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700961 |
---|---|
한자 | 密陽 表忠寺 遺物 |
이칭/별칭 | 표충사 소장유물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유물(일반) |
지역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표충로 1338[구천리 23]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영록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3년 12월 27일 - 표충사 소장유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93호 지정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18년 12월 20일 - 표충사 소장유물에서 밀양 표충사 유물로 개칭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6월 29일 - 밀양 표충사 유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
현 소장처 | 표충사 호국박물관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표충로 1338[구천리 23] |
원소재지 | 표충사 호국박물관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표충로 1338[구천리 23] |
성격 | 유물 |
크기(높이,길이,너비) | 39㎝[조선 강화사 호송에 관한 문서 가로]|26㎝[조선 강화사 호송에 관한 문서 세로]|39㎝[포로 동포 송환에 관한 문서 가로]×26㎝[포로 동포 송환에 관한 문서 세로]|51㎝[포로 동포 송환에 관한 문서 표구 가로]×148㎝[포로 동포 송환에 관한 문서 표구 세로]|외기 9.8㎝[목재 연엽형 오함 외기 가로]|22.5cm[목재 연엽형 오함 외기 높이]|310㎝[연 가로]|66㎝[연 세로]132㎝[연 높이]|59㎝[표충사지 목판 가로]|31㎝[표충사지 목판 세로]|54㎝[금강경 목판 외부 가로]|26㎝[금강경 목판 외부 세로]|44.5㎝[금강경 목판 내부 가로]|18㎝[금강경 목판 내부 세로]|89㎝[표충사 사적비문 음각판 외부 가로]|49㎝[표충사 사적비문 음각판 외부 세로]|56.5㎝[표충사 사적비문 음각판 내부 가로]|30.8㎝[표충사 사적비문 음각판 내부 세로]|115㎝[서산 송운대사 비명 음각판 외부 가로]|72.5㎝[서산 송운대사 비명 음각판 외부 세로]|95㎝[서산 송운대사 비명 음각판 내부 가로]|52.5㎝[서산 송운대사 비명 음각판 내부 세로]|59㎝[팔양경 목판 외부 가로]|27.5㎝[팔양경 목판 외부 세로]|40㎝[팔양경 목판 내부 가로]|26㎝[팔양경 목판 내부 세로]|45㎝[태상현허북두본명연생진경 목판 외부 가로]|37.8㎝[태상현허북두본명연생진경 목판 외부 세로]|34㎝[태상현허북두본명연생진경 목판 내부 가로]|25㎝[태상현허북두본명연생진경 목판 내부 세로]|47.5㎝[한문 불설아미타경판 외부 가로]|26.5㎝[한문 불설아미타경판 외부 세로]|20.5㎝[한문 불설아미타경판 내부 가로]|27㎝[한문 불설아미타경판 내부 세로]|49.5㎝[한글 불설아미타경판 외부 가로]|27㎝[한글 불설아미타경판 외부 세로]|27㎝[한글 불설아미타경판 내부 가로]|19㎝[한글 불설아미타경판 내부 세로]|47㎝[광명경 목판 외부 가로]|27㎝[광명경 목판 외부 세로]|26.3㎝[광명경 목판 내부 가로]|18㎝[광명경 목판 내부 세로]|50.5㎝[불설고왕관세음경 목판 외부 가로]|27㎝[불설고왕관세음경 목판 외부 세로]|27㎝[불설고왕관세음경 목판 내부 가로]|19㎝[불설고왕관세음경 목판 내부 세로]|45.5㎝[대화상왕장하 목판 가로]|38.13㎝[대화상왕장하 목판 세로]|81㎝[다라니진언 목판 가로]|29.5㎝[다라니진언 목판 세로]|80㎝[다라니 목판 가로]|28㎝[다라니 목판 세로]|107㎝[호계첩 목판 가로]|50㎝[호계첩 목판 세로] |
소유자 | 표충사 |
관리자 | 표충사 |
문화재 지정 번호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93호 |
[정의]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 호국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유물.
[개설]
밀양 표충사 유물(密陽表忠寺遺物)은 사명대사(泗溟大師) 유정(惟政)과 관련한 문서를 비롯하여 조선 후기 표충사에서 사용한 유물로 총 19건 82점이다. 1993년 12월 27일에 표충사 소장유물이라는 명칭으로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93호로 지정되었다가, 2018년 12월 20일 밀양 표충사 유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형태]
밀양 표충사 유물은 다음과 같다.
1. 조선 강화사 호송(朝鮮講和使護送)에 관한 문서 1매[39×26㎝].
2. 포로 동포 송환(捕虜同胞送還)에 관한 문서 1매[39×26㎝].
3. 포로 동포 송환(捕虜同胞送還)에 관한 문서 1매[표구 51×148㎝].
4. 목재 연엽형 오함(木材蓮葉形五艦) 1조 5합[외기 9.8×22.5cm]: 연대는 미상이나 연엽의 조각이 잘 나타나 있다.
5. 연(輦) 2기[310×132×66㎝]: 1688년(숙종 14)과 1720년(숙종 46)에 제작된 것으로 불사가 있을 때 불상 등을 모시고 나가는 데 사용하였다.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6. 표충사지 목판(表忠寺誌木板) 1조 2매[59×31㎝]: 1742년(영조 18)에 제작되었다.
7. 금강경 목판(金剛經木板) 1조 10매[외부 54×26㎝, 내부 44.5×18㎝] :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密經)의 내용으로 1740년(영조 16) 경상도 자인[지금의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의 반룡사(盤龍寺)에서 간행되었다. 언제 표충사로 옮겨 왔는지 정확하지 않다. 완본은 26면으로 제5면, 제6면, 제11~14면 등 6면이 분실되었다.
8. 표충사 사적비문 음각판(表忠寺事蹟碑文陰刻板) 1조 4매[외부 89×49㎝, 내부 56.5×30.8㎝]: 1742년(영조 18)에 제작되었다.
9. 서산 송운대사 비명 음각판(西山松雲大師碑銘陰刻板) 1조 6매[외부 115×72.5㎝, 내부 95×52.5㎝]: 1669년(현종 10)부터 1745년(영조 21)까지 제작되었다.
10. 팔양경 목판(八陽經 木板) 1조 9매[외부 59×27.5㎝, 내부 40×26㎝].
11. 태상현허북두본명연생진경 목판(太上玄虛北斗本命延生眞經木板) 1조 6매[외부 45×37.8㎝, 내부 34×25㎝].
12. 한문(漢文) 불설아미타경판(佛說阿彌咤經板) 1조 5매[외부 47.5×26.5㎝, 내부 20.5×27㎝].
13. 한글 불설아미타경판(佛說阿彌咤經板) 1조 5매[외부 49.5×27㎝, 내부 27×19㎝].
14. 광명경 목판(光明經木板) 1조 5매[외부 47×27㎝, 내부 26.3×18㎝].
15. 불설고왕관세음경 목판(佛說高王觀世音經木板) 1조 4매[외부 50.5×27㎝, 내부 27×19㎝].
16. 대화상왕장하 목판(大和尙王帳下木板) 1조 13매[45.5×38.13㎝].
17. 다라니진언 목판(陀羅尼眞言木板) 1매[81×29.5㎝].
18. 다라니 목판(陀羅尼木板) 1매[80×28㎝].
19. 호계첩 목판(護戒牒木板) 1매[107×50㎝].
[특징]
밀양 표충사 유물은 사명대사의 활동을 짐작할 수 있는 문서류와 조선 후기 활발하게 전개된 표충사의 불사 활동을 살펴볼 수 있는 유물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밀양 표충사 유물은 사명대사의 활동을 살펴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조선 후기 표충사의 사격(寺格)을 잘 보여주는 유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