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라말 청주 출신의 인물. 궁예(弓裔) 정권 하에서 같은 고을 사람 아지태(阿志泰)로부터 참소를 당하였다. 아지태는 아첨을 좋아하고 간사하였는데, 궁예에게 같은 고을 사람 관서(寬舒)와 입전(笠全) 등을 참소할 것을 청하였다. 해당관리가 이 사건을 심리하였으나 수년 동안 판결을 내리지 못하였다. 왕건(王建)이 당장 그 흑백을 분간해 판결을 내리니 여러 사람들이...
-
고려 전기 청주 출신의 인물. 청주인으로 고려 초에 서울에 와 있던 인물이다. 태조(太祖)의 즉위 초에 청주 출신의 견금(堅金)과 관준 등이 서울에 있으면서 다른 마음을 먹고 있다고 하면서 없애버릴 것을 말하였다. 그러나 태조가 받아들이지 않았다. 동향의 인물로부터 참소를 당한 인물이다....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청주 지역 출신의 학자. 구희(具凞)[1823~1889]의 가계는 알려진 바가 없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환희리에 있는 백록서원에 배향된 조선 전기의 문신. 권상(權常)[1508~1589]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길재(吉哉), 호는 남강(南崗)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권온(權溫)이고, 할아버지는 권욱(權旭)이다. 아버지는 전생서참봉 권진(權振)이고, 어머니는 장례원사의 신회(申澮)의 딸 고령 신씨(高靈 申氏)이다. 아들은 권수(權𢢝)·권황(權愰)·...
-
일제 강점기 충청북도 청주 지역 출신의 학자. 김관회(金觀會)[1890~1973]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예경(禮卿), 호는 화산(華山)이다. 아버지는 김재우(金在禹)이다....
-
개항기 충청북도 청주 지역 출신의 학자. 김사우(金思禹)[1857~1907]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인보(仁父), 호는 용암(勇菴)이다. 아버지는 선공감역 김호벽(金好璧), 어머니는 박호준(朴浩準)의 딸이다....
-
조선 말기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호는 용암(勇菴)으로 돈령(敦寧) 김복원(金復元)의 현손이다.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제자이다. 유고(遺稿)로 『사장(詞章)』 2권, 『성리설문답(性理設問答)』 3권, 『경설(經說)』 1권, 『비문(碑文)』 1권 등 7권이 전한다. 전간재의 제자로서 성리학에 밝고 문장에 뛰어나며 효우와 독행(篤行)이 출중하였다....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청주 지역에 은거하였던 문신. 김우옹(金宇顒)[1540-1603]의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자는 숙부(肅夫), 호는 동강(東岡) 또는 직봉포의(直峰布衣)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종혁(金從革)이고, 할아버지는 김치정(金致精)이다. 아버지는 삼척도호부사 김희삼(金希參)이고, 어머니는 곽인화(郭仁化)의 딸 청주 곽씨(淸州 郭氏)이다. 형은 김우홍(金宇弘)·김우굉(金宇...
-
개항기 충청북도 청주 지역 출신의 학자. 김익성(金翊性)[1863~1944]의 본관은 청풍(淸風)이며, 자는 덕재(德哉), 호는 만취당(晩翠堂)이다....
-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교하(交河)이며, 호는 농곡(聾谷)이다. 아버지는 노종원(盧從元)이고, 아들은 목사를 지낸 노문한(盧文漢)이다. 충청북도 청원군 남일면 가산(駕山)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문장과 학행이 뛰어났으나, 과거에 등제하지 못하고 처사(處士)로 지내면서 경적(經籍)에 심취하였다. 사림에서 문묘종향을 건의할 정도로 문명(文名)이 높았다. 처사로서 세인(世人)들이...
-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교하(交河)이며, 초자는 신중(愼仲), 자는 여림(如林), 호는 한원(漢源)이다. 아버지는 진사 노명흠(盧命欽)이다. 영조(英祖) 때 영의정이었던 홍봉한이 청주목사로 재직할 당시인 1742년(영조 18)에 실시된 청주 백일장에서 6살의 나이로 장원하여 주위를 놀라게 했다. 이것이 인연이 되어 홍씨 일문의 자손들과 교유하게 되었다. 1765년 진...
-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나주(羅州)이며, 자는 세숙(世叔)이고, 거주지는 청주였다. 아버지는 박제(朴悌)이고, 동생으로 박익한(朴翊韓)과 박일한(朴一韓)이 있었다. 1660년(현종 1)에 생원시(生員試)에 급제하였다....
-
조선 전기의 학자·문신. 본관은 밀양(密陽)이고, 자는 희인(希仁)이며, 호는 눌재(訥齋)이다. 규정공(糾正公) 박현(朴鉉)의 8세손으로, 눌재공파의 파조(派祖)에 해당되는 인물이다. 아버지는 박미(朴楣), 할아버지는 박중손(朴仲孫), 증조할아버지는 박절문(朴切門), 외할아버지는 강석덕(姜碩德), 처부는 박영달(朴英達)이다. 아들 박훈(朴薰)[1484~1540]은 기묘명현(己卯名賢...
-
조선 전기의 청주 출신의 선비. 본관은 나주(羅州)이고, 자는 서백(恕伯)이며, 호는 선재(扇齋)이다. 아버지는 박몽신(朴夢信)이고, 동생 박효열(朴孝悅), 박신열(朴信悅)이 있다. 청주에서 거주했는데, 1568년(선조 1)에 증광 진사에 합격하였다. 학행(學行)이 널리 드러났고, 신항서원(莘巷書院)의 원장을 지냈다. 흥덕구 강서동의 송곡평(松谷坪) 선영 아래...
-
조선 전기 청주지역의 효자·학자. 본관은 초계(草溪)이고, 자는 중신(仲申)이며, 호는 백음(栢陰)이다. 청원군 내수읍 비상리 출신이다. 세종 때 예문관제학을 지낸 변효문(卞孝文)의 4세손으로, 아버지는 변충남(卞忠男), 할아버지는 변승종(卞承宗), 증조할아버지는 변심(卞鐔)이다.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와 성장하였으나 어머니를 봉양함이 지극하여 생전의 봉양과 사후의 알묘(...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청주 지역 출신의 학자. 사주당 이씨(師朱堂 李氏)[1739-1821]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호는 사주당이다. 아버지는 통덕랑 이창식(李昌植)이고, 어머니는 강덕언(姜德彦)의 딸이다. 사주당 이씨는 유한규(柳漢奎)의 네 번째 부인이며, 아들은 유희(柳僖)이다....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청주 지역 출신의 문신. 신교(申灚)[1641~1703]의 본관은 고령(高靈)이며, 자는 성원(聖源), 호는 백석정(白石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신중엄(申仲淹)이고, 할아버지는 대사간 신용(申涌)이다. 아버지는 함경도도사 신득홍(申得洪)이고, 어머니는 진주 정씨(晉州 鄭氏)이다. 동생은 신학(申㶅)·신역(申湙)이고, 아들은 신명제(申命濟)·신문제(申文濟)·신겸제...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청주 지역 출신의 학자. 오명립(吳名立)[1563~1633]의 본관은 보성(寶城)이며, 자는 현백(顯伯), 호는 지선정(止善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오계하(吳繼夏)이고, 할아버지는 오중형(吳仲衡)이다. 아버지는 군자감참봉 오경(吳璟)이고 어머니는 박세영(朴世英)의 딸 나주 박씨(羅州 朴氏)이다. 부인은 고령신씨(高靈申氏)이고, 아들은 오익태(益泰)·오익승(益升)...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사인리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학자. 왕경석(王慶錫)[1824~1891]의 본관은 개성(開城)이며, 자는 방언(邦彦)이다. 아버지는 왕한봉(王漢鳳)이고, 어머니는 조성좌(趙聖佐)의 딸이다....
-
개항기 충청북도 청주 지역 출신의 문신. 유관수(柳觀秀)[1846~1885]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경빈(景賓), 호는 국인(菊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유진흥(柳晋興)이고, 할아버지는 유낙묵(柳洛默)이다. 아버지는 유석규(柳錫奎)이고, 어머니는 김춘식(金春植)의 딸 김해 김씨(金海 金氏)이다. 부인은 김영환(金榮環)의 딸 안동 김씨(安東 金氏)이고, 아들은 유해주(柳海珠)...
-
조선 세조 때 청주의 선비.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대제학 저정(樗亭) 유백유(柳伯濡)의 아들이다. 부인은 보령현감의 딸 현풍곽씨(玄風郭氏)이다. 생원시에 합격한 뒤 단종이 폐위되자 세상일을 버리고 청주 무동에 은거하여 도학연마에 진력하였다. 세조(世祖)가 여러 번 불렀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광해군(光海君) 때에 관원을 보내어 그가 살던 청주의 무동에 찾았다. 그곳에 무과나무가 매...
-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이고, 자는 치운(致雲)이며, 호는 숙옹(塾翁)이다. 아버지는 유지정(柳之程)이며, 어머니는 연일정씨(延日鄭氏)로 선략장군(宣略將軍) 이로(利老)의 딸이다. 평생을 고향인 문산(文山)[현 충청북도 문의(文義)]에서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전념하였다. 이괄(李适)의 난과 병자호란과 같은 난국에 처하였을 때, 국가를 보위하려 하였으나 제대로 뜻을...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청주 지역에 은거한 문신. 윤사석(尹師晳)[?~?]의 본관은 파평(坡平)이며, 호는 둔암(遯菴)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조판서 윤곤(尹坤)이고, 할아버지는 판한성부사 윤희제(尹希齊)이다. 아버지는 참판 윤은(尹垠)이고, 어머니는 예빈시판관 이수상(李守常)의 딸 용인 이씨(龍仁 李氏)이다....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청주 지역 출신의 문신. 이구직(李丘直)[1339~1394]의 본관은 전의(全義)이다. 아버지는 전법좌랑 이득영(得榮)이고, 어머니는 감찰대부 류정(柳靖)의 딸 문화 류씨(文化 柳氏)이다....
-
조선후기의 학자.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여인(汝人), 호는 어당(峿堂)이다. 이연주(李演周)의 아들로, 어머니는 윤씨(尹氏)이다. 1820년(순조 20) 회인(懷仁)에서 출생하였는데, 1871년(고종 8) 청주 강외면 연제리에 이사하여 1882년에 우거지(寓居地) 연제리에서 죽었다. 1855년(철종 6) 선공감가감역(繕工監假監役)이 되었고, 임술민란 뒤 「응지삼정소(應旨三...
-
개항기 충청북도 청주 지역 출신의 문신. 이의국(李義國)[1867~1935]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자는 치인(致仁)이다. 어릴 적 이름은 이의창(李義昌)이다. 아버지는 이학녕(學寧)이고, 의흥현감 이봉녕(李鳳寧)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
조선 후기 청주지역의 유생.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서휘(瑞輝)이고, 거주지는 청주이다. 아버지는 승의랑(承義郞) 증좌승지 이경회(李慶會)이고, 조부는 풍천도호부사를 지낸 이시득(李時得)이다. 형으로 이인량(李寅亮)과 이인형(李寅馨)이 있다. 부인은 초계정씨이다. 1654년(효종 5) 식년 진사시(進士試)에 급제하였으나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청주에서 은거하며 경학 연구에...
-
조선 후기 청주지역의 유생.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문원(聞遠)이고, 거주지는 청주이다. 부친은 승의랑(承義郞) 증좌승지 이경회(李慶會)이고, 조부는 풍천도호부사를 지낸 이시득(李時得)이다. 형으로 이인량(李寅亮)이 있고, 동생으로 신항서원의 사액을 청한 이인빈(李寅賓)과 이인정(李寅貞)이 있다. 부인은 순흥안씨이며, 경상우병사와 함경도 북병사를 지낸 이순곤(李順坤)이 아들...
-
개항기 충청북도 청주 지역 출신의 문신. 이종우(李鍾禹)[?~?]는 청주에서 태어나 1870년(고종 7)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1886년(고종 23) 4월 18일 강릉참봉에 제수되었고, 1903년 10월 12일 군부참서관에 제수되었으나 곧 사임하였다. 이후 정3품 통정대부에 제수되었고, 1907년 1월 20일 종2품 가선대부에 올랐다....
-
개항기 충청북도 청주 지역 출신의 학자. 이화원(李華遠)[1858~1936]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호는 금초(錦樵)이다. 1858년 지금의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용계리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성격이 호탕하고 인품이 뛰어났다고 하며, 문장과 필법이 거침없고 자유로워 명성을 떨쳤다. 개항기에는 경학원박사를 역임하였다....
-
조선 후기의 문인. 본관은 풍양(豊壤)이고. 자는 석여(錫汝) 또는 보여(寶汝)이며, 호는 동계(東谿), 건천자(乾川子)이다. 첨정 조태수(趙泰壽)의 아들이다. 재종형인 조문명(趙文命)의 딸이 진종(眞宗)의 왕비로 간택되는 등 조선 후기 소론의 벌열가문인 풍양조씨에서 태어났으나 벼슬에는 뜻을 두지 않고 오로지 문장으로 자처하였다. 특히, 산문에 특장이 있어 당시 팔문장(八文章)으로...
-
일제의 강점에 분개하여 스스로 자결한 애국지사. 유생으로서 임헌회(任憲晦)의 문하에서 학문을 수학하였다. 그러나 1910년 8월 일제가 한국을 강제로 병탄하여 나라가 망한 현실에 통분하여 죽음으로써 항의하기로 결심하고, 이 해 10월 27일 의관을 깨끗이 갈아입은 다음 단식을 결행하여 결국 자결 순국하였다. 정부는 그의 충절을 기려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
-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충주(忠州)이며, 호는 운옥(雲獄)이다. 지필동(池必東)의 아들이며, 청주에서 출생하였다.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의 난(亂)에 청주를 피하여 영남·호남지방을 여행하는 동안 사회제도의 모순을 간파하고 시정을 노하였으나 여의치 못하여 회덕으로 옮겨 학구에 전념하였다. 저서에서 만민평등(萬民平等), 국민개병(國民皆兵), 전제개혁(田制改革) 등을...
-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인천(仁川)이고, 자는 군범(君範)이며, 호는 봉암(鳳巖)·삼환재(三患齋)·봉계(鳳溪)·사장와(舍藏窩)이다.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채영용(蔡領用)이며, 어머니는 유씨(柳氏)로 유승주(柳承冑)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재주가 뛰어나 어머니가 『등왕각서(藤王閣序)』를 말로써 가르치면 한번에 암송하는 재질이 있었다. 8세에 시를 짓기 시작하였고, 또한『상서(尙書)...
-
조선 전기의 문인.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자는 근초(謹初), 호는 쌍백당(雙栢堂)·쌍백당이다. 아버지는 홍해(洪瀣)이며, 거주지는 청주 산내일면 판교리(현 청원군 미원면 수산리)이다. 부인은 경주이씨(慶州李氏)로 섬계서당을 열어 조선 중기 청주지역 사림들의 교육에 앞장 선 이잠(李潛)의 딸이다. 동생으로 장악원정(掌樂院正)에 추증된 홍순선(洪純善)과 집의(執義)를 지낸 홍순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