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록 |
청주와 그 주위를 아우르는 청원지역일대에 축적되어온 청주문화. 청주문화는 선사시대부터 지금까지 긴 긴 역사 속에서 내적 그리고 외적인 발전을 거듭해왔다. 한반도의 역사와 함께 해온 청주의 문화적 전통, 과연 그 속에서 청주문화의 특성은 무엇이며 그 특질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자. 청주 문화의 핵심적 단어는 역사, 문화,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세가지 핵심적 개념은 오랜 기간 청주를 가꾸고 발전시켜오며 청주의 혼을 지켜온 기본 가치라 할 수 있다. 청주의 역사문화적 전통은 고대시대로부터 시작 한다. 청주의 고대문화의 흔적은 오십만년전 구석기 시대의 유물인 청주 봉명동, 개신동 유적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신석기 시대의 유물도 향정동, 산성동 빗살무늬토기를 비롯해 다양한 당시의 유물이출토되고 있다. 청원군 소로리에서 발굴된 볍씨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로 이를 통해 이 일대가 농경문화권 이었음을 알 수 있다. 청주문화는 삼국의 영향 아래서 백제와 신라 중심의 남방문화의 특성을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며 간접적으로 고구려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우리는 현재 보존이 잘되어 있는 상당산성을 통해 삼국시대의 청주, 특히 백제시대 청주문화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청주 정신문화적 줄기는 충과 성에서 찾을 수 있다. 의암 손병희, 신홍식 단재 신채호와 같은 일제 강점기 시절에 저항적이고 진보적인 독립운동가를 많이 배출한 수 있었던 것도 청주민들의 의식에 충과 성의 전통이 이어져 있는 청주문화의 특징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하나 청주 문화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것은 시대에 따라 적절한 인재를 양성해 온 청주의 수준 높은 교육문화이다. 청주 교육문화역사의 흔적은 용두사지 철당간 명문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청주는 그 어떤 지역 보다 신교육을 적극적으로 받아 들인 지역으로 그 역사적 전통은 오늘날 교육의 도시 청주라는 이름으로 면면히 계승되어 오고 있으며 그 어느 도시 보다 많은 교육인구를 보유한 도시로서도 명성을 이어 오고 있다. 현대에 와서 청주 문화의 전통은 문화산업의 계승과 발전으로 나타나고 있다. 우수한 지역의 문화적 자원을 중심으로 지역발전의 새로운 원동력으로서의 문화 육성은 청주가 만들어 나가는 새로운 시대적 테마이기도 하다. 중원문화의 특징을 바탕으로 중용을 지키려는 마음가짐을 통해 청주는 문화가 새로운 경쟁력으로 등장한 오늘날 통일 신라의 서원경에서 시작한 문화의 전통을 이제 각종 산업에서, 예술로써, 수준 높은 문화 교육으로서 새롭게 꽃 피워 나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