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401444
한자 -痕迹防潮堤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대호지면|석문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구자경

[정의]

충청남도 당진시의 하천 하구나 리아스식 해안에 제방을 쌓아 농경지 및 담수호를 만들기 위해 설치한 구조물.

[개설]

충청남도 당진시에는 1981년 완공된 삽교천 방조제와 1984년 완공된 대호 방조제, 그리고 1995년 완공된 석문 방조제가 있다. 초창기 방조제의 축조는 간척(干拓) 사업을 통해 농경지의 확보가 주된 목적이었다. 특히 1980년대까지만 해도 충청남도 당진시는 전형적인 농업 도시였기 때문에 쌀 생산량 증대와 농업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최우선의 목표였다. 따라서 조수 간만의 차가 큰 서해안의 갯벌은 바닷물을 막고 염기를 제거했을 때 농토로 전환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땅이었다. 그런데 1990년대 들어서면서 식량 자급률이 높아지고 쌀 수입이 늘어나면서 간척지의 농토 활용에 대한 필요성은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당진시에 있는 세 개의 대형 방조제 중 삽교천 방조제대호 방조제가 '농업 종합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시행되었던 것과 달리 1995년 완공한 석문 방조제의 경우 '석문 지구 간척지 개발 사업'으로 추진되어 농업 용지와 산업 단지로 활용되고 있다.

[국토를 넓히다-간척 사업의 역사]

보편적으로 간척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호수와 늪 또는 하천 연안의 낮은 지대로서 바닷물의 영향이 없는 곳에 제방을 쌓고 그 지구 안의 물을 빼내어 토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무감조지 간척(無感潮地干拓)이다. 다른 하나는 하구 간척(河口干拓)과 해면 간척(海面干拓)으로 구분되는 감조지 간척(感潮地干拓)이 있다.

하구 간척은 조수의 영향을 받는 주요 하천의 하류부에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하구언(河口堰) 및 배수 갑문(排水閘門)을 축조하고 하천의 일부를 농업용수와 공업용수를 위한 저수지로 이용하고 하구언변의 간석지를 개답(開畓)[생땅이나 밭을 처음 논으로 만드는 일]하여 농경지, 또는 주택 단지 및 공업 단지 등으로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해면 간척은 조석 간만의 차가 심하지 않은 광활한 간석지에 바닷물을 막는 방조제를 설치하고, 해면을 정지 또는 구획 정리함과 동시에 배수 시설을 하여 염분을 제거하고 농업 용지나 공업 용지 또는 택지 등으로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 근대 이전의 간척에 대한 역사는 고려 시대부터 살펴볼 수 있다. 1235년(고종 22) 몽고의 3차 침입 시 강화도 연안에 제방을 축조하기 시작한 기록이 있다. 그리고 1248년(고종 35) 병마판관 김방경이 청천강 하구 갈대섬에 제방을 축조하여 간척 농지를 조성했다는 기록도 있다.

조선 시대로 오면 1636년(인조 14) 강화에 간척 제방 삼간포둑을 축조한 기록을 시작으로 효종, 현종, 숙종, 정조, 순조 대까지 제방 축조와 농지 조성을 한 역사가 기록으로 남아 있다. 또한 일제 강점기에도 1911년 「국유 미간지 이용법 시행 규칙(부령 81호)」을 비롯하여 1923년 「조선 공유 수면 매립령 공포(제령 4호)」, 1929년 「개간 간척지 이주 장려 보조 규칙」 등 간척지 조성과 이주 장려 정책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의 간척 사업은 이전보다 훨씬 더 적극적으로 이루어졌다. 1940년 ‘조선 수리 조합 연합회’가 설립되고 1945년 연합회를 재건하여 활동을 시작하였다. 1959년 UN 특별 기금에 의한 간척 사업 지원 요청을 시작으로 1960년 ‘농경지 확장 5개년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1961년 「공유 수면 관리법(법률 제848호)」과 「토지 개량 사업법(법률 제948호)」이 공포되고 1962년 「공유 수면 매립법 시행 규칙」이 공포되면서 1963년 3월 15일 동진강 수리 간척 공사가 시작되어 1967년 완공된다. 그 사이 건설부는 2차에 걸친 간척 자원 조사를 통해 198개 지구 52만 1000㏊의 매립 면적을 예상했다. 또한 1969년 금강-평택 지구 대단위 농업 종합 개발 사업으로 71개 지구 22만 5000㏊의 매립 면적 적지를 선정했다.

1970년대 이후의 간척 사업은 더욱 적극적이었다. 1970년 금강-평택 지구 농업 종합 개발사업의 착공을 시작으로 1973년 평택 지구 아산, 남양 방조제를 준공하고 1974년 계화도 지구 농업 종합 개발 사업과 삽교천 지구 삽교 방조제 공사를 착공하였다. 1984년 대호 지구 방조제가 준공하였고, 1990년 금강 지구 금강 하구둑이 준공하였다. 1993년 시화 지구 1호 방조제의 끝막이 공사 완료와 1994년 도비도 ‘항국형 농업 시범 단지’ 내 농어촌 휴양지 개발 부분 기반 조성 공사가 착공된다. 1995년 8월에는 서산 A·B 지구가, 12월에는 석문 방조제가 준공되었다.

이로써 해방 이후 2002년까지 우리나라의 간척 사업 현황은 총 1,628개 지구에서 7만 5770㏊의 간척지를 얻게 되었다. 2003년 이후 시행 면적은 6만 21㏊이며 개발 예정지 면적은 2만 1074㏊이다. 이 중에서 충청남도 당진 지역의 간척 사업으로 증가한 국토의 면적은 삽교천 지구 간척답 1,037㏊, 대호 지구 간척 개답 2,899㏊와 개간 198㏊, 석문 지구 1,594.25㏊와 담수호 873.96㏊이다.

[식량 자급의 원천, 농토를 확보하라!]

현재 우리는 식량 자원이 무기가 된 시대를 살고 있다. 우리나라는 식량 자급률이 지난 1970년 80%를 웃돌았으나 1980년에는 56%, 1985년에는 48%로 점차 하락하였다. 1990년대에는 자유 무역 협정 등에 의해 농산물 개방이 확대되면서 하락 폭이 두드러져 1992년에는 식량 자급률이 34%까지 급락했다. 이 중 주곡인 쌀의 자급률은 1990년 108%로 완전 자급을 이루었지만 1992년에는 98%로 떨어졌다. 이처럼 식량 자급률이 하락한 데는 우리 농산물의 국제 경쟁력 약화가 주된 원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특히 '식량 자급률 목표치 설정 계획 및 목표 달성률'을 조사한 결과 농식품부가 수립한 2015년 식량 자급률은 목표치인 57%보다 6.8% 낮은 50.2%로 나타났다. 그중에서 쌀은 101%로 목표치 98%를 웃돌았지만 밀 1.2%[목표 10%], 콩 32.1%[목표 36.3%], 보리쌀 22.3%[목표 31%] 등 기타 잡곡은 자급률이 저조했다. 농촌 경제 연구원에 따르면 2020년까지 식량 자급률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175만 2000㏊가 필요하지만 2014년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경지 면적은 역대 최저인 167만 9000㏊에 그쳤다. 간척지 개발의 투자 효과는 부족한 식량을 증산하고 농산물의 수입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토지에 대한 인구의 압력이 큰 우리나라에서는 단순한 국토 확장의 가치보다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충청남도 당진 지역의 경지 면적은 간척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된 1960년대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1965년 당진시 총 경지 면적은 2만 3129㏊였으나 2012년 2만 8599㏊로 19%나 증가하였다.

다만 우리 나라 산업 구조와 농업 종사자의 변화로 총 경지 중 논의 면적은 2005년 2만 2427㏊를 정점으로 2012년 2만 1564㏊로 점차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농촌 지역 인구의 고령화와 농업 인구의 급감 추세에 서해안 지역의 공업화는 농지의 전용을 가속화하여 현재의 상황을 유발하고 있다. 앞으로도 대규모 공업 단지 개발과 도시화로 인한 택지 개발 등으로 농지의 축소 현상은 불가피해 보인다. 다만 당진시는 기존 3개의 간척 사업 지구로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대규모 농지와 수자원을 확보하고 있어 그 미래가 어둡지만은 않다. 삽교천 지구가 약 8400만 톤, 대호 지구는 1억 2000만 톤, 석문지구는 1500만 톤의 수자원을 확보하고 관계 수로망 정비를 마쳤기 때문에 인근 평야 지대의 농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다.

[바다를 가로지르다]

무감조지 간척이든 감조지 간척이든 하천과 바다에 둑을 쌓아 만든 방조제는 간척지를 조성하고 담수호의 수자원을 확보하는 역할 이외에도 방조제[하구언] 자체가 훌륭한 도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대표적인 방조제 규모를 보면, 아산만 방조제가 2,060m, 영산강 하구둑 4,350m, 금강 하구둑 1,841m, 시화 지구 방조제 1만 2676m, 영암 방조제 2,219m이며, 국내에서 가장 긴 새만금 방조제는 33㎞에 이른다.

당진시의 대표적인 방조제인 삽교천 방조제는 3.3㎞, 대호 방조제는 7.8㎞, 석문 방조제는 10.6㎞이다. 과거 삽교천 방조제가 건설되기 전 당진에서 서울을 가기 위해서는 당진을 출발하여 합덕을 거쳐 신례원에 도착한 후, 신례원역에서 기차로 갈아타고 서울 용산역에 가야 했다. 따라서 대기 시간 포함 총 소요 시간이 5시간은 족히 걸렸다. 그런데 삽교천 방조제가 건설되고 아산만 방조제를 통해 통행하면서 서울까지의 통행 거리는 40㎞를 단축하고 소요 시간도 2시간 30분으로 단축되었다. 대호 방조제도 서산시 대산 석유 화학 단지의 화물 운송 차량들이 수도권 등으로 진행할 때 상당한 시간을 단축시키기 때문에 물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무한한 해양 관광 도시를 꿈꾸며]

방조제의 축조는 관광 자원으로의 활용도도 높이는 효과를 가져왔다. 삽교천 방조제는 길이 3,360m, 최대 너비 168m, 높이 12~18m로 축조되어 그 자체만으로도 훌륭한 관광지 역할을 했다. 또한 2002년 삽교호 함상 공원 개관을 위해 퇴역 구축함과 상륙함을 거치하였다.

삽교호 함상 공원은 동양 최초의 군함 테마 공원으로 호국정신 함양을 위한 안보 관광지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놀이공원 시설을 구비하였으며, 2010년에는 해양 테마 과학관을 추가로 개관하여 당진시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개발하였다. 대호 방조제 역시 240만 평[약 7.9339㎢]의 광활한 대호 환경 농업 시범 지구와 습지를 이용한 생태 공원을 조성하여 청소년과 도시민에게 농·어업 체험, 농어촌 현장 체험, 갯벌 체험, 철새 탐조, 환경 생태 관찰, 전통 놀이, 테마별 수학여행, 바다낚시, 봉사 활동 등 각종 자연 체험 학습 교육의 장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방조제 인근의 관광 단지 내에는 대규모 수산물 유통 단지나 음식점들이 입점하여 상권을 형성하고 있어 기존 어민들의 생활 패턴에 변화를 가져왔다. 방조제 축조 이전만 하더라도 어민들의 생계 수단은 조업, 양식, 채취 수준에 머물렀다. 그러나 현재는 판매와 가공 등의 과정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 부가 가치를 높이고, 결과적으로 수익의 증대로 이어지고 있다. 당진의 특화된 수산물이 이러한 수산 관광지를 통해 전국적으로 알려지는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당진, 농업 도시가 공업 도시로]

전통적으로 농업 도시였던 충청남도 당진시가 어느새 공업 도시로 탈바꿈하는 데에는 방조제 축조를 통한 간척지의 개발이 한몫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1995년 완공한 석문 지구 간척지 개발 사업이 1991년 국가 산업 단지로 지정[건설부 제1991-871호]되면서 본격적인 공업 도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석문 국가 산업 단지는 총면적 1201만 8616㎡로 산업 지구와 주거 지구로 나누어 개발할 예정이다. 산업 지구 반경 20㎞ 이내에는 서해안 고속 도로 송악 나들목과 당진 나들목이 있고, 당진~대전 간 고속 도로 및 당진항[서부두, 고대 부두, 송악 부두, 당진 화력 부두]가 있어 물류 기반이 갖추어져 있다. 특히 서해안 고속 도로당진항까지는 석문 방조제 도로를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석문 방조제 안쪽에는 873.96㏊의 담수호가 만들어지면서 약 1500만 톤의 수자원을 확보하여 산업 단지의 공업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방조제 축조는 국토의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가치 있는 사업이었다. 공유 수면 매립을 포함하여 그동안 방조제 축조로 국토의 총면적은 10년 전보다 여의도 면적의 224배인 650㎢가 증가했다. 충청남도 당진시의 방조제 축조는 초창기에 농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며 식량 자급률을 높였고, 벼의 단위 면적당 생산량이 전국 최고를 기록하였다. 한편 1990년대 이후에는 농업 중심의 도시가 공업 중심의 도시로 변모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한편 방조제의 축조로 일부에서는 갯벌의 감소라는 역효과에 대해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방조제 등에 의한 갯벌의 개발 과정에서는 환경적 요소에 대한 치밀한 조사와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