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203490 |
---|---|
한자 | 金觀會 |
영어공식명칭 | Gim Gwan-hoe |
이칭/별칭 | 예경(禮卿),화산(華山)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옥화리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집필자 | 한애라 |
출생 시기/일시 | 1890년![]() |
---|---|
몰년 시기/일시 | 1973년![]() |
출생지 | 김관회 출생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옥화리![]() |
수학|강학지 | 김관회 강학지 - 충청북도 청주시 |
묘소|단소 | 김관회 묘소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옥화리 |
성격 | 학자 |
성별 | 남성 |
본관 | 안동 |
일제 강점기 충청북도 청주 지역 출신의 학자.
김관회(金觀會)[1890~1973]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예경(禮卿), 호는 화산(華山)이다. 아버지는 김재우(金在禹)이다.
김관회는 1890년 지금의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옥화리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학문에 뜻을 두어 책을 가까이 하였고, 전우(田愚)[1841~1922]의 제자인 송의섭(宋毅燮)[1865~1944]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였다.
김관회는 스승 송의섭을 본받아 학문에 매진하였으며, 고향인 청주를 떠나지 않고 인근에 사는 많은 제자를 양성하고 1973년 사망하였다.
김관회의 저술로는 문집인 『화산집(華山集)』이 전한다.
김관회의 묘소는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옥화리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