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륙의 특색있는 말글살이, 청주의 언어와 지명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202429
한자 內陸-特色-淸州-言語-地名
영어의미역 Words and Names of Cheongju, the Original Way of Using Languag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전철웅

[청주 지역어와 지명의 개관]

청주지역어는 한국어의 중부방언에 속한다. 그래서 청주지역어의 음운체계(자음체계, 모음체계, 운소체계)와 문법체계가 대체로 서울방언과 일치한다. 다만 운소체계 가운데 억양과 말의 속도에서, 그리고 일부 어미와 조사를 포함한 문법형태소 및 어휘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청주시 관내에 속하는 지명은 부여계와 한계가 공존하여 어원의 다양성을 보여준다.

[청주 지역어와 지명의 특징]

청주지역어의 자음체계는 한국어의 다른 방언과 차이가 없으나, 모음체계는 중부방언의 특징인 10 모음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전설모음으로 ‘애’와 ‘에’ 및 ‘외’와 ‘위’가 있으며, 중설모음으로 ‘어’와 ‘으’가 별개의 음소로 존재한다. 물론 다른 방언에서와 마찬가지로 청주지역어에서도 이 모음들의 재음소화가 진행되고 있어서, 머지 않은 장래에 특히 ‘에’와 ‘애’가 하나의 음소로 조정될 가능성이 높다.

[언어]

1, 음소체계(音素體系)

청주지역어의 음소체계를 자음체계와 모음체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자음체계

자음은 조음점(調音點, point of articulation)과 조음방식(調音方式, mode of articulation)에 따라 변별적 특징이 인식되는데, 일반적으로 폐쇄음(閉鎖音), 파찰음(破擦音), 마찰음(摩擦音) 등은 상호간 매우 긴밀한 체계를 보여준다. 현대국어에서는 폐쇄음과 파찰음이 정연한 체계를 보이는데, 이 점은 청주방언의 경우도 동일하여, 다음에 나타낸 것처럼 유기성(有氣性) 상관(相關)과 성문화(聲門化) 상관(相關)이 하나의 상관속(相關束)을 형성한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청주방언의 상관속

청주지역어의 자음체계에는 이 상관속 외에, 비음(鼻音) ‘ㄴ, ㅁ, ㄹ, ㅇ’과 마찰음 ‘ㅅ, ㅆ’ 그리고 성문음 ‘ㅎ’이 포함되어 다음의 체계를 이룬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청주지역어의 자음체계

2) 모음체계

모음은 혀의 위치, 입벌림의 정도, 입술의 오므림 여부 등에 따라 결정된다. 혀의 위치에 따라 전설(前舌) 모음, 중설(中舌) 모음, 후설(後舌) 모음으로 구별되고, 입벌림의 정도 곧 개구도(開口度)에 따라 개구도가 가장 큰 개모음(開母音), 개구도가 가장 적은 폐모음(閉母音), 그리고 중간에 해당하는 반폐반개(半閉半開) 모음으로 나뉘며, 입술의 오므림 여부에 따라 원순(圓盾) 모음과 비원순(非圓盾) 모음으로 나뉜다. 이러한 모음 외에 반모음이라고도 불리는 활음(滑音)이 부가되어 실현되는 이중모음이 있다.

청주지역어의 단모음은 10개이며, 반모음은 2개, 이중모음은 12개이다. 청주방언의 모음체계를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나누어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단모음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청주지역어의 단모음체계

☉ 이중모음

y 계 상향이중모음 : ya, yə, yo, yu, yɛ, ye, yɨ

w 계 상향이중모음 : wa, wə, wɛ, we

y 계 하향이중모음 : ɨy

3) 운소체계

자음과 모음에 덧 얹혀 의미의 차이를 야기하는 운율적 요소를 운소(韻素)라 하는데, 청주지역어와 관련된 운소로는 음장(音長), 연접(連接), 억양(抑揚)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억양은 청주지역어의 특징을 드러내는 요소의 하나라 할 수 있다. 개별 단어의 의미구조에 영향을 주는 것이 음의 강약과 음의 고저라면, 문장(sentence) 전체에 작용하여 통사적 기능을 담당하는 음조가 억양인데, 여기에는 크게 나누어 발화말(發話末) 억양과 비발화말((非發話末) 억양이 있으며, 전자에는 다시 상승조(上昇調), 하강조(下降調), 승강조(昇降調)가 있고 후자에는 지속과 중단이 있다. 하강조와 승강조의 독특한 억양이 청주지역어 나아가 충북방언의 특징을 이룬다.

2. 음운변화

청주지역어에서 관찰되는 음운변화 가운데는 어두경음화, 어말자음의 비파열화, ‘l'모음역행동화, 구개음화 등이 관심의 대상이 된다.

☉ 어두경음화 : ‘ㄱ, ㄷ, ㅂ, ㅅ, ㅈ' 자음이 단어의 첫소리인 경우, 다음의 단어에서 확인되는 것과 같이 된소리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내용을 강조하거나, 의사소통의 정확성을 기하려는 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까시(←가시)  깨구리(←개구리)  꺼꾸루(←거꾸로)  꼬추(←고추)

따른(←다른)  딲다(←닦다)  땡기다(←당기다)  뼝아리(←병아리)

뿌시다(←부수다)  쌔거(←새 것)  쎄련(←세련)  씅내다(←성내다)

짝다(←작다)  쪼각(←조각)

☉ 어말자음의 비파열화 : 이것은 주로 체언에서 일어난다. 끝소리를 ‘ㅈ, ㅊ’으로 가진 체언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할 때 ‘ㅅ’으로 바뀌어 실현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파찰음 ‘ㅈ, ㅊ’이 가지고 있는 파열성을 잃어버리고 마찰성만 남겨 두는 현상으로 발음을 용이하게 하려는 의도에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비시(←빚-이)     저시(←젖-이)

꼬시(←꽃-이)     나시(←낯-이)     비시(←빛-이)

비슬(←빚-을)     저슬(←젖-을)

꼬슬(←꽃-을)     나슬(←낯-을)     비슬(←빛-을)

이러한 현상은 어말자음이 ‘ㅌ’인 체언에서도 발견된다. 이것은 일단 ‘ㅌ’이 ‘ㅊ’으로 바뀐 다음에 2차적으로 일어나는 변화로 파악된다.

끄시(←끝-이)      미시(←밑-이)      파시(←팥-이)

끄슬(←끝-을)      미슬(←밑-을)      파슬(←팥-을)

☉ ‘이' 모음역행동화 : 이것은 모음 ‘아, 어, 오, 우’가 후속하는 모음 ‘이’ 또는 ‘ㅣ’의 영향으로 각각 ‘애, 에, 외, 위’로 바뀌어 실현되는 현상으로 청주지역어에서 활발하게 나타난다. 동화음과 피동화음 사이에 개재하는 자음이 양순음과 연구개음일 때 잘 일어난다.

애기(←아기)      괴기(←고기)       쥐기다(←죽이다)

애비(←아비)    괴삐(←고삐비)   에미(←어미)

☉ 구개음화 : ‘ㄱ, ㄲ, ㅋ, ㄷ, ㄸ, ㅌ, ㅎ’이 전설고모음 ‘이’ 또는 ‘ㅣ’를 만날 때 구개음 ‘ㅈ, ㅊ, ㅅ’으로 바뀌는 현상으로 동화의 일종이다.

ㄷ, ㄸ, ㅌ의 구개음화 : 청주지역어에서 발생한 치경음의 통시적인 구개음화는 음절의 위치에 관계없이 의무적으로 발생하였다.

지다(←디다)      지도(←디도)

치다(←티다)      강철(←강텰)

청주지역에서 문법형태소와 결합할 때 발생하는 공시적인 구개음화 역시 의무적이다.

해도지(←해돋-이)      가치(←같-이)

다치다(←닫-히-다)     바치다(←밭-이-다)

ㄱ, ㄲ, ㅋ, ㅅ의 구개음화 : 청주지역어에서 관찰되는 연구개음과 치경음의 통시적 구개음화는 어두음절에서만 수의적으로 발생하였다.

질(←길)     지다리다(←기다리다)     쩌입다(←껴입다)      치(←키)

심(←힘)     성(←형)

3.어휘 및 문법형태소

☉ 청주지역어에서는 ‘어, 우’와 같은 음성(陰聲) 모음이 많이 쓰인다.

-어 : 마거(←막아)         아러 봐써(←알아 봤어) 고워(←고와)

-여 : 이거여(←이것이어)   저거여(←저것이어)     뭐여(←무엇이어)

-유 : 자버유(←잡아요)     머거유(←먹어요)

아니유(←아니오)     가지유(←가지요)     한대유(←한다고 해요)

-구 : 이건 채기구(←이것은 책이고)    인제 그만 가구(←이제 그만 가고)

어서 먹자구(←어서 먹자고)      너하구는 안가(←너하고는 안가)

-두 : 나두 아러(←나도 알아)  가두 디야(←가도 돼)  실태두(싫다 하여도)

☉ 1음절 축약형 대신에 음절분화를 이룬 형태가 많이 사용된다. 이 형태들은 기저형에서 음운도치를 수행한 결과로 파악된다.

-디야 : 잘 한디야(←잘 한대)      머시띠야(←멋있다고 해)

절때루 안디야(←절대로 안돼)  인제 가두 디야(←이제 가도 돼)

-리야 : 잘 가리야(←잘 가래)      하지 말리야(←하지 말래)

-리여 : 뭐가 그리여?(←무엇이 그러 해)    안 그리여(←안 그러 해)

-티여 : 잘티여?(←잘 테야)         울티여?(←울 테야)

히야/햐 : 아러서 히야(←알아서 해)   그만 히야(←그만 해)

☉ ‘ㄴ/ㄹ 것이어’에 해당하는 청주지역어가 ‘ㄴ/ㄹ 기여/겨’이다.

-ㄴ 기여/겨 : 하능기여(←하는 것이어)     하덩기여(←하던 것이어)

-ㄹ 기여/겨 : 할끼여(←할 것이어)         해쓸끼여(←했을 것이어)

[지명]

청주시 관내 지명 가운데 마을이름, 골짜기이름, 고개이름, 들이름, 산이름 등 5대 부류에 대한 명명(命名)의 유연성(有緣性)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전부요소(前部要素)는 문장성분에 따라 체언과 수식언으로 대별될 수 있는데, 이들은 후부요소 앞에 놓여 그 의미 범주를 제한하고 특수화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청주시 지명에서 고개이름과 산이름의 경우는 마을이름, 골짜기이름, 들이름의 경우와는 달리 따로 언급할 내용이 별로 없다.

마을이름의 전부요소는 의미범주에 따라

1) 자연- 들/밭/벌, 못(池)/보(湺)/반(潘)/방죽/샘, 구름, 갓[관(冠)]/골/길마/재, 양달/음달)

2) 방위, 위치- 우/아래, 안/속/내(內)/外, 동(東)/남(南), 너먼, 고(高)

3) 동식광물(動植鑛物)- 돼지/범/봉(鳳)/용(龍)/토끼/호(虎)/황새, 대/배/오리나무/밤/은행/참나무/호두나무/가래/가죽나무의 순서를 보인다.

골짜기이름의 경우는

1) 자연, 지형, 지세- 구렁/산, 통수/서답

2) 동식광물(動植鑛物) - 자오새/학/밤/밤나무/금/먹/와(瓦)

3) 도구(道具)- 가마/가위/통

4) 위치 -안/앞

의 순이다.

들 이름의 경우는

1) 자연, 지형, 지세 -방죽/늪/개/둑, 바람/숲, 재/높은/막정

2) 위치 - 건너/안

3) 동식광물(動植鑛物)- 용(龍)/괴/솔, 방아/바레미/삽, 집/막(幕)] 순이다.

마을이름의 후부요소는 자연환경으로서의 고개(峴), 산, 골(谷), 내(川), 들(野), 밭(田)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는 사실이 먼저 지적될 필요가 있다. 이 가운데에서 ‘고개/재/티/현(峴), 산(山)/봉(峰), 골/굴/실/곡(谷), 개울/여울/내/계(溪)/천(川), 들/벌/평(坪), 밭/전(田), 숲 등이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다음으로 자연물과 인공물을 포함한 사물 (우물/정(井)/천(泉)/담(潭), 바위/암(岩), 당(堂)/대(臺), 막(幕), 정(亭) 등), 방위 혹은 위치 (안/내(內), 위/상(上), 밑, 너머/건너, 모롱이/모퉁이 등), 지형과 지세(구지/고지 등), 동물과 식물[용(龍)/호(虎), 율(栗) 등]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이 밖에 접미사 ‘-이’ 또는 순수히 마을을 나타내는 말 (그미, 뜸, 리, 마, 말, 매, 마루, 머리, 미, 사태, 쇠, 울, 쪽, 탄, 터, 거(巨), 귀(貴), 동(洞), 리(里), 미(米), 소(所), 안(岸), 지(址), 천(村))이 쓰인다.

골짜기 이름에 쓰인 후부요소로는 순수히 골짜기를 뜻하는 말인 ‘골/굴/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나머지는 마을의 뜻인 ‘말, 미, 방(坊)이’, 고개[형(峴)]을 나타내는 ‘티, 새’, 종교적 건축물 또는 조형물을 나타내는 ‘절, 堂이’, 그리고 낮다는 뜻을 함유하고 있는 ‘구렁/굴멍, 물, 구레’ 등이 있다.

들 이름을 나타내는 후부요소로는 순수히 들[야(野)]를 가리키는 단어인 ‘들/다리’가 가장 많이 쓰였고, 이 밖에 골짜기와 관련된 ‘굴, 구레/구래, 실’, 전답(田畓)과 관련된 ‘답, 밭, 마지기, 배미, 갈이/걸이’, 위치 또는 방위에 해당하는 ‘건너, 너머, 밑, 안, 거리, 자리’의 순으로 나타났다.

고개이름의 후부요소로는 ‘고개’가 가장 많은 빈도수를 보이고, 다음이 ‘재’이며, 그밖의 형태인 ‘실, 댕이(〈당[당(堂)]이), 매기(〈막이), 마개’ 등이 한두 예씩 보인다.

산 이름의 후부요소로는 역시 ‘산(山), 봉(峰)’이 가장 많이 쓰였고, 다음으로 ‘재/비리/머리’와 ‘미/바탕/발’ 등이 몇 번씩 사용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