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203940 |
---|---|
이칭/별칭 | 「모심는 노래」,「모심기 노래」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충청북도 청주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오세정 |
채록 시기/일시 | 1977년 - 「모심는 노래」 고종운, 이현기, 송환주, 김수옥, 엄순득에게 채록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3년 2월 28일 - 「모심는 노래」 『민담민요지』에 수록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4년 2월 20일 - 「모심는 노래」 『충북민요집』에 수록 |
채록지 | 강서동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서동 |
채록지 | 옥산면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
채록지 | 괴정리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괴정리 |
채록지 | 남촌동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남촌동 |
채록지 | 부강리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 |
가창권역 | 청주시 - 충청북도 청주시 |
성격 | 노동요 |
토리 | 메나리토리 |
출현음 | 미|라|도|레|미 |
기능 구분 | 농업 노동요 |
형식 구분 | 선후창 |
박자 구조 | 3소박 4박자 |
가창자/시연자 | 고종운|이현기|송환주|김수옥|엄순득|홍복룡 |
[정의]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모심기를 할 때 부르던 노동요.
[개설]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전승되는 「모내기 노래」는 논농사를 하는 지역에서는 흔히 들을 수 있는 농업 노동요이다. 공동 노동을 하면서 함께 부르는 노래이기에 주로 선후창이나 교환창을 하기도 하였다. 「모심는 노래」, 「모심기 노래」라고도 전한다.
[채록/수집 상황]
「모내기 노래」는 1977년 박진, 이종명이 흥덕구 강서동의 주민 고종운[남, 67세]과 이현기[남, 78세], 흥덕구 옥산면의 주민 송환주[남, 62세], 청원구 오창읍 괴정리의 주민 김수옥[남, 61세], 청원군 부용면 부강리[현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의 주민 엄순득[남, 65세]에게 채록하였다. 1983년 2월 28일 충청북도에서 간행한 『민담민요지(民譚民謠誌)』에 수록되어 있다. 또한 「모내기 노래」는 흥덕구 남촌동의 주민 홍복룡[남, 57세]에게서 채록되어 1994년 2월 20일 충청북도에서 간행한 『충북민요집(忠北民謠集)』에 수록되어 있다. 채록 시기는 명확하지 않다.
[구성 및 형식]
「모내기 노래」는 선후창의 형식이며, 기본 음수율 4·4조가 반복된다.
[내용]
충청북도 청주시에는 모내기를 하면서 부르는 민요가 다수 전한다. 「모내기 노래」 중에는 「모찌기 노래」와 합쳐진 것도 있다. 함께 모여 일을 하면서 노동의 고통을 잊고 농사에 대한 보람, 일상사 속 희로애락 등을 노래한다. 선후창의 형식으로 불리며 반복되는 후렴구가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민요의 사설은 가창자에 따라 길어지기도 하고 짧아지기도 한다. 흥덕구 남촌동 홍복룡에게 채록한 「모내기 노래」는 다음과 같다.
“에에이히야 헤헤 헤이야 상사라리아/ 에에이히야 에헤 헤이야 상사로세/ 잘 되었네 잘 되었네 모근 줄이 잘되었네/ 에에이히야 에헤 헤이야 상사로세/ 홍두깨방맹이 줄팔이 얕고 한잎자루만 늘어서서/ 에에이히야 에헤 헤이야 상사로세/ 요오기 꽂고 조오기 꽂고 삼백출자리로만 꽂어 주어/ 에에이히야 에헤 헤이야 상사로세/ 영화로다 영화로다 장잎이 훨훨 영화로다/ 에에이히야 에헤 헤이야 상사로세/ 열락 서산에 해 떨어지고 월심봉락에 저 달 뜨니/ 에에이히야 에헤 헤이야 상사로세/ 에에야 에헤야 헤에헤야 상사듸야/ 에에이히야 에헤 헤이야 상사로세/ 넘어가네 넘어가네 자줌마침 넘어가네 / 에에이히야 에헤 헤이야 상사로세/ 다 되었네 다 되었네 요 논자리 다 되었네/ 에에이히야 에헤 헤이야 상사로세/ 에헤야 에헤헤이야 헤야 상사듸야”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모내기 노래」는 농사가 가장 중요한 경제 활동이었던 당시 농사 짓는 모습과 보통 사람들의 일상사와 희로애락을 엿볼 수 있다.
[현황]
「모내기 노래」는 농업에서의 공동 작업이 점차 사라져 현장에서는 거의 듣기 어렵다.
[의의와 평가]
「모내기 노래」는 「논매기 노래」와 더불어 대표적인 농업 노동요로서, 농업에 대한 경제관을 비롯하여 인생관이나 가치관을 살펴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