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최명길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203403
한자 崔鳴吉
영어공식명칭 Choe Myunggil
이칭/별칭 자겸(子謙),지천(遲川),창랑(滄浪),문충(文忠)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대율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백주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86년연표보기 - 최명길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05년 - 최명길 증광시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23년 - 최명길 인조반정에 가담하여 정사공신 1등 녹훈
활동 시기/일시 1638년 - 최명길 영의정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42년 - 최명길 심양에 억류
활동 시기/일시 1645년 - 최명길 귀국
몰년 시기/일시 1647년연표보기 - 최명길 사망
추모 시기/일시 1681년 - 최명길 문충(文忠) 추시
출생지 최명길 출생지 - 충청북도 청주시
묘소|단소 최명길 묘소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대율리지도보기
사당|배향지 지천사 - 북한 평안북도 박천군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전주
대표 관직 영의정

[정의]

조선 후기 충청북도 청주 지역 출신의 문신.

[가계]

최명길(崔鳴吉)[1586~1647]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자겸(子謙), 호는 지천(遲川)·창랑(滄浪)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최업(崔嶪)이고, 할아버지는 최수준(崔秀俊)이다. 아버지는 영흥부사 최기남(崔起南)이고, 어머니는 병조참판 유영립(柳永立)의 딸 전주 유씨(全州 柳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장만(張晩)의 딸 인동 장씨(仁同 張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허린(許嶙)의 딸 양천 허씨(陽川 許氏)이다. 아들은 최후량(崔後亮)이다.

[활동 사항]

최명길은 1586년(선조 19) 청주에서 태어나 1605년 증광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성균관전적·병조좌랑 등을 지내고 아버지 상을 치른 뒤 광해군 연간에는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다. 1623년 인조반정에 가담하여 정사공신 1등에 녹훈되고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에 책봉되었고, 이후 이조판서·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최명길은 강화론(講和論)을 주장하여 큰 비난을 받았으나 굽히지 않았다. 겨울에 인조를 호종하여 남한산성으로 들어갔고, 1637년에는 사신으로 심양(瀋陽)에 가서 청나라의 징병(徵兵) 요청을 무마하였다. 1638년 영의정으로 있을 때에도 심양에 가서 청나라의 조병(助兵) 요청을 거절하였다. 1642년에는 임경업(林慶業) 등과 함께 명나라와 연락을 취한 일이 청나라에 발각되어 함께 심양에 억류되었고, 1645년에 귀환하였다. 최명길은 1647년 5월 17일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최명길의 저술로는 문집인 『지천집(遲川集)』 19권과 소차(疏箚)를 모은 『지천주차(遲川奏箚)』 4권이 전한다. 최명길은 상수학(象數學)에 조예가 깊었고 주자학(朱子學)과 양명학(陽明學)의 절충을 시도하였다. 또한 양명학을 독자적으로 연구하여 조선의 양명학파 성립에도 일정하게 영향을 주었다.

[묘소]

최명길의 묘소는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대율리에 있으며, 충청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상훈과 추모]

최명길은 사망한 뒤 박천(博川)의 지천사(遲川祠)에 배향되었고, 1681년(숙종 7) 문충(文忠)이라는 시호를 하사받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