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월 14일 밤에 다리 위를 왔다 갔다 하는 놀이. 정월 14일 해가 지기 전 일찍 오곡밥을 먹은 후 인근 내[천(川)]에 놓인 다리 위를 왔다 갔다 하며 다리밟기[답교(踏橋)]를 한다. 다리밟기는 자기 나이와 같은 회수를 왕래하면 좋다고 한다. 이렇게 하면 1년 내 다리 병이 나지 않고 튼튼하며 액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수광의 『지봉유설(芝峯類說)』에는 보름날...
-
정월 대보름 밤에 높은 산에 올라가 달을 보며 소원을 비는 풍속. 정월 보름날 밤에 달이 떠오르는 것을 남보다 먼저 보면 그 해의 운수가 대통한다고 하여 횃불을 들고 높은 산에 올라 ‘망월여, 망월여’하며 달뜨기를 기다리는데, 이것을 ‘망월본다’ 혹은 ‘달맞이[망월(望月)]’라 한다. 아이들은 산에 올라가 그 해 소원을 달에게 기원하는 의미에서 불이 활활 타오르는 깡통을 돌리는데...
-
정월 보름날 해 뜨기 전 상대방의 이름을 불러 더위를 파는 풍속.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아침 일찍 일어나 사람을 보면 급히 부르고, 상대방이 대답을 하면 곧 “내 더위 사가라”라고 하는데, 이를 매서(賣暑), 즉 더위팔기라 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더위를 팔면 그 해에는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더위팔기는 정월 15일 해 뜨기 전에 한다. 해가 떠...
-
두레 사이에서 농기를 빼앗는 민속놀이. 농촌의 각 마을에는 두레가 있고, 두레에 딸린 농기가 있게 마련이다. 이 농기에 인격을 부여하여 오래된 농기일수록 선배가 되어 “형”이나 “선생”이라는 칭호가 붙는다. 여름철에 들로 일하러 나갈 때 으레 농기를 앞세우고 농악을 울리는데, 이 때 먼발치라도 이웃의 선배 농기와 마주치면 먼저 절을 해야 한다. 만일 절을 하지 않으면 선배 쪽 장정...
-
농군들이 김매기를 모두 마친 후에 택일하여 음식을 푸짐하게 장만하고 나누어 먹으며 노는 민속놀이. 백중은 음력 7월 보름날을 뜻하며, 음력 1월 보름을 상원(上元), 10월 보름을 하원(下元)이라 불렀던데서 중원(中元)이라 부르기도 한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湖西俗 以十五日 老少出市 飮食爲樂 又爲角力之戱(호서속 이십오일 로소출시 음식위락 우위각력지희:충청도...
-
복날인(초복, 중복, 말복)에 개를 잡아 파와 함께 푹 끓여 먹는 세시풍속. 초복은 하지로부터 세 번째 경일(庚日)을, 중복은 네 번째 경일을 말하며, 말복은 입추가 지나 첫 번째 맞는 경일을 뜻한다. 복날은 절기 중에 가장 더운 때여서 땀을 많이 흘리므로 몸이 허해진다. 그래서 몸을 보신하기 위해 개장국(狗醬)에 고춧가루를 넣고 밥을 말아 즐겨 먹었다. 일종의 천렵(川獵)으로 볼...
-
정월 초에 방문 위에 조리를 걸어두는 풍속. 섣달 그믐날 자정이 지난 후나 정월 초하룻날 새벽에 조리 장수들이 마을 골목골목을 돌아다니며 복조리를 사라고 외친다. 설날 이른 아침에 조리를 사면 1년 내내 복이 있다고 하여 서로 앞 다투어 산다. 사들인 조리는 두 개를 엇갈리게 묶어서 안방 위에 걸어둔다. 상당구 산성동 성안마을에서는 헝겊으로 세모지게 복조리를 만들어 그...
-
정월 15일 아침에 딱딱한 과실을 깨무는 행위 부럼이란 말은 부스럼에서 온 말이다.『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이를 ‘부스럼을 씹다’는 뜻의 ‘작절(嚼癤)’이라 하였고, 또 부럼을 깨물면서 이가 단단해진다고 하여 ‘이를 단단하게 하는 방법’, 즉 ‘고치지방(固齒之方)’이라고 기록하였다. 정월 15일 아침에 일찍 일어나 호두, 밤, 잣, 땅콩과 같은 딱딱한 과실을 깨물어 먹지 않고...
-
충청북도 청주 지역에서 빈 상여를 메고 실제로 상여가 나가는 흉내를 내면서 노는 민속놀이. 상여놀이는 상갓집에서 상여가 떠나기 전날 밤에 빈 상여를 메고 「상엿소리」 등의 노래를 하면서 노는 놀이를 말하는데, 선소리꾼과 상여꾼들이 호흡을 맞춘거나 상주를 위로하고자 놀이판을 벌이는 것이다. ‘빈상여놀이’라고도 한다. 충청북도 청주 지역에서는 상여놀이가 대도둠, 잿떨이, 대떨이 등의...
-
한국 고유의 민속경기. 여러 문헌에는 각저(角抵), 각저(角觝), 각력(角力), 각지(角支), 각교(角校), 쟁교(爭交), 각저(殼抵), 상박(相撲) 등으로 불리어져 왔다. 여기에서 각(角)은 ‘서로 겨루다’를 의미하며, 저(抵)는 ‘달려든다’, 저(觝)는 ‘받다’의 뜻으로, 마치 황소들이 맞붙어 힘겨루기를 하듯 ‘서로 달려들어 힘겨루기를 한다’는 의미가 있다. 또한 씨...
-
정월 14일에 모든 것을 아홉 번 하는 풍속. 동양에서 9라는 숫자는 양구(陽九)라고 하여 매우 귀히 여기는 수다. 그래서 유독 아홉 번을 강조라는 것으로 생각한다. 정월 14일은 우리 속담에 ‘나무 아홉 짐 하고, 밥 아홉 그릇 먹는다’ 는 말처럼 하는 날이다. 이날 남자들은 부지런히 나무도 해오고 종일 일을 하면서 자주 밥을 먹는다. 그러나 실제로 나무 아홉 짐을 하기는 불가능...
-
윤달에 맞추어 부모님의 수의(壽衣)를 미리 마련해놓는 풍속. 윤달은 음력 일 년 열두 달 이외에 한 달이 더 불어난 어느 달을 말한다. 윤달이 들어 있는 해를 윤년(閏年)이라고 하며, 보통 3년만에 한 해씩 윤달을 둔다. 윤달은 정상적인 달이 아니라는 생각에서 흔히 ‘공달·덤달·여벌달’이라고도 한다. 이 때를 이용하여 유다른 일들을 치른다. “윤달에는 송장을 거꾸로 세워도 털이 안...
-
입춘 날 대문이나 들보, 기둥, 천장 등에 써 붙이는 글귀. 입춘에는 입춘이 드는 시간을 따져서 대문이나 대들보, 기둥, 천장 등에 좋은 글귀를 써서 붙이고 입춘을 송축하는데, 이것을 입춘첩(立春帖) 또는 춘첩자(春帖子), 춘축(春祝)이라고 한다. 고려시대에 입춘 날에는 관리들에게 1일 휴가를 주었고, 입춘 하례를 행하였으며, 왕이 신하에게 춘번자(春幡子)를 나누어 주었고, 문이나...
-
사람들이 두 패로 나눠 굵은 줄을 서로 잡아당겨 승패를 가르는 민속놀이. 줄다리기는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등 동아시아 일원에 널리 분포하는 놀이이다. 농경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신은 물을 관장하던 용신(龍神)이다. 줄다리기는 줄을 용으로 여겨 암용(암줄, 여자를 상징)과 숫용(숫줄, 남자를 상징)의 만남과 결합으로 온 마을과 지역이 하나가 되는 대동(大同)의 계기로 삼아 풍년과 무병...
-
정월 열나흘과 설날 밤에 주로 하던 놀이. 구멍을 뚫은 깡통에 관솔을 미리 넣어 놓았다가 정월대보름날 달이 떠오를 때 짚으로 불을 붙여 여러 사람이 들로 나가 쥐불놀이를 한다. 논둑을 따라 또는 밭둑을 따라 쥐불이 퍼지다가 내의 둑이나 다리 앞에 이르면 이웃마을에서 놓은 쥐불과 맞닿게 되는데, 이때 대개 쥐불싸움으로 번지게 된다. 쥐불싸움은 쥐불을 공중에서 회전시키면서 공격하는 것...
-
충청북도 청주 지역에서 정월대보름 무렵에 마을 풍물패가 집집을 돌며 행하는 민속놀이. 지신밟기는 마을 주민들이 꽹과리, 징, 장고, 북 등의 악기를 가지고 풍물을 연주하면서 동네 곳곳을 다니며 축원하고 덕담하는 민속놀이이다. 지신을 밟는다는 것은 집 안 곳곳에 좌정하고 있는 지신이 심술을 부리면 가정이 편치 않기 때문에 지신에게 풍물패의 풍물소리를 들려주며 터 곳곳을 밟아 지신을...
-
2월 초하룻날을 기해 콩을 볶는 기풍주술(祈豊呪術)적 성격의 세시풍속. 콩 볶기와 같은 기풍주술은 농사의 풍작을 기원하는 주술 행위를 말한다. 개인적 주술과 집단적 주술로 나눌 수 있는데, 농사를 시작하기 전 봄철에 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개인적 주술은 정월 14일 작은 소나무를 베어 마당에 세워놓고 나뭇가지에 여러 곡식의 이삭과 목화를 주렁주렁 걸어놓는 볏가리대(禾木), 정월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