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우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202193
한자 祈雨祭
영어음역 giuje
영어의미역 a ritual praying for rain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집필자 유지영

[정의]

농사철 큰 가뭄에 비 내리기를 하늘에 빌었던 제사.

[개설]

고대 이래로 조정과 지방관청, 민간을 막론하고 가뭄이 들면 기우제가 성행하였다. 청주지역에서는 흥덕구 사직동 사직단과 상당구 우암동 와우산(臥牛山), 흥덕구 비하동 부모산성, 상당구 산성동 청주 상당산성에서 제물을 차려놓고 기우제를 지냈다.

[변천]

조선시대에는 청주목사가 읍성 서쪽 사직단에 제물을 차려놓고 기우제를 지냈다. 가뭄이 더 지속되면 청주의 진산(鎭山)인 와우산(臥牛山)에서 산신에게 기우제를 지내고 청주옥에 갇힌 죄수를 석방하고 가난을 구제하기도 하였다.

부모산성에서도 기우제를 지냈다. 『충청도읍지(忠淸道邑誌)』에는 부모산성이 주의 서쪽 15리에 있고 정상 부근에 있는 큰 연못 모유정(母乳井)이 있어 여기서 가뭄에 비내리기를 빌었다고 전한다.

청주 상당산성에서의 기우제 기록은 보다 구체적이다.

[청주 상당산성 기우제]

청주 상당산성 서문인 미호문에서 성벽을 따라 북쪽으로 2백여m 지점에 있는 절벽에 기우단을 만들어 기우제를 지냈다.

1671년(현종 12) 청주목사 남구만(南九萬)이 지은 「청주 상당산성 기우제문(淸州上黨山城祈雨祭文)」에는 지난 가을과 올 봄에 뿌린 씨앗이 말라 죽어 길과 도랑에는 굶어죽은 사체가 늘어가고 자식까지 생매장할 정도였다며 당시 참혹했던 봄 가뭄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1731년(영조 7)에도 가뭄이 들어 기우제를 지냈다는 조구명의 「구룡산기우제문(九龍山祈雨祭文)」이 전해지고 있다.

[민속적 관련사항]

청주지역에서는 아들을 낳지못한 여성만 골라서 맹렬히 비빌이 춤을 추게 하였다. 쌀 까부는 키에 강물을 담아 키틈으로 새어 나오는 물을 여성이 온몸으로 맞게하고 춤을 추게 한 풍속이다.

[의의와 평가]

기우제는 임금의 잘못된 정사를 하늘이 가뭄과 홍수 등 천재지변으로 응징하는 것이란 오랜 믿음 때문에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임금과 신하들은 근신하면서 억울한 죄수를 찾아 석방하며 비 내리기를 간구하였다.

기우제에 여성이 많이 등장하는 것은 여자-땅, 남자-하늘, 정액-비를 상징관계로 해석하기도 한다. 기우제를 지낼 때 여자가 많이 등장하는 것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곳곳의 습속에도 나타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