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201022 |
---|---|
한자 | 延最績 |
영어음역 | Yeon Choejeok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충청북도 청주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홍갑 |
성별 | 남 |
---|---|
아내 | 조양(趙暘)의 딸 평양조씨(平壤趙氏) |
시호 | 의민(毅愍) |
추증/추서 | 도승지|이조판서|대제학 |
생년 | 1663년![]() |
몰년 | 1693년![]() |
본관 | 곡산(谷山) |
자 | 무경(茂卿) |
호 | 치당(痴堂) |
출신지 | 청주 |
아버지 | 연택로(延宅老) |
어머니 | 유장(柳莊)의 딸 문화유씨(文化柳氏)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이며, 자는 무경(茂卿), 호는 치당(痴堂)이다. 청주 출신으로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연택로(延宅老)이다. 할아버지는 연재희(延再熙), 증조할아버지는 연응복(延應福)이며, 어머니는 유장(柳莊)의 딸 문화유씨(文化柳氏)이다. 부인은 조양(趙暘)의 딸 평양조씨이다.
1682년(숙종 8)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성균관에 배속되었다. 사헌부 감찰에 올라 올바른 정치와 소신에 대한 상소문을 올렸으나 시사(時事)의 급변으로 모진 형신(刑訊)을 당하여 사직되었다.
그 뒤 다시 기용되었으나 1689년에 일어난 기사환국으로 다시 파직되었다. 1693년 숙종(肅宗)이 구언교(求言敎: 국정에 대하여 신하나 사람들의 직언을 구하는 교시)를 내리자 이에 인현왕후(仁顯王后) 폐위의 부당성과 당시 화를 입은 자들의 용서 비는 상소문을 올려, 심한 국문을 당한 끝에 옥사하였다. 효자로 이름 높아 정려(旌閭)되기도 하였다.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권상하(權尙夏)를 따라 학문을 닦았다.
『치당유고(痴堂遺稿)』가 있다.
그가 죽은 지 2년 후 순무사(巡撫使)가 그의 효행을 듣고 조정에 알려 정려되었다. 1738년(영조 14)에는 모든 것이 복위되고 자손까지 녹용하라는 어명이 내려졌다. 1779년(정조 3)에는 기사환국 당시 오두인(吳斗寅)·박태보(朴泰輔) 두 신하의 죽음을 힘껏 구제하고 형장 아래서도 한마디 말도 바꾸지 않았던 충절(忠節)이 인정되어 특별히 증시(贈諡)하게 하였다.
인현왕후가 복위되자 도승지에 추증되었다. 충신문이 세워지고 그 뒤 1747년 이조판서 겸 양관(兩館) 대제학(大提學)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의민(毅愍)이다. 그를 추모하는 충효양전문(忠孝兩全門)이 청주시 흥덕구 모충동(慕忠洞)에 세워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