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201911 |
---|---|
한자 | 市民運動 |
영어공식명칭 | Citic Movement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북도 청주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허석렬,손경찬 |
[정의]
충청북도 청주 지역에서 시민의 권익을 보호하고자 행하는 정치·사회 운동.
[개설]
충청북도 청주 지역의 시민운동은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반독재 민주화 운동을 기반으로 성장하였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진보적인 기독교 선교 단체인 청주도시산업선교회가 노동 인권과 도시 빈민 생존권 보호를 중심으로 꾸준히 운동을 전개하였고, 청주YMCA에서도 시민사업위원회를 조직하여 시민들의 민주 의식 함양에 힘써 왔다. 1987년 이후에는 정치의 민주화가 진전되면서 학생 운동 출신의 청년들이 다양한 시민운동 단체를 결성하는 데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청주 지역에서 본격적으로 노동 운동이 아닌 시민운동을 중심으로 하는 단체로 처음 결성된 것은 1989년 결성된 청주시민회이다. 청주시민회는 처음에는 경부고속철도 오송역 유치 활동 등 지역 발전 관련 활동에서 시민의 목소리를 모으는 역할을 하였으나, 차츰 지방 행정에 대한 민주적 감시 활동과 시민 권리 찾기 운동과 같이 시민 사회를 중심으로 하는 민주적 개혁이라는 과제에 집중하였다. 2000년대에 접어들어서는 2000년 총선을 앞두고 전국적으로 전개된 낙천·낙선 운동이 지역 시민운동 발전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전체적으로 보아 청주 지역 시민운동의 특징으로는 시민사회 단체들이 평소에는 각각의 고유한 영역에서 활동을 전개하다가 지역 내에 중요 쟁점이 발생하면 매우 높은 수준의 연대 운동을 전개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를테면 1994년부터 지역 사회 최대의 쟁점으로 계속 제기되어 온 청주·청원 통합 운동에서 큰 힘을 발휘하였다. 1990년대부터 꾸준히 제기되어 왔으나 여러 이유로 무산되었던 청주·청원 통합이 2005년 29개 시민사회 단체의 결합으로 출발한 ‘청주청원 하나되기 운동본부’의 결성과 연대 활동을 통하여 청주·청원 양 자치 단체의 통합 동의를 이끌어 내는 성과로 이어졌다.
[1970년대·1980년대 시민운동]
청주 지역 시민운동의 출발점은 청주YMCA가 수행한 몇몇 사업을 제외한다면 청주도시산업선교회로부터 찾아야 할 것이다. 1972년 정진동 목사[1932~2007]가 주도하여 설립한 청주도시산업선교회는 유신 독재 시기에 노동자와 빈민, 사회적 약자의 권리를 옹호하면서 반독재 민주화 투쟁을 선도하였다. 1970년대 청주 지역의 굵직한 노동 관련 사건 현장에는 청주도시산업선교회가 함께함으로써, 이후 청주 지역 노동 운동과 시민운동이 본격적으로 전개되어 가는 데에 크나큰 영향을 끼쳤다.
1980년대에는 학생 운동 출신 인사들이 대학을 졸업하고 노동·농민 운동 등에 투신하거나, 청년 운동을 전개하였다. 1982년에 창립된 청주 지역 한국기독청년협의회[EYC]는 교회의 틀을 빌려 민주화 운동을 전개하였다. 1985년 충북민주화운동협의회가 설립되어 1987년의 6월 민주화 운동에서 큰 역할을 하게 되었다. 민주화의 진전은 학생 운동이나 청년 운동에 종사하던 많은 사람에게 정치의 민주화가 아닌 시민사회의 민주화라는 과제를 고민하게 만들었고, 마침 지역 사회에서도 환경 문제나 여성 문제 등을 중심으로 시민사회적 쟁점들이 분출되었다.
특히 1980년대 중반부터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였던 청주YMCA와 청주YWCA는 시민사회의 다양한 쟁점에 대응하였다. 청주YMCA는 ‘시민 권리 구제’를 위한 시민중계실을 운영하였고 청주YWCA는 ‘공정 보도를 위한 시청료 거부 운동’을 비롯하여 가정생활에 관련한 상담실을 운영한다든지 하는 시민 생활 영역의 문제를 중심으로 생활 개혁 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운동의 바탕 위에서 본격적인 시민운동이 꽃피게 된 것은 1989년 충북시민회[현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가 발족함으로써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어서 1993년 충북·청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창립되면서 양대 시민단체가 서로 경쟁·보완하면서 지역 시민운동을 이끌었다.
[1990년대 시민운동]
청주 지역 시민운동의 특징은 연대 운동에 있는데, 이 연대 운동의 불을 지핀 사안은 1989년부터 불거져 1990년대 이후 오랫동안 지속된 경부고속철도 오송역 설치 문제였다. 당시 사안의 성격상 일반 시민만이 아니라 지역 경제계도 크게 관심을 쏟은 사항이었고, 청주 지역의 전통적인 엘리트층도 호응하여 상당히 큰 반향을 일으켰다. 당시의 운동은 오송역 설치가 확정되고 나서 호남고속전철 기점역 오송 유치 운동으로 연결되었다.
1992년에는 의붓아버지에게 성폭행을 당한 김00 사건이 발생하였는데, 이 사건은 가정폭력과 성폭력이라는 우리 사회의 치부를 드러내었다. 그 당시 조직의 초창기였던 충북여성민우회가 여성 문제를 고리로 시민사회의 관심을 받게 된 계기가 되었다.
1991년 당시 청주 지역의 진보적 재야 단체, 시민 단체, 직능 단체, 보수적 관변 단체를 포괄하는 ‘바른선거를 위한 충북지역시민단체협의회’가 결성되어 전국적인 공명 선거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시민 정치의 영역에 발을 내딛게 되었다.
1998년 사학재단인 서원학원의 문제가 불거지자 ‘서원학원정상화시민대책위원회’가 결성되어 활동하였는데, 총 19개 시민 사회 종교 단체가 함께 참여하였다. 서원학원 사태는 파행을 지속하다가 2001년에 관선 이사가 파견됨으로써 해결의 실마리가 잡혔고, 2010년 이후 정상화 과정에 있다.
1990년대 청주 지역 시민운동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부문은 환경 운동이다. 환경 문제는 환경 단체만이 아니라 다른 많은 시민 단체의 관심 사항이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환경보전충북시민연합이 1991년 결성되었는데, 여기에는 10개의 단체가 참여하였다. 이익 단체라고 볼 수 있는 청주시 약사회와 한국폐자원재활용수집협의회 충북지부 등도 연합체에 참여하였는데, 시민운동이 때로는 이익 단체까지도 포괄할 수 있음을 보여 준 사례이다. 환경보전충북시민연합은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이 결성되기 전까지 충청북도의 환경 쟁점에 대한 시민적 해결책을 모색하는 중요한 틀이 되었다. 환경 문제에서 이루어진 연대 활동은 그 후 무심천 하상도로 건설과 명암천 복개 등에 대응하는 ‘무심천대책위원회’의 결성으로 이어졌다.
[2000년대 시민운동]
2000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전국적인 낙천·낙선운동의 흐름 속에서 충북총선시민연대가 결성되었다. 여기에는 지역의 중요한 거의 대부분의 시민사회 단체와 함께 교수 집단이 전문가 그룹으로서 참여하여, 국회의원 부적격자의 낙천·낙선 운동을 전개하였다. 당시에 이루어진 연대 운동의 경험은 청주 지역의 시민사회 단체 연대 활동의 주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또한 2002년에는 지방 선거를 앞두고 충북정치개혁연대가 결성되었다. 2003년 6월 ‘원흥이 두꺼비마을 생태문화보전시민대책위원회’가 발족되었는데, 원흥이방죽 일대가 두꺼비가 집단적으로 서식하는 등 생태적으로 매우 높은 보전 가치를 지니고 있음이 밝혀져, 원흥이 일대를 생태적으로 개발하자는 운동을 주도하였다. 이 운동은 초등학생에서 일반 가정주부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시민 참여를 이끌어 냈고, 장기간 지속되면서 그 후 원흥이생명평화회의의 조직 결성으로 발전하였다.
2007년 3월 27일 청주환경연합은 조직 개편을 통한 재창립 과정을 거쳐 충청북도 내 금강 유역권을 중심으로 환경 운동을 펼치고 있는 시민 단체인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은 환경 단체로서 생명과 평화를 존중하고, 환경을 보전하며, 삶의 질을 고양하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건설하고자 활동하는 단체이다. 주로 환경인들을 조직하는 일, 환경 현안에 대한 대응, 환경 교육 및 홍보, 환경 친화적 정책적 대안 제시, 생태 및 환경에 대한 연구 조사 등의 활동을 펼치며, 충청북도 내 금강 유역, 즉 청주·청원·보은·옥천·영동·진천·증평 등 도시와 농촌 지역을 포괄하여 활동하였다.
[현황]
청주 지역 시민운동은 2000년 이후 시민 사회의 민주화를 달성하려는 다양한 시민운동으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2023년 현재 청주에서는 특히 기후 변화와 환경 오염, 생태계의 복원 문제부터 장애인의 인권, 노령 인구의 보호, 영유아 보육의 문제 등 다양한 분야에까지 시민·사회운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