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200887 |
---|---|
한자 | 民間信仰 |
영어공식명칭 | Folk Beliefs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북도 청주시|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
시대 | 조선/조선 전기,현대/현대 |
집필자 | 김영진,김해인 |
[정의]
충청북도 청주 지역 민간에서 오래전부터 행하여 오던 초월적 존재에 대한 믿음과 숭배.
[개설]
민간신앙 은 종교적인 체계 없이 민간에서 전승되는 주술적인 종교를 말한다. 보통의 종교와는 달리 민간신앙은 신앙의 종사자들이 지배 계층이 아닌 서민이나 일반 대중인 점이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민간신앙은 원시 시대 때부터 신비롭고 위대한 자연을 숭배하면서 자연을 신격화하고 종교적으로 신앙하면서 형성되어 왔다. 그리하여 신앙의 대상은 산·물·바위·나무·동물 같은 자연물을 신으로 섬기며, 신앙의 목적도 단순히 재앙을 물리치고 복을 비는 극히 현실적인 소원뿐이고 신앙의 행위도 일정한 규범이 없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다만 조선 시대 유교가 사회 전반에 강고한 영향력을 미치는 이데올로기로 정착된 이후로는 많은 민간신앙의 절차가 유교적 의례를 따르게 되었다.
충청북도 청주 지역의 민간신앙은 크게 개인 신앙과 집단 신앙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개인 신앙은 가장이나 주부가 집이나 가족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여러 가신(家神)을 섬기는 신앙이며, 이에 따른 의례를 보통 가신제(家神祭)라 한다. 집단 신앙은 고을 또는 마을 단위로 각각의 공동체를 수호하는 목적으로 동신(洞神)을 함께 섬기는 신앙이며, 이에 따른 의례를 보통 동신제(洞神祭)라 한다.
[가신제와 동신제]
가신제의 가신은 집터를 지키는 ‘터주’, 집을 지키는 ‘성주’, 대문을 지키는 ‘수문’, 부엌을 지키는 ‘조왕’, 우물을 지키는 ‘용왕’, 자손을 점지하고 지키는 ‘삼신’, 자손의 수명과 복을 관장하는 ‘제석’, 재물을 지켜주는 ‘업’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청주 지역에서는 대문을 지키는 수문신에 대한 신앙은 매우 약하고, 삼신과 용왕에 대한 신앙이 강하게 형성되었다.
전통 시대에는 가신제가 매우 성행하였으나 지금은 매우 약화되어 그나마도 우환이 잦은 집에서 주부가 치성을 드리거나 농촌에서 가을에 햇곡으로 만든 고사떡을 가신에게 바치는 정도만 찾아볼 수 있다. 또, 위험이 따르는 직업을 가진 집에서 드물게 시월상달에 무당을 불러 가신에게 집안의 평안을 비는 안택굿을 하는 경우도 있다.
청주 지역의 동신제는 보통 ‘동제’ 또는 ‘동고사’라 부르며 근대까지 거의 모든 마을에서 지냈으나, 일제 강점기 이후 점차 쇠퇴하였다. 1936년 당시의 청주군에서 동신제를 지내는 마을이 90% 정도였는데, 점차 줄어들어 1974년에는 옛 청원군에서 7%만 유지되었고, 1989년에는 28개 마을에서 동신제를 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최근 전통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으로 마을의 공동체의식이 강화되면서 동신제가 부활하여 1999년에는 117개 마을에서 동신제를 지내는 것이 조사되었다. 동신제의 신앙 대상인 동신으로는 산신, 서낭, 탑신, 수살, 장승, 용신 등이 있는데, 보통 한 마을에서 하나의 제사만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일부 마을에서는 두 개 또는 세 개를 지내는 곳도 있다. 오늘날의 동신제는 형태가 크게 변형되었고 내용도 많이 축소되었다.
한편, 동신제는 지방의 관 주도로 이루어지기도 하는데, 이를 관행제(官行祭)라 한다. 관행제는 지방 수령이 주관하는 제의인데, 고대 국왕이 주관하던 국행제(國行祭)에서 분화되었다. 곧, 고대 국가에서는 천신제를 비롯한 중요한 국가적 제의를 국왕이 직접 제사하였으나, 삼국 시대 이후 전국의 명산대천에서 제사를 지내면서 신하들을 제관으로 파견하여 제사를 지내게 하였다. 그 뒤 고려 시대에 이르러서는 지방 수령으로 하여금 제사하게 함으로써 관행제가 시작되었다. 특히 조선 시대에는 전국의 주·현마다 고을을 수호하는 진산(鎭山)을 정하고 또 사직단·성황단·여단(厲壇)을 설치하였으며, 정기적인 관행제를 제도화하였다. 관행제는 정기적인 제사인데, 산신제·사직제·성황제·여제(厲祭)가 있었고 임시적인 제사로 기우제와 도교의 초제(醮祭)인 노인성제(老人星祭)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여러 민간신앙은 근대 이후 점차 쇠퇴하고 사라져 가고 있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는 미신이라는 이유로 탄압받으면서 많이 없어졌다. 1945년 8·15해방 이후에는 일부 종교 단체에서 미신으로 매도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1970년대에는 새마을운동으로 많은 신당이 허물어지고 장승도 없어졌다. 그러한 격동의 시대를 거쳐 오늘날에는 주민 의식과 사회 구조의 변화에 따라 민간신앙은 크게 쇠퇴하였으니, 가신제는 찾아보기 어렵고 동신제도 거의 사라지고 있다.
[문의면 구룡산의 노인성제]
노인성제는 도교에서 밤하늘의 별에 지내는 초제의 일종이며, 노인성이라는 별에 지내는 제사이다. 노인성은 양력으로 3월 21일 무렵인 춘분날 아침에 보였다가 9월 23일 무렵인 추분날 저녁에 지는 남극성인데, 도교에서 수성(壽星)이라 하여 노인성이 보이면 나라가 태평하고 장수한다고 하여 숭배하였다.
노인성의 출현이 최초로 관측된 것은 고려 시대인 934년(태조 17)으로 확인되었으나, 처음 제사를 행한 시기는 1036년(정종 5)이었고, 1108년(예종 3) 8월과 1111년(예종 6) 2월에 각각 남단(南壇)에서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다. 노인성제는 주로 조선 시대에 많이 행해졌는데, 1411년(태종 11) 정월에 태종(太宗) 자신이 노인성제의 절차와 노인성단의 축조를 결정하고, 매년 추분에 한 차례씩 제사를 하되 소를 희생하여 번제(燔祭)를 올리도록 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노인성제는 천문 관측의 전문성이 필요하며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주로 국가에서 성대하게 지내는 제사였다.
지방의 노인성제에 관한 기록은 좀처럼 찾아보기 어려운데, 조선 시대 청주 지역 문의현[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의 구룡산에서 노인성제를 지낸 모습이 확인된다. 즉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문의현 산천 조를 보면, “구룡산(九龍山)은 문의현의 서쪽 12리에 있는데, 산꼭대기에 노인성전의 옛 터가 있고, 재실의 그림이 보존되어 있다”라고 하였다. 이러한 기록에 따르면 『신증동국여지승람』이 편찬된 1530년(중종 25) 무렵에는 이미 구룡산의 노인성제가 폐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터가 있고 그림이 있다고 한 것으로 보면 폐지된 것이 오래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조선 후기에 편찬된 『충청도읍지(忠淸道邑誌)』에도 구룡산의 노인성제에 관하여 “터만 있고 그림도 없어졌다”라고 기록하였으니, 관에서 지내는 노인성제는 완전히 폐지되었고, 민간에서 수명장수를 비는 제의로 계속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조선 후기 또는 근대에 이르면 구룡산에서 지내는 민간의 노인성제도 완전히 폐지되었을 것이다. 구룡산의 노인성제에 관하여는 기록이 미비하여 자세히 알 수 없지만, 지방에서 지낸 초제의 일종이라는 점에서 매우 특이한 사례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