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200056 |
---|---|
한자 | 權斗紀 |
영어음역 | Gwon Dugi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충청북도 청주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홍갑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여원(汝元), 호는 소한(素閑)이다. 권결(權潔)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동부승지 권확(權鑊)이고, 아버지는 한성부좌윤을 역임한 권우(權堣)이며, 어머니는 최유해(崔有海)의 딸이다. 진사 권후(權垕)에게 입양되었고, 부인은 이합(李柙)의 딸이다. 권두추(權斗樞)의 동생이고, 함경감사를 역임한 권익관(權益寬)의 아버지이다.
1669년(현종 10)에 통덕랑(通德郞)으로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같은 해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73년부터 사간원 정언과 사헌부 지평을 거쳐 사헌부 집의·성균관 사성 등을 차례로 역임하고 난 후 외직으로 서원현감이 되었다.
이 당시 서원현이었던 것은 고을 주민 박상한(朴尙韓)이 반역죄로 처형되면서 청주목이 일시 강등(1665~1674)되었기 때문이다. 그가 현감으로 재직 중에는 재결(裁決)을 신속히 하여 관아에 체송(滯訟 : 소송이 미해결로 정체됨)이 없었다고 한다.
내직으로 들어와서 부수찬이 되어 경연에 입시(入侍)하였을 때 문의(文義)를 조리 있게 분석하여 명석한 식견을 널리 알렸다. 1683년(숙종 9) 교리가 되어 더욱 직분에 충실하는 동안, 영부사 송시열(宋時烈)이 태조(太祖)의 존호(尊號)에 정륜소의(正倫昭義)를 가상(加上)함으로써 위화도회군의 위업을 현창(顯彰)하자는 소를 올린 일이 있다.
이 때 송시열의 주장에 반대하였는데, 송시열이 자기의 주장을 끝까지 관철하자, 마침내 신병을 핑계로 벼슬에서 물러나고 교외로 나가 은거하였다.
최석정(崔錫鼎)이 지은 묘갈명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