눌재강수유고 목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200136
한자 訥齋江叟遺稿木板
영어음역 Nuljae Gangsu Yugo Panmok
영어의미역 Woodblocks of the Posthumous Works by Nuljae and Gangsu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내덕동 36[대성로 298]지도보기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황정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연도/일시 1666년연표보기 - 눌재강수유고 목판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1995년 6월 30일연표보기 - 눌재강수유고 목판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77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눌재강수유고 목판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정의]

눌재(訥齋) 박증영(朴增榮)강수(江叟)·박훈(朴薰)[1484~1540] 부자의 시문집(詩文集)을 인쇄하기 위해 만든 판목(板木).

[제작경위]

박훈의 현손인 박정용(朴廷龍)[1599~1673], 박정린(朴廷麟)[1607~1655], 박정표(朴廷彪)[1618~1662] 3형제와 사촌인 박정해(朴廷獬)[1607~1687]가 눌재강수의 유고를 모아 송시열(宋時烈)이 지은 「서(序)」를 붙여 1666년(현종 7)에 판각(板刻)한 것으로, 판목은 모두 38장(張)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7장이 낙장되고 현재는 31장이 남아 있다.

『눌재강수유고(訥齋江叟遺稿)』는 후손들이 계속 증보하여 1902년에 박영문(朴永文)이 목활자(木活字)로 간행(국립중앙도서관 소장)하였으며, 1974년에 박영순(朴榮淳)이, 1977년에 박성수(朴性洙)가 간행한 석판본(石版本)이 있다.

[형태]

청주대학교 박물관에 보관된 눌재강수유고(訥齋江叟遺稿)의 판목은 모두 31장이 남아 있는데, 그 내용은 송시열 「서(序)」가 2장 1면, 『눌재유고(訥齋遺稿)』 권1이 6장 1면, 『눌재유고(訥齋遺稿)』 권2가 5장, 『눌재유고(訥齋遺稿)』 권3이 2장 1면, 『눌재유고(訥齋遺稿)』 권4가 11장 1면, 「강수유고」가 2장, 「눌재유필(訥齋遺筆)」·「강수유필(江叟遺筆)」이 1장이다.

현재 없는 장은 『눌재유고(訥齋遺稿)』 권1에 1장에 제1엽과 제2엽, 『눌재유고(訥齋遺稿)』 권2의 1장에 제9엽과 제10엽, 『눌재유고(訥齋遺稿)』 권3의 3장에 제1엽부터 제6엽까지, 『눌재유고(訥齋遺稿)』 권4의 1장에 제4엽과 제5엽 그리고 발문 1장으로 모두 7장이다.

현재의 판목은 대개 가로 45㎝, 세로 22㎝, 두께 3.3㎝이고 양면에 판각을 하였으며, 판곽(板郭)은 가로 33㎝, 세로 20.5㎝에 사주쌍변(四周雙邊) 유계(有界)이다. 그리고 송시열의 「서(序)」는 반엽(半葉) 5행(行)에 1행 10자(字)이나 『눌재유고(訥齋遺稿)』와 「강수유고」는 반엽 10행에 1행 14자내지 15자이다.

판심(板心)은 모두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인데, 송시열의 「서(序)」에는 서제(序題)와 장차(張次), 『눌재유고(訥齋遺稿)』에는 제명(題名), 권차(卷次)와 장차, 「강수유고」에는 제명과 장차만 있으며, 「눌재유필(訥齋遺筆)」과 「강수유필(江叟遺筆)」에는 제명과 장차가 있다.

[현황]

눌재강수유고 목판(訥齋江叟遺稿木板)은 충북 청원군 옥산면 신촌리 공효사에 보관해 오다가, 1982년부터 강외초등학교 향토사자료관에 전시되어 왔는데, 1993년에 밀양박씨(密陽朴氏) 눌재공파 문중에서 청주대학교 박물관에 이관하여 소장하고 있다. 1995년 6월 30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7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눌재강수유고(訥齋江叟遺稿)는 현재 규장각과 국립중앙도서관에 속간한 활자본이 보관되어 있으나, 이 판목으로 인출한 인본이 아직 발견되지 않은 희귀자료로 문화재적 가치가 크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1.03.29 본문 수정 송시열(宋詩烈)->송시열(宋時烈)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