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세종의 청주 행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201418
한자 世宗-淸州行次
영어음역 Sejongui Cheongju Haengcha
영어의미역 King Sejong's Official Tour to Cheongju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신영우

[정의]

조선왕조 제4대 임금 세종(世宗)이 안질(눈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1444년 청주목 초수리에 행차하여 머문 사건.

[개요]

조선왕조 제4대 국왕 세종은 안질(눈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1444년(세종 26) 봄과 가을 두 차례 청주목의 초수리(椒水里)[현 충청북도 청원군 내수읍 초정리]에 행차하여 약 4개월간 머물렀다. 이 기간에 세종의 눈병은 일정한 치료 효과를 보아 초수 행차의 건의는 이후에도 있었으나 백성의 부담을 염려한 세종의 배려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1448년(세종 30) 3월에 초수 행궁이 불탐으로써 행차 건의도 정지된 것으로 보인다.

[역사적 배경]

조선왕조 정치문화의 기틀을 잡은 세종은 장자였던 양녕대군을 대신하여 왕위를 계승할 수 있었던 우월성 중의 하나가 학문에 대한 독실한 자세에 있었듯이, 호문(好文)의 군주로 국정 전반에 걸쳐 학술적 연구와 편찬 사업에 바탕한 방대한 제도적 기반을 닦았다. 이 과정에는 국왕 자신도 주도적으로 참여하였기에 1432년(세종 14) 부터 안질을 앓게 되었고, 치료를 위해 온양과 이천의 온천에서 네 차례 요양하였다.

[목적]

그러나 여러 차례의 치료와 요양에도 불구하고 1441년에는 왼쪽 눈을 실명할 정도가 되게 되자 새로운 치료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그러던 중 재위 26년 1월 청주(淸州)에 후추맛이 나서 초수라고 부르는 냉정(冷井)이 여러 질병에 효험이 있다는 말을 듣게 되자 행차를 결정하게 된 것이다.

[경과]

안질을 치료하기 위한 세종청주목 초수 행차는 재위 26년의 봄과 가을 두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봄의 행차는 2월 28일 거동을 시작하여 5월 7일에 환궁하였는데, 초수에 머문 기간은 3월 2일부터 5월 3일까지 2개월여였다. 가을의 행차는 윤7월 15일에 거동하여 9월 24일에 환궁하기까지 역시 두 달여간 머물렀다.

청주목 초수 냉정에서 세종의 안질 치료는 상당한 효과를 보았다. 이에 따라 봄의 행차는 가을 행차로 이어졌고, 청주 지역에 백성의 부담이 집중되는 것을 피하고자 목천(木川)과 전의(全義)의 초수를 정비하게 하는 한편 경기도에서도 초수를 찾아보도록 하였다.

[결과]

한편 세종의 초수 행차는 모든 권력이 국왕에게 집중되어 있는 전근대 왕조국가의 특성상 단순히 질병 치료를 위한 요양이라는 차원에 그치지 않고, 임금의 거동은 그자체로 국가 기능의 이동이라는 의미를 갖게 된다. 따라서 행차 이전에 치료 효과의 사전 시험에서부터 머무를 장소인 행궁의 축조라든가 행차 노정의 건설 등 많은 부대 작업을 요하게 된다.

또 행차지의 백성들에게는 임금을 대면할 수 있는 영광된 기회가 주어지게 됨은 물론 각종 특별 조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세종이 초수 행궁에서 요양하는 동안 청주지역 백성들에게는 벼, 쌀, 콩, 면포, 술과 고기 등이 하사되었고, 청주향교에는 각종 경사서(經史書)가 하사되었다. 그리고 초수 행궁에서 행하는 장리(長利)는 춘궁기의 백성을 구휼하는 장치가 되기도 하였다.

[의의와 평가]

전근대 왕조사회에서 국왕의 지방 행차는 해당 지역민들에게 고을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영예의 기회가 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그 비용의 부담에 따른 고통도 감내해야 하는 이중성을 갖게 된다. 세종이 가을 행차를 정지시키고자 했던 것은 행차에 따르는 이러한 측면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그 이용이 국왕 개인에게만 한정될 수 없게 되면, 그만큼 백성들의 부담은 가중되었을 것임을 어렵지 않게 짐작해볼 수 있다. 이를테면, 세종 30년 초수 행궁이 불탄 원인을 단순히 실화로만 볼 수는 없다는 점이다. 어쨌든 세종의 초수 행차는 오늘날 초정약수의 명성을 얻게되는 계기를 이루었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