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201873 |
---|---|
한자 | 金鍾五 |
영어음역 | Kim Jongo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충청북도 청주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양수 |
군인.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 외천리에서 김성균(金成均)의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일본 주오(中央)대학 재학 중 1944년 학도병으로 입대, 소위로 임관되었으나 일본의 패망으로 귀국하였다. 국방경비대에 1946년 입대, 1947년 제1연대장이 되었고, 한국동란 때는 제6사단장으로 참전하였다.
그 후 육군사관학교 교장, 국방부 합동참모본부총장 등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1961년의 5·16군사정변 후에는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을 거쳐 제15대 육군참모총장에 취임하였다. 1962년에 육군대장이 되었고, 다음 해에 합동참모회의 의장을 지냈다.
제6사단장으로 참전하여 춘천, 홍천 방면으로 공격해오는 북한 공산군의 진격을 5일간이나 지연시킴으로써, 공산군의 남한 진공계획을 저지하였다. 충청북도 음성에서는 북한공산군 15사단 48연대를 기습하여 사살 1천명 등, 개전 이래 최대의 전과를 올렸고, 충주-이화령으로의 지연전을 효과적으로 실시하였다. 같은 해 9월 낙동강방어선 신녕지구에서 적에게 큰 타격을 주어 반격작전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그 후 김종오(金鍾五)[1921~1966] 사단은 10월 26일 초산을 점령, 한·만 국경에 최초로 태극기를 꽂았다. 북진작전 중 부상으로 제9사단장으로 전보된 다음, 육군본부 인사국장 등 요직을 역임하였다.
1952년 제9사단장으로 임명되어, 중공군 정예사단들과 백마고지를 두고 10일간 24번이나 계속된 뺏고 빼앗기는 혈전을 지휘하였다. 이 전투 끝에 중공군을 완패시킴으로써 휴전회담에도 큰 정치적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