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200232 |
---|---|
한자 | 朴弼正 |
영어음역 | Park Piljeong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충청북도 청주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강민식 |
조선 후기 노론의 대표적 인물.
본관(本貫)은 밀양(密陽), 자(字)는 계심(季心), 호(號)는 일휴(逸休)로 강수(江叟) 박훈(朴薰)[1484~1540]의 후손이다. 청주 출신으로 참봉 박세증(朴世拯)의 아들로 외할아버지는 이여절(李汝晢)이다.
1711년(숙종 37)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6인으로 합격하였다. 1711년 가주서(假注書)를 시작으로, 부사정(副司正), 주서(注書)·사정(司正)·자여찰방(自如察訪)·전적(典籍)·예조(禮曹)와 병조(兵曹)의 좌랑(佐郞)과 정랑(正郞), 1718년 정언(正言)을 거쳐, 1720년 장령(掌令)이 되었다.
1722년(경종 2) 사과(司果)로 있을 때, 노론을 축출하고 소론 정권을 수립한 이후 소론 중 과격파로서 노론 탄압의 앞장을 섰던 김일경(金一鏡)의 척소(斥疏)를 받아 삭직(削職)되었으나, 1725년 영조(英祖) 즉위와 함께 다시 복직되었다.
이 후 장령·헌납(獻納)을 거쳐, 1734년(영조 10) 판결사(判決事), 1737년 예조참의(禮曺參議), 1739년 북청부사(北靑府使), 1741년 승지(承旨), 1751년 사직(司直), 후에 한성부좌윤을 지냈다. 북청부사로 재직할 때 군기(軍器)를 보수하여 가선대부(嘉善大夫)에 가자(加資)되기도 하였다.
숙종(肅宗)·경종·영조 등 3대의 20여 년 동안 요직에 있으면서 신임을 받았고 정사 논의에는 강직한 발언을 하였다. 또한 문서의 번복을 꺼림에 임금도 그의 성의를 알고 청종(聽從)하는 때가 많았다. 그리고 정의감이 강하여 토역(討逆)의 논의에도 몸소 나섰다.
『일휴재참판공만록(逸休齋參判公漫錄)』이 있다.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태락리에 있다. 송병선(宋秉璿)이 찬(撰)하여 1941년에 세운 신도비가 묘소 입구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