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200882
한자 文化遺産
영어의미역 Cultural Heritage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집필자 차용걸

[정의]

보존할만한 가치가 있는 문화유산과 자연유산.

[개설]

문화재는 크게 유형에 따라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자료 등으로 나누고, 지정여부에 따라 지정문화재와 비지정문화재로 구분한다. 청주시에는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문화재가 널리 분포되어있다.

[건조물 사적]

주요 건축물로는 조선시대 충청도 병마절도사의 본영을 드나들던 출입문인 충청도병마절도사영문(忠淸道兵馬節度使營門)[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5호]이 있고, 청주동헌(淸州東軒)[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09호]은 조선시대 감사(監司) 또는 수령(守令)이 공무를 집행하던 관아(官衙)의 중심 건물이다.

조선시대 청주목에 설치한 청주향교(淸州鄕校)[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9호]와 조선시대 건립한 망선루(望仙樓)[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10호], 청주 성공회가 설립되면서 건립한 청주 성공회 성당(淸州聖公會聖堂)[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49호], 보살사의 주존을 모신 청주 보살사 극락보전(淸州菩薩寺極樂寶殿)[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56호], 미국 북장로교회 선교사였던 민노아(閔老雅, F.S. Miller) 목사에 의해 건립된 청주양관(淸州洋館)[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33호] 6동, 청주 신전동 고가(淸州薪田洞古家)[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45호]가 있다.

석탑으로는 청주 탑동 오층석탑(淸州塔洞5層石塔)[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5호], 청주 보살사 오층석탑(淸州菩薩寺5層石塔)[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65호]이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그리고 고려시대 청주의 대표적 사찰인 용두사지(龍頭寺址)에 전하는 현재 높이 12.7m에 달하는 거대한 철제 당간인 용두사지(龍頭寺址) 철당간(鐵幢竿)[국보 제41호]이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사적으로는 임진왜란 중인 1596년(선조 29) 수축된 이후 1716년(숙종 42) 충청병사 감역으로 시작해 1719년에 개축이 완료된 청주 상당산성(사적 제212호)과 청주 신봉동 고분군(사적 제319호), 청주 흥덕사지(사적 제315호), 청주 정북동 토성(사적 제415호) 등이 있다.

[회화·조각·공예]

조각으로는 보물로 지정된 계유명전씨아미타불삼존석상(癸酉銘全氏阿媚陀佛三尊石像)[국보 제106호], 기축명아미타여래제불보살석상(己丑銘阿媚陀如來諸佛菩薩石像)[보물 제367호], 미륵보살반가석상(彌勒菩薩半跏石像)[보물 제368호], 청주 용화사 석불상군(淸州龍華寺石佛像群)[보물 제985호]이 있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청주 용암사 비로자나불좌상(淸州龍岩寺毘盧舍那佛坐像)[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3호], 청주 보살사 석조이존병립여래상(淸州菩薩寺石造二尊並立如來像)[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4호], 청주 순치명석불입상(淸州順治銘石佛立像)[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50호], 청주 정하리 마애비로자나불좌상(淸州井下里磨崖毘盧舍那佛坐像)[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13호], 청주 서기사 석조약사여래좌상(淸州瑞氣寺石造藥師如來坐像)[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74호] 등이 있다.

보물로 지정된 청주 운천동 출토동종(淸州雲泉洞出土銅鐘)[보물 제1167호]이 있다. 회화로는 보살사영산회괘불탱(菩薩寺靈山會掛佛幀)[보물 제1258호] 1폭이 보물로 지정되어 현재 용암동에 있는 보살사에 보존되어 있고, 임진왜란 후에 그려진 것을 영조(英祖) 때 변박계(卞璞繼)가 모사한 그림인 동래부사순절도(東萊府使殉節圖)가 있다.

[전적·서적·고문서류]

현존하는 판목으로 눌재 박증영(朴增榮)과 그 아들 강수 박훈(朴薰)[1484~1540]의 유고 합집인 눌재강수유고판목(訥齋江叟遺稿版木)[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77호] 31매가 현재 청주대학교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고, 광국지경록판목(光國志慶錄版木)[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64호] 22판이 에 보관되어있다.

문서류로는 『성리대전서절요(性理大全書節要)』(性理大全書節要券, 보물 제1157-2호), 『수보살계법 범망경보살계본 합본(受菩薩戒法 梵網經菩薩戒本 合本)』(受菩薩戒·梵網經菩薩戒本合本, 보물 제1407호), 『분류두공부시언해(分類杜工部詩諺解)』 권이십일(分類杜工部詩諺解券二十一, 보물 제1051-3호),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密經)』[보물 제1408호],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 권48, 64, 83(大方廣佛華嚴經疎卷, 四十八, 六十四, 八十三, 보물 제1409호)이 청주 고인쇄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민속자료]

중요민속자료는 현재 충북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것으로 청주 출토 순천김씨 의복 및 간찰(淸州出土順天金氏衣服및簡札, 중요민속자료 제109호) 230점과 청원 구례손씨(求禮孫氏) 묘 출토유물(淸原求禮孫氏墓出土遺物, 중요민속자료 제116호) 15점, 청원 전박장군 출토유물(淸原傳朴將軍出土遺物, 중요민속자료 제117호) 34점, 중원 김위 묘 출토유물(中原金緯墓出土遺物, 중요민속자료 제118호) 17점, 안동김씨 묘 출토의복(安東金氏墓出土衣服, 중요민속자료 제217호) 15점 등이 있어 조선시대 복식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기념물]

선사시대에서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종류의 기념물이 분포되어있다. 청주 가경동 유적(충청북도 기념물 제120호)에서는 청동기시대에서부터 고려·조선시대로 이어지는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그리고 삼국시대 산성인 청주 부모산성(淸州父母山城)[충청북도 기념물 제121호]과 조선시대 건물인 동래부사 송상현 충렬사(東萊府使宋象賢忠烈祠)[충청북도 기념물 제16호], 청주표충사(淸州表忠祠)[충청북도 기념물 제17호], 신항서원(莘巷書院)[충청북도 기념물 제42호]있다. 분묘로는 연담공묘소(蓮潭公墓所)[충청북도 기념물 제20호]와 송상현 묘소 및 신도비[충청북도 기념물 제66호]가 있고, 비석으로 청주 척화비[충청북도 기념물 제23호], 청주한씨(淸州韓氏) 종중에서 관리하는 방정(方井)[충청북도 기념물 제84호], 무농정지(務農亭址)[충청북도 기념물 제85호]가 있다.

[무형문화재]

충청북도 무형문화재로는 청주농악(淸州農樂), 배첩장(褙貼匠), 단청장(丹靑匠)이 지정되어 있다.

[문화재자료]

주성강당(酒城講堂), 것대산(484.0m) 봉수지(烽燧址), 청주한월동고가(淸州韓月東古家)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