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간에서 자연 발생적으로 오랫동안 전승되어 온 노래. 청주민요의 사설, 가락, 기능에 대한 전반적인 특성을 다루는 것이 마땅한 일이나 기존 자료나 조사의 불충분으로 청주민요의 사설과 기능을 중심으로 기능별 분류 체계에 따라 노동요, 의식요, 유희요로 분류할 수 있다. 1. 노동요 (1) 농업노동요 : 「모찌기 노래」, 「모내기 노래」, 「논매기노래」, 「보리타작 노래」 (2) 길쌈...
-
죽은 사람의 천도를 기원하는 무가(巫歌). 무속은 여느 고등종교와 달리 현실에서의 복락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만큼 우리의 전통적 삶이 녹록하지 않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이를테면 현실의 벽에 의한 좌절, 그리고 그것을 기정사실로 용납하려 하지 않는 미련, 이 사이에서 누구나 크고 작은 한이 맺히게 마련이다. 그런데 해원풀이를 통해 이승의 삶에서 맺힌 망자의 한을 풀 수 있다고...
-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논을 맬 때 부르던 농업 노동요. 「논매기 노래」는 모를 심은 뒤 논에 나는 잡초를 제거하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논매기 노래」를 부르며 김을 매면 지겨움을 덜 수 있고 일의 능률도 높일 수 있다. 농사를 짓는 지역에서는 흔히 전승되는 대표적인 농업 노동요이다. 「논매는 노래」라고도 한다....
-
농부들이 논에서 김을 맬 때 부르던 노동요. 「논매는 노래」는 다른 지방의 민요와 마찬가지로 초벌매기 소리, 두벌매기 소리, 세벌매기 소리가 있다. 이 소리는 공동 노작(勞作)을 하는 과정에서 생성되었으므로, 앞소리를 뒷소리가 받쳐주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청주지역 「논매는 소리」를 곡조와 뒷소리 형태를 중심으로 나눠 보면, 방아소리, ‘잘하네’ 소리, ‘상사데’ 소리,...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남촌동에서 집짓기에 앞서 집터를 다질 때 부르던 노동요. 「땅다지기 노래」는 사람들이 모여서 땅을 다지면서 부르던 노래인데, 장례에서 의식요로 불리기도 하고 토목 공사를 할 때 노동요로 불리기도 한다. 충청북도 청주에서 전승되는 「땅다지기 노래」는 집을 지을 때 부르던 터다지기 노래에 해당한다. 「터다지는 노래」, 「집터다지는 노래」라고도 한다....
-
새로 집을 지을 때 집터를 다지며 부르는 노동요. 새로 지을 집터를 다지며 부르는 노래를 지방에 따라 「땅다지기 소리」, 「지경소리」, 「지신밟기」, 「안택가」 등으로 부른다. 묘를 쓰면서 땅을 다질 때 부르는 「달구질 소리」는 땅을 다진다는 점에서는 비슷하나 그 성격이 다르다. 땅다지는 소리가 새 집을 지어 새 삶을 꾸리려는 희망에 부푼 노래라면, 달구질 소리는 인생의 마지막을...
-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모심기를 할 때 부르던 노동요.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전승되는 「모내기 노래」는 논농사를 하는 지역에서는 흔히 들을 수 있는 농업 노동요이다. 공동 노동을 하면서 함께 부르는 노래이기에 주로 선후창이나 교환창을 하기도 하였다. 「모심는 노래」, 「모심기 노래」라고도 전한다....
-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모를 찌면서 부르던 노동요. 「모찌기 노래」는 농업 노동요의 대표적인 「모심기 노래」를 부르기 앞서, 모를 뽑아 내며 부르기 때문에 「모심기 노래」와 더불어 ‘모노래’라고 일컫기도 하며, 「모심기소리」에 포괄되기도 한다. 「모심기 노래」에 비하여 「모찌기 노래」는 드문 편인데, 청주에서는 「모찌기 노래」가 비교적 많이 전승되고 있다. 「모찌는 노래」라고도 전한다...
-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물레질을 하면서 부르던 노동요.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물레 노래」는 「삼삼기 노래」, 「베틀 노래」와 더불어 「길쌈 노래」에 속하며,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여성 노동요로 분류된다....
-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민간신앙 차원에서 소원을 빌 때 부르던 의식요.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전승되는 「발원 노래」는 민간신앙 차원에서 신이나 부처에게 소원을 빌 때 부르던 신앙 의식요이다....
-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베를 짜면서 부르던 길쌈 노동요. 「베짜기 노래」는 여성들이 베를 짜면서 부르는 노동요이며, 넓게는 「길쌈 노래」에 속한다. 우리나라 민요에서 대표적인 여성 노동요이다. 남성들의 노동요처럼 노동의 동작을 표현하거나 권면을 노래하기보다는 여인의 고달픈 삶이나 심정을 노래한 경우가 많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지동동과 고락동 일대에서 전승되고 있는 세시의식요(歲時儀式謠). 의식요(儀式謠)는 세시풍속(歲時風俗)이나 통과의례(通過儀禮)에 해당되는 의식을 거행하면서 부르는 민요이다. 세시풍속이나 통과의례에 민요가 등장하는 것은 두 가지 각도에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의식에서 이루고자 하는 바를 실제로 실현할 수 있는 힘을 가졌다고 믿는 것과, 둘째, 노래...
-
인간의 명(命)과 복(福)을 주재하는 삼신의 내력을 푸는 무가(巫歌). 『가신풀이』는 가신의 근본을 설명하는 일종의 내력담(來歷譚)이다. 보통 인간의 명과 복을 관장하는 제석(帝釋), 가장의 안위를 관장하는 성주, 또는 성조(成造), 자손의 출생과 양육을 관장하는 삼신(三神) 등의 좌정 과정을 그리고 있다. 한문어투의 난해한 무경(巫經)보다 구어체 문장의 일반 무가 형태...
-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장례식 때 상여를 메고 나가면서 부르던 의식요. 「상여 노래」는 장례식 때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들이 부르는 노래이며, 우리나라에서 널리 알려진 대표적인 의식요이다. 「상엿소리」, 「만가」, 「상두소리」라는 제목으로도 불리며, 전국적으로 다양한 변형이 전하여진다....
-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집과 터를 관장하는 신에게 복을 빌 때 부르던 민요. 「성주풀이」는 집과 집터를 관장하는 성주신의 본을 푸는 본풀이 무가(巫歌)인데, 민간에 퍼져 이사를 하거나 새로 집을 짓거나 할 때 발복을 비는 노래로 바뀌었다....
-
시집살이의 고통을 덜기 위해 자위적으로 부르는 노래. 시집살이의 경험을 토대로 거기서 우러나는 서러운 사연을 노래한 부녀자들의 노래이다. 사설은 여인들의 비극적인 삶이나 신세를 한탄하는 내용이 중심을 이룬다. 전승의 분포는 거의 전국적이며, 노동이나 유희의 현장에서 특별한 제목 없이 불리어진다. 예컨대 「시집살이노래」가운데 가장 많은 각 편이 채록된 「중이 된 며느리」는 「밭매기노...
-
안택[특히 성주굿, 제석굿, 조상굿 등]에서 구송(口誦)하는 가신경(家神經)의 일종. ① 天開於子하니 天皇天尊이 나계시고 地闢於丑하니 地皇地尊이 나계시고 人生於寅하니 人皇氏가 나계시고 物生於卯하니 鬼出於辰이라 …… ② 此時에 聖賢大德이 出現하시고 諸位神靈任이 나시어 人間救濟할 때 天帝桓因任이 開天하시고 天山에서 天神祭를 주관하사 拭木視 上通下察하시고 萬百姓의 壽命을 定하사 天地造化...
-
어린아이를 어르면서 부르는 노래. 어른들은 어린아이의 몸을 움직여 주거나 또는 무엇을 보여 주거나 들려주어서 어린아이를 달래거나 기쁘게 하여 준다. 애기어르는 소리는 주로 어린아이의 몸을 움직여 주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애기어르는 소리에는 아이의 겨드랑이를 잡고 세워서 좌우로 흔들면서 하는 ‘「불무노래」’, 앉은 애기나 선 애기의 손을 붙잡고 앞으로 당겼다 뒤로 밀었다 하면서 부르...
-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한글 자모 소리에 맞추어 말을 만들어 부르던 유희요. 「언문풀이 노래」는 「한글풀이 노래」와 같이 한글의 자모에 따라 말을 만들어 부르는 노래이다.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채록된 「언문풀이 노래」는 한글 풀이의 형식을 빌리고 있는데, 「한글풀이 노래」, 「한글뒤풀이」, 「국문뒤풀이」, 「언문뒤풀이」, 「가갸뒤풀이」, 「글자풀이 노래」라는 제목으로도 전한다....
-
망자의 천도를 기원하는 무가(巫歌)로서 해원풀이(解寃--)의 일종. 무속은 여느 고등종교와 달리 현실에서의 복락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만큼 우리의 전통적 삶이 녹록하지 않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이를테면 현실의 벽에 의한 좌절, 그리고 그것을 기정사실로 용납하려 하지 않는 미련, 이 사이에서 누구나 크고 작은 한이 맺히게 마련이다. 그런데 해원풀이를 통해 이승의 삶에서 맺힌...
-
인간의 삶을 주재하는 수복신(壽福神) 또는 생산신(生産神)의 내력담(來歷譚), 무속신화며 동시에 구비서사시. 「제석풀이」는 「제석굿」, 「세존굿」, 「생굿」 등의 무의식(巫儀式)에서 구연되며, 여주인공의 명칭에 따라 흔히 '「당금애기」·「서장아기」·「제석님네 따님아기」'로도 통용되고 있다. 전국에 걸쳐 30여 종의 이본(異本)이 이미 채록된 바 있다. 청주지역...
-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지명을 풀이하여 부르던 민요. 「지명풀이 노래」는 언어 유희요의 일종으로, 최근까지 전국에서 많이 불린 민요이다. 우리나라의 각 지명의 특징이나 지역과 관련된 고사, 역사적 사건 등을 나열하면서 부른다....
-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한글의 자모로 말을 만들어 가며 말놀이로 부르던 민요. 「한글풀이 노래」는 한글의 자모의 순서에 따라 말을 만들어 내서 부르는 언어 유희요이다. 지역에 따라서는 아동들이 부르는 동요도 있지만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채록된 「한글풀이 노래」는 성인들이 부르는 유희요이다. 「한글뒤풀이」, 「국문뒤풀이」, 「언문뒤풀이」, 「글자풀이 노래」라는 제목으로도 전승된다....
-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죽음을 맞은 사람의 회심을 담아 부르던 의식요. 「회심곡」은 불교 의식인 영산재(靈山齋)와 사십구재(四十九齋)에서 불리던 가사를 민요화한 것이다. 장례 의식요로 불리며, 망자에 대한 슬픔을 표현하고 있다. 「회심가」라는 제목으로도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