경주 이씨는 좌의정 이경...
-
충청북도 청원군 남일면 가산리에 있는 한씨의 시조인 한란의 묘소. 청주를 본관으로 하는 대표적인 씨족 중의 하나이며 청주한씨(淸州韓氏)의 시조인 한란(韓蘭)[?~?]은 청주지역의 대표적 호족으로 왕건(王建)이 후백제를 정벌하기 위해 청주를 지날 때 군량미를 도와 삼중대광태위(三重大匡太尉)에 봉해지고 개국공신이 된 인물이다. 충청북도 청원군 남일면 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탑동에 있는 현풍 곽씨 3대의 효자비와 묘소 3기. 청주 현풍곽씨 효자비 및 묘소(淸州 玄風郭氏 孝子碑 및 墓所)는 청주시 상당구 탑동 일원에 살던 곽여찬(郭汝贊), 곽진은(郭鎭殷)·인천 이씨(仁川 李氏) 부부, 곽원호(郭元浩) 3대의 효자, 효부비와 묘소 3기를 포함한다. 곽여찬은 효행 사실로 1817년(순조 17) 명정(命旌)되었고, 아들 곽진은과 인천...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묵방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이덕수와 한산 이씨 묘역. 청주에 세거하는 한산 이씨(韓山 李氏)는 시조로부터 18세(世)손 이소(李沼)[1521~1595]와 조카인 19세손 이주(李湊)[1532~1594], 이도(李濤)[1539~1592] 후손들이 세거하고 있다. 이소의 손자이자 20세손 이덕수(李德洙)[1577~1645]가 널리 알려진 인물이며, 청주 이...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화동에 있는 송시열(宋時烈)의 불천위(不遷位)를 모신 사당.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유학자이며 노론의 영수인 송시열의 불천위(不遷位)를 모신 사당이다. 불천위란 큰 공훈이 있다고 국가가 인정한 인물의 신위(神位)로 4대 봉사(奉祀)가 지나도 신주를 땅에 묻지 않고 사당에서 영구히 제사를 지내는 것이 허락된 신위를 가리키는 말이며, 이 불천위를 모시...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우암동에 있는 해월의 묘. 우암산 우회도로의 대한불교수도원의 기점에서 우회도로를 따라 약 800m 지점이며, 우암산우회도로가 있어 접근하기에 편리하다. 태극문을 새긴 대리석에 ‘烈女海月之墓(열녀해월지묘)’라는 묘비와 더불어 있다 조선 영조(英祖) 즉위 후 소론이 배격되자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는 정희량(鄭希亮),...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정북동과 흥덕구 장암동에 있었던 무덤. ‘말무덤’은 ‘말’과 ‘무덤’으로 분석된다. 지명에서 ‘말’은 ‘말개’·‘말거리’·‘말고개’·‘말골’·‘말마루’·‘말둠벙’·‘말미’·‘말바우’·‘말배미’·‘말우물’·‘말재’·‘말티’ 등에서 흔히 발견되는 선행 요소이다. 그리고 이들 대부분은 ‘말[馬]’과 관련된 유래담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발견되...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산덕리에 있는 조선 왕실의 태실.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산덕리에는 태봉이라 불리는 봉우리가 있고 태봉 정상에 태실이 있다. 청주 산덕리 태실(淸州 山德里 胎室)은 원형 봉분 앞에 태실비를 세웠으며, 1588년(선조 21) 선조와 정빈 민씨 사이에서 태어난 인성군(仁城君)의 태실로 추정된다. 청주 산덕리 태실은 1928년 조선총독부가 훼손하여...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무성리에 있는 조선 영조의 태실. 청주 영조 태실(淸州 英祖 胎室)은 조선 제21대 왕 영조의 태실이다. 1694년(숙종 20) 숙빈 최씨에게 태어나 1695년 1월 28일 태를 안치하였고, 왕위에 오른 뒤인 1729년(영조 5) 태실을 보수하였다. 태실의 보수 기록인 『영조태실석난간조배의궤(英祖胎室石欄干造排儀軌)』가 보물로 지정되었고, 세계기록유산으...
복합유적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에 있는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주거지 및 유물들이 발굴된 유적. 흥덕구 가경동에 위치한 이 유적은 청주문화방송 신사옥 신축부지 시굴조사를 통해 알려진 유적이다. 조사지역의 동쪽 도로 건너편으로는 경덕중학교와 남쪽으로는 홍골방죽이 위치하고 있다. 조사지역 주변으로는 본래 해발 100m 이내의 구릉성 산지와 구릉성산지 사이의 곡간...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개신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움집터와 조선시대의 건물지·움집터·기와가마터·움무덤 등 생산·생활·매장유구가 있는 복합유적. 대한주택공사가 시행하는 청주 개신지구 택지개발(면적 451,381㎡) 과정에서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충북대학교 박물관에서 지표조사(1996)·시굴조사(1997)·발굴조사(1998)를 실시하였다. 53~60m의 낮은 구...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금천동에 있었던 고려~조선시대 유물 산포지. 한국토지공사 충북지사에서 추진한 청주 용암2지구 택지개발사업에 따른 문화재 부존여부와 역사적 배경, 전통문화 등의 규명을 위한 사전조사로서 1995년 국립청주박물관에 의해 이루어졌다. 유적의 파괴를 사전에 예방하고 문화유적의 시굴 및 발굴조사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조사로서 지표상에서 고려시...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노현리에 있는 구석기 시대 유적. 두루봉 동굴 유적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노현리 산57-1에 있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에 있는 주거지·돌덧널무덤[石槨墓]·움무덤[土壙墓] 등의 유구가 출토된 유적. 청주시에서 시행한 동부우회도로 건설공사 중 삼국시대 토기편과 돌덧널무덤의 잔해로 보이는 석재가 노출된 사실을 확인하여 1998년·1999년의 2차례에 걸쳐 국립청주박물관에서 긴급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Ⅰ·Ⅱ지구로 구분하여 연차적으로 이루어졌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문암동에 위치한 삼국 및 조선시대 유물산포지. 이 유적은 충북대학교박물관과 청주시가 『청주시 문화유적 분포지도』제작을 위해 1998년도에 실시한 지표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유적이다. 연질과 경질토기를 비롯하여 기와편이 출토되었다. 흥덕구 문암동은 청주시의 북서쪽에 위치한다. 이 유적은 해발 50m 내외의 낮은 구릉에 분포하며 밭으로 경작되...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문암동에 위치한 원삼국~삼국시대의 유물산포지. 국립청주박물관에서 중원문화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학술조사 활동의 일환으로 실시한 미호천(美湖川)유역의 지표조사에서 확인된 유적이다. 조사 결과 뚜렷한 유구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와질소성의 우각형파수부편과 두드림무늬토기편, 철재 등이 출토되었다. 이러한 채집유물로 미루어 보아 원삼국시대의...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봉명·신봉지구 토지구획 정리사업 지구내의 유적. 청주시 중심부에서 북서쪽으로 약간 치우친 해발 60~115m쯤의 비교적 완만한 구릉지역 일대의 1,001,840㎡을 청주 봉명·신봉지구 토지구획 정리사업지구로 지정하여, 토지구획 정리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는 청주시가 충북대학교 박물관에 의뢰함에 따라 1993년에...
-
충청북도 흥덕구 분평동에 있었던 원삼국시대부터 삼국(백제)시대의 주거시설과 저장구덩이 및 야철지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유적. 한국토지공사 충북지사에서 추진한 청주 산남3지구 일원에 대한 택지 조성 공사와 관련하여 이루어진 1994년도의 지표조사 결과를 토대로 발굴조사(2004년)가 실시되었다. 조사결과 주거지로 추정되는 구덩유구 8기, 저장구덩이로 보이는...
-
충청북도 흥덕구 분평동에 있었던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 걸쳐 조영된 주거지 및 무덤 유적. 한국토지공사 충북지사의 청주 산남3지구 일대에 대한 택지조성공사 계획에 따른 지표조사(1994년) 결과를 바탕으로 발굴조사(2004년)가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청동기시대 주거지 1기, 삼국시대 돌덧널무덤 1기, 조선시대 널무덤 2기가 확인되었다. 청동기시대 주거지는 해발...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비하동에 있는 초기철기시대 무덤 및 백제시대 생활유적. 1972년 민가조성을 위한 평탄작업 중 한국식동검을 비롯하여 검은간토기, 덧띠토기, 토제가락바퀴 등이 발견매장문화재로 신고 됨으로써 처음 학계에 알려졌다. 그러나 발견당시 곧바로 수습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충북지역에서는 출토례가 없는 귀한 연구·전시자료라는 측면에서 잔존유구나...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사천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유적. 질구지마을 뒤쪽편에 해당되는 이 구릉상에 풍화암반층을 파서 만든 파괴된 무덤이 조사되었다. 주변에 점판암 판석이 흩어져 있었고 1m쯤의 깊이로 판 구덩이 주위에서 간돌칼 1점·화살촉 8점이 수습되었다. 이 유물은 현재 청주대학교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수습유물의 성격·지형 조건 등으로 보아 이 일대에...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산남동 상정말에 있는 고려시대 건물지로 추정되는 유적. 한국토지공사 충북지사에서 계획한 청주 산남3지구 일원에 대한 택지 조성 공사에 따라 실시된 지표조사(1994년)에서 확인된 유적이지만, 2004년 택지개발과정에서 제외된 지역으로 발굴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구룡산(九龍山)[163.6m] 아래쪽 상정말마을의 뒷편에 있는...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산남동 아랫탑골마을에 있었던 원삼국·고려·조선시대의 무덤, 건물지, 가마터 등의 유적. 한국토지공사 충북지사에서 계획한 청주 산남3지구 일원에 대한 택지 조성 공사에 따라 지표조사(1994년) 결과 실시된 발굴조사(2004년)이다. 조사결과 원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무덤, 구덩유구, 건물터 등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절터가 있었다고...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산남동에 있었던 원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 걸쳐 조영된 무덤 및 가마터 등의 유적. 한국토지공사 충북지사에서 추진한 청주 산남3지구 일원에 대한 택지조성공사를 위해 실시한 지표조사(1994년도) 결과를 바탕으로 발굴조사(2004년도)가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원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무덤, 기와가마, 건물지, 구덩유구 등 다양한 유구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의 신석기시대에서 원삼국시대의 유물과 유구가 있는 유적지. 이 유적은 1995년 청주 상당산성 서장대 터를 발굴할 때에 청주 상당산성의 남문인 공남문 밖의 지역을 시굴조사 하였는데, 여기에서 여러 시대에 걸친 유물·유구가 조사되었다. 비록 시굴조사이기는 하나 이곳에서 유구로는 주거지와 원형의 화덕자리가, 유물로는 신석기시대의 빗살무늬토기·가락...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서촌동 새터마을에 위치한 삼국시대 유물산포지. 이 유적은 국립청주박물관에서 중원문화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학술조사 활동의 일환으로 실시한 미호천(美湖川)유역의 지표조사 결과 확인된 유적이다. 뚜렷한 유구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문살무늬가 두드림[타날] 된 삼국시대토기편이 출토되었다. 청주시의 서쪽에 위치한 새터마을 맞은편의 낮은 구릉...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서촌동에 위치한 유물산포지. 이 유적은 충북대학교박물관과 청주시가 청주시의 『문화유적 분포지도 -청주시-』제작을 위해 1998년도에 실시한 지표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유적이다. 유구의 흔적이 뚜렷하게 발견되지는 않았으나, 구릉사면에서 고려시대 토기편과 조선시대 자기편이 출토되었다. 청주시의 외곽에 있는 청주역과 그미방죽 사이의 낮은 구릉에...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서촌동에 위치한 고대의 유물산포지. 이 유적은 청주시의 『문화유적 분포지도 -청주시-』제작을 위해 1998년도에 충북대학교박물관에서 실시한 지표조사에서 확인되었다. 뚜렷하게 나타난 유구의 흔적은 없으나, 고려시대의 토기편과 조선시대 자기편이 출토되었다. 청주시의 서쪽 외곽에 있는 청주역으로부터 남쪽으로 1.2㎞ 정도 떨어진 해발 50~6...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서촌동에 위치한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이 유적은 충북대학교박물관과 청주시가 청주시의 『문화유적 분포지도 -청주시-』제작을 위해 1998년도에 실시한 지표조사 과정에서 확인되었다. 뚜렷한 유구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조선시대 백자편이 수습되었다. 청주시의 서쪽 외곽에 있는 서청주IC에서 청주역 방면으로 약 1.5㎞ 정도 떨어진 해발...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서촌동에 위치한 청동기시대 주거지. 이 유적은 청주시의 『문화유적 분포지도 -청주시-』제작을 위해 1998년도에 충북대학교박물관과 청주시가 공동으로 실시한 지표조사에서 확인되었다. 주거지는 능선의 정상부를 개간한 밭의 단면에서 발견되었는데, 화덕자리와 숯층이 확인되었고 민무늬토기편과 망치돌이 출토되었다. 청주시의 서쪽 외곽에 있는 서청주...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서촌동에 위치한 조선시대 유물산포지. 충북대학교박물관과 청주시가 청주시의 『문화유적 분포지도 -청주시-』제작을 위해 1998년도에 실시한 지표조사 결과 확인된 유물산포지이다. 백자편과 도기편이 출토되었는데, 같은 구릉 내인 서촌동유적⑤에서 청동기시대의 주거지가 확인되어 선사시대 유구도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청주시의 서쪽 외곽...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석소동에 있는 구석기시대의 유적. 경부고속도로 확장공사의 일환으로 건설되는 청주IC 확장건설계획으로 긴급 구제발굴 된 석소동유적은 충북대학교 박물관팀이 1992년 1월부터 40일간 발굴하였다. 석소동유적은 층위가 상당부분 깎이어 나가고 심하게 교란되어 선사시대의 유구는 확인하지 못했지만, 뗀석기와 간석기를 수습하였다. 그 가운데 구석기시...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송절동에 있었던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유적. 이 유적은 중원문화의 성격과 문화상 규명 작업의 일환으로 국립청주박물관이 실시한 미호천(美湖川) 유역에 대한 지표조사를 통해 처음 확인되었으며, 이후 청주시에서 추진한 관내 국도대체우회도로(송절동-율량동) 건설공사와 관련하여 한국문화재보호재단에 의해 1999년 시·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지표조사에...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신봉동에 있는 구석기시대 한데유적·매장유적·생활유적. 신봉동 구석기 유적은 봉명·신봉 지구 토지구획 정리사업 추진 계획에 따라 조사한 5개 구역 중 Ⅰ지구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신봉동 산 10번지 일원에 위치하는 해발 88~102m지역이다. 조사면적은 약 1500㎡로 구획은 자북방향에 맞추어 4×4m의 발굴 구덩을...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담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유적. 이 유적은 1992년 여름 용담초등학교 교정에서 하수도 공사 중 발견되었는데, 구덩이에서 파낸 흑색 부식토에서 청동기시대 민무늬토기편·석기·목재·씨앗·동물이빨 등이 수습되었다. 이러한 유물상으로 볼 때 이곳이 과거에는 완만한 계곡에 형성된 저습지 내지는 소택지이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용담’이란 지명과도 연관성이...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담동에 있었던 고려시대 유물산포지. 한국토지공사 충북지사가 추진한 청주 용암2지구 택지개발사업지구에 대한 문화재 부존여부의 파악을 위해 1995년 국립청주박물관이 실시한 지표조사시 고려시대 경질토기편 등 약간의 유물이 채집되면서 용담동 유물산포지로 이름붙여졌다. 지표조사 결과를 토대로 1999년 한국문화재보호재단에서 시굴조사(택지개발...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에 있는 고려 및 조선 시대의 유물산포지. 용암동 유적은 충청북도 상당구 청주시 용암동에서 발견된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 유적으로 크게 세 군데에서 발견되었다. 편의상 용암동 유적 ① ② ③으로 구분 명명된 유적은 대부분 토기 조각과 그릇 조각들로서 이곳이 예전에 집단 취락 지구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용암동 유적 ①은...
-
상당구 율량동에 위치한, 구석기시대의 뗀석기가 발굴된 유적지. 청주 중원관광호텔 및 종합문화쇼핑센터 건립부지 내 문화유적 지표조사를 통해 확인된 유적으로 2003년 10월 8일부터 실시하였고, 발굴조사를 통하여 얻어진 성과에 대한 학술적 검토 및 향후 유적의 처리방안 논의를 위한 지도위원회의를 2003년 11월 23일 개최하였다. 지도위원회의에서 검토·제시된...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지동동 고락골에 있는 조선시대 유물 산포지. 흥덕구 지동동 고락골마을 동쪽의 낮은 구릉지역으로 현재 배나무가 자라고 있는데, 청주시의 『문화유적 분포지도 -청주시-』제작을 위해 1998년 충북대학교박물관이 실시한 지표조사를 통해 확인되었다. 유물이 분포하는 범위는 주로 경작지로 사용되고 있는 능선 상부의 편평한 지역이며, 수습된 유물로는...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에서 고려시대에 걸친 유물이 넓게 산포되어 있는 유적. 이 유적은 1990년 충북대학교 박물관이 실시한 지표조사에서 청동기시대~고려시대에 걸쳐 유물이 넓게 산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1995년 10월 22일부터 11월 20일까지 가경동 363-9번지 일대에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흥덕구 가경3지구 택지...
-
철기시대 토탄층에서 벼 낟알 출토 및 삼국·조선·근대의 유구가 조사된 복합유적. 한국토지공사가 이 일대에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충북대학교 박물관이 지표조사(1994), 시굴조사(1995), 발굴조사(1995)를 실시하여 확인되었다. 조사결과 철기시대에 형성된 토탄층(土炭層)에서 벼 낟알이 검출되었고, 삼국·조선·근대시기에 조성된 무덤 및 구덩이[토광(土壙)] 유구...
-
청동기시대와 조선시대의 움집터가 조사된 유적. 대전광역시 신대동~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을 잇는 중부고속도로 건설공사구간(연장 145.3㎞)에 대한 문화유적 지표조사(1985, 1986)에서 처음 찾아졌고, 1986년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청동기시대 움집터[竪穴住居址] 1기, 조선시대 움집터 6기·돌덧널무덤[石槨墓] 1기·배수구(排水口) 1기 등 모두 9기의 유구가 조사되었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화계동에 있는 삼국시대 유물산포지. 충북대학교박물관이 청주시의 『문화유적 분포지도 -청주시-』를 제작하기 위해 실시한 지표조사 과정에서 확인되었다. 연질의 두드림무늬토기편과 경질토기편 등의 수습 유물을 통해 삼국시대 고분이 조영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청주시의 서쪽에 있는 화계동의 새터마을과 원화계마을 사이의 낮은 구릉에...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개신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기와가마터[瓦窯址]. 청주 개신지구 택지개발 과정에서 확인되어 1998년 충북대학교 박물관에 의하여 발굴되었다. 와요지[瓦窯址]는 택지개발지역 남쪽으로 치우친 해발 53m의 낮은 구릉사면부에 위치하며, 경작과정에서 유구의 대부분이 파괴되었고 연소실·소성실 및 벽면 일부만이 남아 있었다. 낮은 구릉사면의 풍화암반층...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유물이 출토된 유적지. 흥덕구 가경동 홍골마을 뒤쪽으로 해발 75m내외의 낮은 능선이 북-남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여러 줄기의 짧은 가지능선이 뻗어 있다. 능선의 사면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어서 밭으로 경작되고 있다. 그리고 능선 끝부분은 평탄하여 논·밭으로 이용되고 있다. 유물은 능선 사면과...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개신동에서 구석기시대 만들어진 마줏날 긁개가 지표조사를 통해 확인된 유물산포지. 충북대학교 농과대학과 여학생 기숙사 사이의 얕은 구릉지에서 마줏날 긁개가 채집되어 구석기유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흥덕구 개신동 충북대학교 농과대학과 여학생 기숙사 사이의 얕은 구릉지에 위치한다. 지표조사를 통해 확인된 마줏날 긁개의 돌감은 석영(...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개신동에 있는 구석기시대의 유물이 출토된 유적지. 충북대학교 약학대학과 북말마을 사이에는 과수원과 밭이 있는데, 유물이 채집된 것은 약학대학 앞(남쪽)의 밭일대이다. 여기에서 석영을 돌감으로 하여 잘 손질한 사냥돌 등의 석기유물이 채집되었다. 흥덕구 개신동 죽말 충북대학교 약학대학과 북말마을 사이에 위치한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금천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에서 고려시대에 이르는 유물이 산포되어 있는 유적지. 이 유물산포지에서는 민무늬토기조각·돌 그물추·석영암제 뗀석기와 삼국 ~ 고려시대 토기조각, 소형탑 모양의 토제품 등의 유물이 수습되었다. 또 현재 지표상에 특별한 유구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납작한 자연석을 이용한 그물추와 소형석봉, 석영암제 뗀석기가 채집되어 신석기나 구석기...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금천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삼국시대, 고려시대의 유물이 출토된 유적지. 이 유물산포지에서는 청동기시대의 민무늬토기·돌도끼·삼국시대 토기조각·고려시대의 토기와 기와조각 등의 유물이 수습되었다. 특히, 찾아진 유물 중 홈자귀는 홈이 있는 도끼의 형태로 주로 나무를 손질할 때 쓰이는 도구로 날부분는 갈아서 매끈한 상태이며, 홈부분도 비교적 잘 마연하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에 있는, 구석기시대의 유물이 출토된 유적지. 이곳에서 뗀석기를 찾았는데, 그 가운데 반암을 돌감으로 때릴면을 조정하여 떼어낸 격지가 주목된다. 이 지역은 상당히 오랫동안의 경작과정으로 본래의 유물 포함층을 찾지는 못하였으나, 깍여진 단면에서 구석기시대 유물이 발견되는 홍적토가 확인되어 석기와 함께 유적의 가능성을 갖게하고 있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신성동에 있는 청동기시대부터 삼국시대의 유물이 출토된 유적지. 흥덕구 신성동의 상신성마을 동쪽에 동-서로 뻗어 있는 능선의 정상부에 위치한다. 유적 서쪽으로는 석남천이 흐르고 있고, 북서쪽으로는 미호천(美湖川) 유역의 충적평야인 신대들이 넓게 펼쳐져 있다. 현재 밭으로 경작되고 있다. 능선의 정상부 일대에서 민무늬 토기편·돌도끼·토기편...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오동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유물산포지. 상당구 오동동의 청주~진천을 잇는 17번국도와 미호천(美湖川) 충적지인 팔결들 사이에는 남동-북서로 뻗은 능선이 있으며, 이 능선의 북동향하는 경사면에 유적이 위치하고 있다. 능선 좌우에는 큰한대골과 작은 한대골의 좁은 골짜기를 이용한 논이 형성되어 있고, 맞은편 능선에 오동동동사무소가 있다. 유물...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운동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유물이 출토된 유적지. 유물산포지에서 돌낫·숫돌·민무늬토기조각 등을 수습하였다. 흥덕구 운동동 운동초등학교와 부영아파트 사이에는 동-서로 정상부와 남사면에 짧게 남아 있는 능선이 있다. 유적은 운동초등학교 바로 뒤편의 능선 정상에 위치한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원평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유물이 출토된 유적지. 흥덕구 원평동 벌독정이와 큰독정이마을 중간쯤에 남동-북서방향으로 뻗은 능선이 있으며, 남서향으로 완만하게 경사진 능선 사면부분은 개간하여 밭으로 경작되고 있다. 이 밭 일대가 유물산포지이다. 이 유물산포지에서는 그릇모양을 알 수 없는 적은 양의 민무늬토기 조각들이 발견되었다. 민무늬토기는...
-
흥덕구 평동에서 확인된, 뚜렷한 매장유구(遺構)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지표에 유물이 일정한 빈도·밀집도를 보이며 분포하고 있어 유구의 존재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는 유적. 청주공업단지 외곽도로에서 남촌2육교를 지나 평리마을쪽으로 향하다 은고개를 넘으면 내리막길의 동쪽 편으로 밭이 펼쳐져 있다. 이곳은 평동 아래평리마을의 어귀에 해당되며, 해발 50m내외의 완만한...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 이정골 앞 냇가에 있는 석상. 전설에는 중이 이 선돌을 지고 가다가 떨어뜨렸다고 전하고 있다. 선돌의 ‘선’은 ‘서다(立)의 관형사형으로 쓰인 것이고 ’돌‘은 ’석(石)‘의 뜻이라 선돌은 ’서 있는 돌‘이라는 뜻이다. 상당구 용정동 이정골을 흐르는 영운천(潁雲川) 변에 있다. 본래 2기의 장승이 있었는데, 하나는 언제 없어 졌는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율량동에 있는 선돌[입석(立石)] 선돌은 지석묘(支石墓, 고인돌)과 함께 청동기시대부터 이루어진 거석(巨石)기념물이며, 역사시대에 들어와서는 신앙의 대상물로 종교적 기능과 문화적 기능을 복합적으로 지녔다고 할 수 있다. 선돌은 세워진 양상에 따라 선돌 단독으로 세워진 것, 선돌이 짝을 이루며 세워진 것, 선돌과 돌탑 등 복합형태로 있는 것 등으로...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지북동에 있는 선돌[입석(立石)]. 선돌은 지석묘(支石墓, 고인돌)과 함께 청동기시대부터 이루어진 거석(巨石)기념물이며, 역사시대에 들어와서는 신앙의 대상물로 종교적 기능과 문화적 기능을 복합적으로 지녔다고 할 수 있다. 선돌은 세워진 양상에 따라 선돌 단독으로 세워진 것, 선돌이 짝을 이루며 세워진 것, 선돌과 돌탑 등 복합형태로 있는 것 등으로...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내덕동 안덕벌에 있는 선돌(立石). 고인돌과 함께 큰돌 문화(巨石文化, Megalithic culture)의 한축을 이루고 있는 선돌은 선사시대부터 축조된 것이 발굴결과 밝혀지고 있으나 모든 선돌이 선사시대부터 새워졌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조사에 따르면 금강권에 있는 선돌은 다른 어느곳보다 많이 있다. 금강권의 선돌은 짝을 이루고 있는 것이 많은데...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복대동에 위치한 선돌(立石). 고인돌과 함께 큰돌 문화(巨石文化, Megalithic culture)의 한축을 이루고 있는 선돌은 선사시대부터 축조된 것이 발굴결과 밝혀지고 있으나 모든 선돌이 선사시대부터 새워졌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조사에 따르면 금강권에 있는 선돌은 다른 어느 곳 보다 많이 있다. 금강권의 선돌은 짝을 이루고 있는 것이 많은데,...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분평동에 위치한 선돌(立石). 고인돌과 함께 큰돌 문화(巨石文化, Megalithic culture)의 한축을 이루고 있는 선돌은 선사시대부터 축조된 것이 발굴결과 밝혀지고 있으나 모든 선돌이 선사시대부터 새워졌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조사에 따르면 금강권에 있는 선돌은 다른 어느 곳 보다 많이 있다. 금강권의 선돌은 짝을 이루고 있는 것이 많은데,...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죽림동에 있었던 장승. 흥덕구 죽림동의 월천과 가경동(佳景洞) 경계의 민가 뒤쪽에 위치하였다. 크기는 높이 160㎝로, 원래는 무덤 앞에 있던 문인석(文人石)으로 판단된다. 돌장승으로 말미암아 이곳을 ‘미력뎅이’라고 부른다. 미력뎅이는 미륵덩이의 변한 말로 해석된다. 돌장승을 미륵으로 부른 데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돌장승은 마을 사람...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에 있었던 신당. 용정동 이정골에서는 매년 음력 정월 동제를 지낸다. 동제는 천제당에서 먼저 제사를 올린 후 산제당으로 내려와 산신제를 지내고, 마지막으로 마을 앞에 있는 선돌에 장승제를 지낸다. 제일은 보통 정월 열 나흗날이거나 보름이 택일된다. 낙가산 중턱에 있는 천제단에서 천신제를 지내고, 50m 내려와 위치한 산제...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성화동에 있는 신당. 흥덕구 성화동 원농촌(原農村)마을 입구에 잡석을 쌓은 2m 20㎝ 높이, 10m 둘레의 돌탑과 100년이 안 된 소나무로 이루어진 신당이다. 현재 위치에서 길 건너 있던 서낭이 1984년 수자원공사의 수로관이 묻히면서 현재 원농촌(原農村)마을 입구로 옮겨 자리 잡았다. 원래는 지금의 돌탑보다 약 50㎝ 정도 더 높았...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율량동에 있는 신당. 잡귀를 막아주는 수목신당으로, 음력 정월 열 나흗날 제를 올렸다. 생기복덕에 맞추어 제주를 선정해 금기를 지키고, 제수를 정성껏 마련하여 제를 올렸으나 지금는 올리지 않고 마을 쉼터로 사용되고 있다. 벚나무, 참나무의 수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장암동에 있는 돌탑. 방죽말에서 서낭제를 지내던 돌탑으로, 정월 열 나흗날 동제를 올리던 신당이다. 상당구 장암동 방죽말 용주사 입구에 있다. 장암동 방죽말에서 지내던 동제가 없어진 뒤 용주사에서 매년 정월 열 나흗날 고사를 지낸다. 제수는 삼색과일, 떡, 포, 돼지머리를 마련하여 오후에 약식의 굿 형식으로 고사를...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주성동에 있는 서낭당.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고, 한 해의 액을 막기 위해 정월 열나흗날 동제를 올리던 신당이다. 생기복덕을 가려 제주를 뽑고, 금기를 지켜 유교식 절차에 맞춰 제사를 올렸으나 1970년 무렵에는 완전히 폐지되어, 개인적으로 치성이나 고사를 올리고 있다. 상당구 주성동 수름재 동남쪽의 백화산 아래의 강당말에 있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지동동에 있는 돌탑과 소나무로 이루어진 서낭당. 모골마을 뒤 서 있는 돌탑을 서낭이라고 부른다. 예전부터 내려오고 있으나 지동동에서 동제를 올린 적은 없고, 개인적으로 고사를 올린 흔적은 볼 수 있었다. 최근에도 무속인이 찾아와 치성을 드리고 간 흔적을 정월 무렵 볼 수 있다. 상당구 지동동 모골 뒷산인 부모산 밑에 있다. 1...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지북동에 있는 신당. 이 서낭은 예전에 매년 정월 열 나흗날 북촌마을에서 서낭제를 올렸었다. 상당구 지북동 북촌마을에서 청원군 남이면 사갑리로 넘어가는 고개에 있다. 원추형의 돌탑과 수목으로 되어 있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율량동에 있는 신당 터. 산신제를 올리던 산제당이었다. 상당구 율량동 율상리 상당산성 서쪽 사면 중턱에 있다. 율상리에서 동제를 올리지 않게 된 후 보암사에서 산신제를 올린다. 자연암벽 밑에 3~4평 정도를 평지로 다듬어 앞면에 축대로 단을 쌓았다. 현재는 폐허가 되어 흔적을 찾기 어렵고, 주변에 기와조각이 발견된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봉명동 봉명사거리 북서쪽 부근에 있었던 조선시대의 수리시설. 과상이란 주변에 과일 상점이 많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현재 봉명사거리 북서쪽 부근에 있었던 수리시설로 영조 때 만들어져 최근까지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남아있지 않고 지명만 지금도 사용하고 있다.『청주읍지(淸州邑誌)』에는 주치(州治)에서 서(西)로 10리 떨어진 곳에 있고, 주위가 1,...
-
현재의 봉명동 799~801번지 부근에 있었던 조선시대 수리시설. 현재의 봉명동 799~801번지 부근에 있었던 수리시설로 『청주읍지(淸州邑誌)』에는 주치(州治)에서 서(西)로 5리 떨어진 곳에 있고, 주위가 552척이며 수심이 2척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봉명동 사거리 남동쪽 기슭의 봉명파크장 주변에 있었으며, ‘소댕이방죽’이라 불FL다가 1983년 주변이 택지 지역으로...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지동동 마래골에 있는 조선시대 제방. 기록으로 보아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데, 『여지도서(輿地圖書)』청주목 제언조에 ‘재주서이십리주위팔백삼십사척수심사척(在州西二十里周圍八百三十四尺水深四尺)’이라 기록되어 있어, 청주 서쪽 20리에 있고 둘레가 8백 34척, 수심이 4척임을 알 수 있다. 제방은 부모산에서 청주역 방향으로 흘러내린 구릉 사...
-
화죽들에 만들어진 조선시대 수리시설. 화죽제언은 청원군 북이면 화상리와 화하리에 발달된 화죽들에 만들어진 제언으로 화죽들은 석화천과 미호천(美湖川) 사이에 발달된 들이기 때문에 홍수로 여러 번 유실되었다. 이에 제방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1760년(영조 36) 편찬된『여지도서(輿地圖書)』에도 청주목의 63개 제언 중 화죽제언이 중요한 제언으로 기록되어 있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석교동에 있었던 돌다리. 조선시대 이전의 다리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석교이다. 가설시기에 대해서는 기원전 57년이라는 설이 있으나 신빙성은 없다. 청주읍성의 축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량이라고 볼 때 대략 고려시대에 가설되었으며, 무심천(無心川)의 범람 때마다 유실되는 피해가 발생함으로써 수차례 수·개축이 이루어진 것으로 짐작된다. 1930년...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대성동 충청북도지사 관사 내에 있는 석등. 충청북도 도지사 관사의 정원에 있는 석조물이다. 당초 이 석조물이 위치한 옛 절터(寺址)에 대한 문헌기록이나 명문유물(銘文遺物)이 없어 절 이름(寺名)과 유래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주변에 산재한 기와 조각(瓦片)과 석조물(石造物)들로 보아 대략 고려시대(高麗時代)에 불사(佛事)가 이루어졌음을...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화동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당집. 조선시대에 고을 백성들의 안녕을 위하여 성황신을 모셨던 당집이다. 조선조에 들어와서 중앙집권화의 한 방식으로 산천(山川), 성황(城隍), 풍운(風雲), 뇌우(雷雨) 등 여러 명칭으로 부르던 민간신앙의 단(壇)들을 하나의 성황사(城隍祠)로 통합하여 주·부·군·현의 행정 단위마다 하나씩 설치하여 지방관으로 하여금...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산남동에 있는 방죽. ‘원흥이 방죽’의 ‘원흥이’는 산남동에 있는 마을 이름으로서 원현리(元峴里)라고도 한다. 그런데 원흥(元興)의 어원은 알 수가 없다. 일설에 의하면 조선 중기 영조 때 사도세자를 죽이는데 주동적인 역할을 하고 고을 원(員: 한성 판윤)을 지낸 광산김씨 대감이 낙향하여 살았다 하여 붙인 이름이라고도 하고, 원(元)씨가 세운 마을...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방서동에 있는 네모난 우물. 청주한씨(淸州韓氏)의 시조인 한란이 살던 마을에 있던 우물의 이름으로 너비 47.5~62.5㎝, 길이 153.5㎝의 네모진 샘이다. 무농정에서 약 200m 떨어진 청주한씨 종중회관이 있는 골목 안쪽에 있다. 1990년 12월 14일 충청북도 기념물 제84호로 지정되었으며, 1998년 우물보호를 위해...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문산리 문의문화재단지에 있는 고려 시대 돌다리. 청주 문산리 돌다리[淸州 文山里 石橋]는 옛 문의현 관아 앞에 있던 돌다리로 문의문화재단지로 옮겨 놓았다. 남천(南川)을 건너 옛 문의현 관아에 들어서기 전 구(溝)를 건너던 돌다리이다. 청주 문산리 돌다리에 대한 기록은 『문의읍지』에 관아 홍살 앞에 있다는 내용이 나온다. 교각에는 ‘을묘이월(乙卯二月)...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사직동과 상당구 서문동을 연결하는 보행교. 서문대교(西門大橋)는 충청북도 청주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무심천에 놓인 31개의 다리 가운데 하나이다. 청주읍성(淸州邑城)의 서문(西門) 밖에 있어서 ‘서문대교’라고 불리게 되었다. 서문대교는 2023년 청주 미래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북문로2가에 있었던 청주역 주변 지역. 1921년 조치원과 청주를 잇는 충북선 개통에 발맞춰 청주역(淸州驛)이 건설되었다. 청주역은 1968년 철도 직선화 사업에 따라 우암동의 청주문화방송 자리로 이전되었으며, 1980년 정봉동으로 다시 이전[기존의 정봉역을 통합]하였다. 옛 청주역 일원은 2023년 청주 미래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북문로2가에 있는 헌책방. 중앙동 헌책방(中央洞 헌冊房)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북문로2가에서 영업하는 헌책방이다. 2023년 청주 미래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복대동 죽천교에서 석소동 경부고속도로 청주나들목까지 플라타너스가 식재된 도로. 플라타너스 가로수길은 청주시의 주요 진입로로 우암산, 무심천과 함께 청주시를 대표하는 상징물이다. 플라타너스 가로수길은 영화 『만추』, 드라마 『모래시계』 등에도 등장하여 전국적인 명소로 알려지게 되었다. 2023년 청주 미래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북문로2가에 있었던 목욕탕. 학천탕은 1988년 준공되었다. 설계는 서울올림픽주경기장, 국회의사당, 세종문화회관, 서울대학교 예술관, 국립청주박물관, 세운상가 등을 설계한 건축가 김수근[1931~1986]이 맡았다. 상호는 설립자인 박학래(朴鶴來)[1923~2010]와 아내 채천식(蔡川植)의 이름에서 한 글자씩 따온 것이다. 학천탕은 박학래가 다니던 국민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