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203635 |
---|---|
한자 | 東華寺 |
이칭/별칭 | 남수원불당,남수원절 |
분야 | 종교/불교 |
유형 | 기관 단체/사찰 |
지역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척산화당로 444[문동리 150]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고려/고려 전기 |
집필자 | 박보람 |
중수|중창 시기/일시 | 1949년 - 동화사 중수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88년 5월 28일![]() |
현 소재지 | 동화사 - 충북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척산화당로 444[문동리 150]![]() |
성격 | 사찰 |
전화 | 043-260-9477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문동리에 있는 한국불교태고종 소속 사찰.
동화사(東華寺)는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문동리에 있다. 정확한 창건 연대는 관련 기록이 없어 알 수 없지만 현재 절터에서 수습되는 기와 조각이나 유물로 보아 통일 신라 말기에서 고려 전기에 창건된 절로 추정된다. 중창 당시 매몰된 불상을 발굴하여 봉안한 대웅전의 비로자나불상과 비로자나불상을 받치고 있는 연화대좌(蓮華臺座)가 유명하다.
동화사는 사찰 측의 구전에 의하면 신라 시대에 창건되어 임진왜란 때 완전히 소실된 것을 1700년대 성씨 문중(成氏 門中)에서 중창하였고, 1949년 중수하였다고 한다. 조선 시대 지리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보이는 ‘남수원불당(南水院佛堂)’은 동화사를 가리키는 것으로 현재도 속칭 ‘남수원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동화사는 현재 한국불교태고종(韓國佛敎太古宗) 소속 사찰이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과 요사채가 있다. 1988년 5월 28일 전통사찰 49호로 등록되었다.
동화사 대웅전 내에는 10세기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비로자나불좌상과 불상을 받치고 있는 연화대좌가 있다. 연화대좌는 청주 지역에서 발견된 것 중 대작에 속하며, 8각의 중대석(中臺石) 후면에는 향로(香爐), 좌우면에는 합장한 좌상(坐像), 나머지 5면에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과 지권인(智拳印) 등을 취한 여래상이 모두 결가부좌한 자세로 조각되어 있어 청주 지역 일대에 유행한 대좌를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이 밖에 대웅전 앞에는 3층의 지붕돌과 기단면석만 남아 있는 동화사 삼층석탑이 있고, 수막새·귀면와(鬼面瓦)·암막새 등이 수습되었다. 수막새는 백제의 기와를 닮은 것으로 고려 시대 작품으로 추정된다. ♡형이 새겨져 있고 범자(梵字)가 양각되어 있는 기와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