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200808 |
---|---|
한자 | 企業 |
영어공식명칭 | enterprise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북도 청주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동수,서문영 |
[정의]
충청북도 청주 지역에서 일정한 목적을 위하여 재화와 용역을 생산하는 조직적인 경제 단위.
[개설]
1969년 청주산업단지가 건설부로부터 조성 계획을 승인받고, 1970년 11월 조성을 완료하였다. 청주 지역 경제를 조직화하고 근대화하기 위하여서는 집단적인 구성이 필요하였는데, 집적의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대규모이면서도 집중적으로 투자를 유도하고 기업에 대한 지원 효과를 높이는 데에 그 취지가 있었다.
그 밖에도 오창IC와 인접한 오창과학산업단지, 오송생명과학단지, 옥산산업단지, 성재산업단지, 내수농공단지, 현도농공단지, 청주테크노폴리스 일반산업단지 등의 산업 단지가 유치되었다. 2025년 완공을 목표로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후기리 일원에 방사광 가속기를 필두로 오창테크노폴리스 산업단지가 조성 중이다.
[상공 유관 기관]
청주 지역에 있는 상공 유관 기관들은 청주시 지역만을 관할하기보다는 충청북도 전역을 관할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청주시가 도청 소재지로 충청북도의 수도이기 때문이다. 상공 유관 기관들 중 지방자치단체를 제외한 기관 단체들을 성격대로 대별하여 보면, 행정 기관으로는 충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 청주세관, 충북지방노동위원회가 있다. 정부 투자 기관으로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충북지원단이 있고, 정부 재정 지원 기관으로는 충북지역정보센터,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충북지회,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충북지역본부, 안전보건공단 충북지역본부, 한국산업인력공단 충북지사가 있다. 공동 법인체로서 청주산업단지관리공단, 청주상공회의소, 충북연구원, 충북경영자총협회, 한국무역협회 충북지역본부, 한국표준협회 충북지역본부 등이 있다.
[현황]
청주시의 사업체 수는 1996년 3만 4599개였다가 2013년 4만 6150개로 늘어났고, 통합 청주시가 된 2014년에는 5만 7645개로 늘어났다. 총 1.7배 가까운 성장이라고 할 수 있다.
2017년 발간한 『청주시지』에 따르면, 청주 지역의 기업 종사자 수는 2014년에 1996년 대비 2배 가까이 늘었다. 조직 형태별로 보면, 사업체 수는 개인 사업체가 압도적으로 많고, 다음으로 회사 법인·비법인·회사 이외의 법인 사업체 순이다. 종사자 규모는 회사 법인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개인, 회사 이외의 법인과 비법인이 뒤를 잇고 있다. 20년 가까운 시기 동안 종사자 수로 가장 크게 성장한 부분은 비법인 형태로 3.6배의 성장, 다음으로 회사 이외의 법인이 2.2배, 가장 많은 종사자 수를 보이는 회사 법인이 2.14배를 보여 고용에도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개인 사업체는 1.56배 늘어나는 것에 그쳤다.
청주산업단지는 경부고속도로 청주IC에서 5㎞, 중부고속도로 서청주IC에서 0.5㎞ 지점인 청주시 송정동·향정동·복대동·지동동·비하동·송절동·봉명동 일대 409만 9173㎡[124만 평]의 부지에 조성되었다. 새로운 경제권의 형성을 통한 생산 도시화와 지역 사회의 균형 있는 개발을 목적으로 조성되었으며,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충청북도를 통틀어 중부권 최대 규모의 지방 공단이다.
『청주시지』에 따르면, 청주 지역의 사업체는 흥덕구에 집중되어 있다. 전체 사업체 수에서는 31%를 차지하며, 종사자 규모에서는 40%를 보여 주고 있다. 나머지 상당구, 서원구, 청원구는 사업체 수나 종사자 수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는 제조업의 비중이 타 지역에 비하여 월등히 높기 때문이다. 제조업 사업체의 32%, 제조업 종사자의 63%가 흥덕구에 집중되어 있다. 이 밖에도 숙박 및 음식점업이나 도매 및 소매업, 건설업, 운수업, 사업 시설 관리 및 지원 서비스업, 협회 및 단체·기타 서비스업 등 대부분의 업종에서 흥덕구가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보여 준다. 상당구는 금융 및 보험업과 공공 행정·국방 및 사회 보장 등에서 수위를 지키고 있으며, 청원구는 하수·폐기물 처리 및 환경 복원업에서 수위를 지키고 있다. 특히 상당구는 부동산 및 임대업에서, 청원구는 금융 및 보험업과 교육 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 복지 서비스업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