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100302 |
---|---|
한자 | 高北面 |
영어음역 | Gobuk-mye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환영 |
개설 시기/일시 | 1914년 - 서산군 고북면 개설 |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서산군 고북면에서 서산시 고북면으로 개편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757년 - 목우현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940년 - 고구현 |
관공서 | 고북면 주민센터 -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고북1로 294[가구리 617-2] |
성격 | 행정면|행정 구역 |
면적 | 71.75㎢[2014년 12월 31일 기준] |
가구수 | 3,232세대[2014년 12월 31일 기준] |
인구(남,여) | 7,930명(남자 4,111명, 여자 3,819명)[2014년 12월 31일 기준] |
[정의]
충청남도 서산시에 속하는 행정면.
[명칭 유래]
고려 시대에 고구현(高丘縣)의 북쪽에 자리하고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형성 및 변천]
원래 백제 때 우견현(牛見縣)이었고, 통일신라 시대인 757년(경덕왕 16)에 목우현(牧牛縣)으로 고쳐서 이산군현(伊山郡縣)이 되었다가, 고려 전기에 고구로 고쳤다. 고려 태조 때 몽웅역(夢熊驛)의 한씨 성을 가진 이가 큰 공이 있어 대광의 작호를 내렸는데, 이와 함께 고구현 관할하에 있던 현 해미(海美) 지역이 정해현(貞海縣)으로 승격 분할되어 고구현은 고북면(高北面) 지역과 갈산면(葛山面) 지역으로 축소되었다.
고북면은 조선 시대 홍주목(洪州牧)에 속해 있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 제도 개편 시 홍주목 고북면은 해미군 상도면과 하도면 2개 면이 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서산군 고북면이 되었고, 1983년 고북면 대사리가 홍성군 갈산면에 편입되었다. 1989년 서산읍이 서산시로, 태안읍 외 7개 면이 태안군으로 되었으며, 인지(仁旨)·부석(浮石)·팔봉(八峰)·지곡(地谷)·대산(大山)·성연(聖淵)·음암(音巖)·운산(雲山)·해미·고북(高北) 10개 면은 서산군으로 개편되었다. 1995년 서산시와 서산군이 통합되어 서산시 고북면이 되었다.
[자연 환경]
많은 소하천이 흐르고 있으며, 대부분이 평야 지대로 비옥한 농업 지역을 이룬다. 천수만 간척에 의해 농지가 증가되었으며, 천수만 방조제 밖의 간석지에서는 명물인 대하를 비롯한 각종 어패류가 다량으로 채취된다. 남서부에는 큰 염전이 펼쳐져 있다.
[현황]
2014년 12월 31일 현재 면적은 71.75㎢이며, 인구는 총 3,232세대에 7,930명(남자 4,111명, 여자 3,819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행정 구역은 법정리 13개[가구리·신송리·장요리·초록리·용암리·신상리·신정리·남정리·기포리·양천리·정자리·봉생리·사기리], 행정리 31개, 반 105개, 자연 마을 78개로 나누어져 있다.
산이 높고 기운이 좋아 예로부터 고북면에서 공부하면 나라에 큰 인물이 난다고 하여 많은 사람들이 수도하였던 천장사(天藏寺)가 있다. 낚시터로도 알려진 신송저수지와 소정천, 간월호의 풍부한 수원은 연중 관개에 이용되어 고북 알타리무를 비롯하여 황토딸기와 각종 화훼 재배 등에 쓰이고 있다. 가구리·신송리·초록리·기포리 지역에 중소 기업체가 입주하고 있으며, 내수 및 수출을 담당하고 있다.
국도 29호선이 고북면 중심부를 관통하고 있어 충청권 내륙으로 통하는 교통이 편리하다. 동으로는 연암산을 경계로 하여 예산군 덕산면, 남으로는 홍성군 갈산면, 서로는 A지구라 불리는 간월호를 경계로 하여 부석면, 북으로는 해미면과 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