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203251 |
---|---|
한자 | 圓覺禮懺略本 卷三四 |
분야 | 종교/불교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운천동 866]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박보람 |
저술 시기/일시 | 780년~841년 - 『원각예참약본』 권3~4 저술 |
---|---|
간행 시기/일시 | 1097년 - 『원각예참약본』 권3~4 간행 |
간행 시기/일시 | 1461년~1463년 - 『원각예참약본』 권3~4 번각본 간행 |
문화재 지정 일시 | 2019년 3월 8일 - 『원각예참약본』 권3~4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375호 지정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원각예참약본』 권3~4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변경 지정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4년 5월 17일 - 『원각예참약본』 권3~4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 지정 |
소장처 | 청주고인쇄박물관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운천동 866] |
간행처 | 간경도감 - 서울특별시 |
성격 | 불교 문헌 |
저자 | 종밀 |
행자 | 14행 20자 |
규격 | 34.3㎝[세로]|30.7㎝[가로] |
권수제 | 원각예참약본(圓覺禮懺略本) |
판심제 | 원각약참(圓覺略懺) |
문화재 지정 번호 |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
[정의]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 청주고인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전기 불교 문헌.
[개설]
『원각예참약본(圓覺禮懺略本)』은 고려 시대 의천(義天)이 1097년 교장도감(敎藏都監)에서 간행한 교장본(敎藏本) 『원각예참약본』을 조선 세조 때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번각(飜刻)하여 다시 펴낸 것이다. 현재 청주고인쇄박물관이 소장하고 있으며, 전체 4권 중 권3, 권4에 해당한다. 내용은 종밀(宗密)이 지은 『원각경도량수증의(圓覺經道場修證儀)』와 대부분 일치하여, 전체 18권을 요약 정리한 것으로 보이지만 언제, 누가 정리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원각예참약본』 권3~4는 2019년 3월 8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375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바뀌었다.
[저자]
『원각예참약본』 권3~4 의 저자는 종밀이다.
[편찬/간행 경위]
『원각예참약본』 권3~4 는 간기(刊記)를 통하여 ‘수창삼년정축(壽昌三年丁丑)’, 즉 1097년 처음 간행한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조선 세조 때 간경도감에서 번각본으로 간행하였음을 추정할 수 있다.
[형태/서지]
『원각예참약본』 권3~4 는 2권 2책의 목판본(木板本)으로 크기는 세로 34.3㎝, 가로 30.7㎝이다. 선장본(線裝本)으로 제책하였고, 상하 광고(匡高)는 24.0㎝이며, 각판(刻板)은 14행 20자이다. 판심제(版心題)는 ‘원각약참(圓覺略懺)’이다. 권3은 26판 26장이고, 권4는 20판 20장이다.
[구성/내용]
『원각예참약본』 권3은 제5상(第五上)과 제6상(第六上)이다. 제5상은 일체공경경례상주삼보(一切恭敬敬禮常住三寶)부터 장엄문(藏嚴文)까지, 제6상은 공양범음(供養梵音)부터 장엄문까지이다. 『원각예참약본』 권4는 제7상(第七上)과 제9상(第九上)이다. 제7상은 공양범음부터 백중등총설경중무상게(白衆等聰說經中無常偈)까지, 제9상은 공양범음에서 백중등총설경중무상게까지이다. 각 공양범음은 일체공경경례상주삼보와 같다.
[의의와 평가]
의천의 교장은 원간본이 극히 드물며, 간경도감의 번각본 또한 일부만 전하고 있다. 『원각예참약본』 권3~4는 대체로 인쇄 상태가 양호하며, 의천의 교장 연구와 간경도감의 불전 간행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