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다리밟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901607
이칭/별칭 답교,답교놀이,다리 빼앗기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놀이/놀이
지역 서울특별시 도봉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지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속놀이
노는 시기 음력 1월 15일

[정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에 행하는 다리를 건너다니는 놀이.

[개설]

다리밟기 는 정월 대보름날 밤 다리를 밟으면 일 년 동안 다릿병을 앓지 않고 열두 다리를 밟아 지나가면 열두 달 동안 액을 면한다고 하여, 이날 밤에는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다리를 건너다니는 민속놀이이다. 이를 답교, 답교놀이, 다리 빼앗기 등이라고도 한다. 다리를 밟는 것은 다리[橋]와 다리[脚]가 동음이의어로, 이에 연관시켜 본인의 나이 수만큼 다리를 밟으면 다리가 튼튼해지고 모든 액을 면한다고 생각하여 여러 곳의 다리를 찾아다니며 밟았다. 기록에는 조선 시대 양반과 평민, 부녀자의 다리밟기의 날이 달랐다고 전해지는데, 양반은 음력 1월 14일에, 평민은 15일에, 그리고 부녀자는 16일에 다리밟기를 하였다고 한다.

[연원]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의 정월 상원조(上元條)에는, 서울 풍속으로 다리밟기를 꼽으며 “교(橋)를 우리말로 하면 다리로서, 다리를 밟음으로써 다리에 병이 일 년 동안 안 걸린다는 풍속이 있다. 다리를 밟을 때는 광통교와 작은 광통교 및 수표교에서 많이 성행한다. 인산인해(人山人海)를 이룬 군중들은 북을 치고 퉁소를 불며 법석이다.”라고 소개하고 있다.

이수광(李睟光)[1563~1628]의 『지봉유설(芝峰類說)』에는 “정월 보름에 달이 뜨면 그해에 풍년이 들 것인가를 점치며, 또 그날 밤 다리밟기를 한다. 이 놀이는 고려 때부터 내려오는 것으로 평상시에 대단히 성행하였다. 남녀가 모여 들어차서 밤새도록 그치지 않으므로, 심지어는 법관이 그것을 금지하고 체포하기까지 하였다.”라고 당시 정황을 묘사했다.

이밖에 『정종실록(正宗實錄)』에는 “정월 보름 때 13일부터 사흘 동안 야간 통행금지를 해제하고 숭례문과 흥인문을 잠그지 않고 시민이 성 밖으로 나가 다리밟기하는 것을 허락하였다.”고 되어 있다. 김매순(金邁淳)[1776~1840]의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에는 “정월 보름날 저녁에 열두 다리를 건너면 열두 달 동안의 액(厄)을 막는 것이라 하여, 재상과 귀인으로부터 촌의 서민에 이르기까지 늙고 병든 사람 외에는 나오지 않는 이가 없다.”라고 하고 있다.

[놀이 도구 및 장소]

근처의 큰 다리를 이용하여 별다른 도구 없이 누구나 할 수 있다. 특히 다리가 약한 사람이나 노인들이 튼튼한 다리의 기운을 받는다는 유감 주술의 의미에서 주로 행할 수 있다.

[놀이 방법]

다리밟기 는 답교와 다리 빼앗기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답교는 다리밟기를 놀이로 만든 것으로, 원님이 교자를 타고 의젓하게 행차하는 놀이로 발전되었다. 또 다리 빼앗기는 다리 위에서 청장년들 사이에 격전을 벌이는 것을 말한다. 상대편을 떨어뜨리면서 한 걸음씩 진출하여 다리를 다 빼앗으면 이기게 된다. 이때 기운을 내기 위하여 술도 마시고 소리를 지르기도 한다. 이긴 편 쪽에 행운이 있다고 믿어진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다리를 건너는 방법은 지방에 따라 조금씩 달랐다. 다리 셋을 건너기도 했고, 제일 큰 다리나 가장 오래 된 다리를 자기 나이 수대로 왕복하기도 했다. 지방에 따라 왕복을 1회로 치는 곳과 왕복을 2회로 간주하기도 하고, 나이가 홀수일 때는 1회를 다리 아래로 돌아오는 곳도 있었다. 대체로 12다리를 건너면 12달의 액을 막는다고 하였다.

[현황]

현재 도봉구에서 다리밟기를 전문으로 하는 특정 장소 및 수행 주체는 찾을 수 없다. 그러나 지자체를 중심으로 정월 대보름 즈음 민속놀이 등 세시 풍속과 관련한 행사가 진행되어 왔기에, 다리밟기 역시 시민 참여형 대동 놀이의 하나로 기획·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