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201065
한자 李公升
영어음역 Yi Gongseung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시대 고려/고려 전기
집필자 이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별
생년 1099년연표보기
몰년 1183년연표보기
본관 청주(淸州)
달부(達夫)
추월재(秋月齋)
출신지 청주
시호 문정(文貞)

[정의]

고려 전기의 문신.

[가계]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자는 달부(達夫)이며, 호는 추월재(秋月齋)이다. 태조 때 공신 이희능(李希能)의 6대손이자 이겸의(李謙宜)의 5세손이다. 이공승의 아들은 이춘로(李椿老)이계장(李桂長)이 있다.

[활동사항]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글을 잘 지었고 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직한림(直翰林)을 거쳐 우정언(右正言)을 지냈다. 1148년(의종 2)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로 임명되어 사신으로 금나라에 다녀온 일이 있었다. 이때 사신으로 가는 자는 관하(管下)의 군에서 한 사람이 은 한 근씩을 받는 것이 상례였는데, 이공승은 한푼도 받지 않으니 사람들이 그의 청렴함에 탄복하였다.

그 뒤에 여러 관직을 거쳐 우승선 좌간의대부(右承宣左諫議大夫)를 거쳐 지어사대사(知御使臺事)가 되었다. 이때 의종(毅宗)을 어릴 적부터 보좌해 오던 정함(鄭諴)을 권지합문지후(權知閤門祗侯)로 제수코자 하였으나, 이공승은 이를 반대하여 고신장(告身狀)에 서명하지 않고 조서를 받들지 않았다.

의종이 관북궁(館北宮)에 굴실(窟室)과 축대를 만들어 금과 옥으로 화려하게 장식하고, 환관 궁녀들과 더불어 주연을 베풀고 이공승과 김양, 이담 등을 불러 시를 읊도록 하였을 때 공명과 부귀의 극치는 다 이 꽃 아래서 마시는 석잔 술자리에 모였다.라고 작시하여 왕의 잘못된 행실에 대해 간언하기도 하였다.

그 뒤 추밀원지주사(樞密院知奏事)에서 형부상서(刑部尙書)로 좌천되었다가 다시 동지추밀원사 지상서이부사(同知樞密院事 知尙書吏部事)를 역임하였다. 1168년 나이가 들어 물러나기를 청하니 참지정사 판공부사(參知政事 判工部事)로 승진하여 사임하게 하였다.

그는 관직을 사임한 후 정원에다 초가를 지으며, 연못을 파고 화초를 심어 내객과 더불어 시와 술로써 한가히 지냈는데, 1173년(명종 3)에 이의방(李義方)이 문신들을 학살할 때 문생(門生) 문극겸(文克謙)의 도움으로 죽음을 면했다. 1175년에 왕이 그의 오랜 덕을 중히 여겨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를 제수하였고, 1183년에 나이 85세로 죽었다. 시호를 문정(文貞)이라 하였다.

[제향]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사양리에 있는데, 영조 2년(1726)에 건립되어 영정이 봉안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공승은 수염이 아름답고 얼굴이 늙어 보이지 않았으며, 성품이 고결하였으므로 살림은 잘 돌보지 못 하였다. 그러나 성격이 강직하여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고 왕이라 할지라도 간언을 함으로서 관직이 좌천되기도 하였으며, 남의 잘못을 보면 참지 못하고 그 즉시 욕설로 대하여 그 사람을 부끄럽게 하였다. 이공수(李公遂)는 당대에 보기 드문 청렴하고 강직한 청백리였다고 하겠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