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000589
한자 完州舊參禮糧穀倉庫
영어공식명칭 Former Granary of Samnye, Wanju
이칭/별칭 삼례문화예술촌
분야 문화유산/유형 유산,역사/근현대
유형 유적/건물
지역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후정리 247-1[삼례역로 81-13]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유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3년 6월 5일 - 완주 구 삼례 양곡창고 삼례문화예술촌 설립
문화재 지정 일시 2013년 12월 20일연표보기 - 완주 구 삼례 양곡창고 국가등록문화재 제580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완주 구 삼례 양곡창고 국가등록문화재로 재지정
성격 창고
양식 6동|2,931㎡[모모미술관, 디지털아트관, 소극장 씨어터애니, 커뮤니티 뭉치, 김상림 목공소, 책공방 북아트센터, 문화카페 뜨레]
소유자 완주군
문화재 지정 번호 국가등록문화재

[정의]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후정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양곡수탈의 중심지였던 양곡창고.

[개설]

완주군 삼례읍 후정리에 있는 완주 구 삼례 양곡창고는 2010년까지 그 기능을 담당했는데,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지역에서 일본으로 반출하기 전에 수탈된 많은 양의 쌀을 군산항에서 보관하던 곳이다. 완주 구 삼례 양곡창고는 오랫동안 쌀의 신선도와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시설이 잘 보존되어 있는 등 일제강점기 수탈의 아픈 기억이 담겨 있는 상징적인 장소이다.

[위치]

전주에서 삼례읍으로 가는 길에 삼례사거리에서 삼례역 방향으로 가다 보면 좌측에 자리하고 있는 삼례문화예술촌완주 구 삼례 양곡창고에 해당한다.

[변천]

완주 구 삼례 양곡창고는 일제강점기부터 2010년까지 양곡을 저장하는 기능을 담당했는데 창고[목조와 벽돌조], 사무동[목조], 관사[한식 및 일식] 등으로 모두 6동을 건립했다. 하지만 완주 구 삼례 양곡창고는 저장기술의 발달과 환경 변화로 그 기능을 잃게 됨에 따라 완주군에서는 지역 재생을 목적으로 매입해서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했다. 완주 구 삼례 양곡창고는 2013년 6월 5일 문화와 예술이라는 새로운 생명을 담은 삼례문화예술촌으로 재탄생하게 되었는데 총면적 2,931㎡를 대상으로 종합세미나실[134㎡], 미디어아트갤러리[647㎡], 문화카페[645㎡], 책공방[442㎡], 목공소[537㎡], 책박물관[526㎡]으로 구성되었다. 2018년 3월 3일에는 ‘삼례를 세계로, 세계는 삼례로!’라는 슬로건을 목표로 새로운 문화예술공간으로 재개관을 했다. 이에 따라 현재는 모모미술관, 디지털아트관, 소극장 씨어터애니, 커뮤니티 뭉치, 김상림 목공소, 책공방 북아트센터, 문화카페 뜨레가 자리하고 있다.

[형태]

완주 구 삼례 양곡창고는 1920년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목조 4동, 조적조[돌, 벽돌, 콘크리트 블록 등으로 쌓아 올려서 벽을 만드는 건축 구조] 2동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창고와 사무동, 관사 등의 기능을 담당했다. 완주 구 삼례 양곡창고가 양곡창고로 사용될 당시에는 건축물의 외벽 및 내벽 일부와 지붕 트러스, 차양 등은 물론 측벽 상부와 지붕 상부의 환기시설 등 창고건축의 전형적인 형태가 잘 남아 있었다.

[현황]

완주 구 삼례 양곡창고는 대지면적 1만1800㎡에 6동의 건물이 있었으나 2013년 삼례문화예술촌으로서 그 기능이 바뀌었다. 현재 삼례문화예술촌 내에는 어울마당을 중심으로 모모미술관, 디지털아트관, 소극장 씨어터애니, 커뮤니티 뭉치, 김상림 목공소, 책공방 북아트센터, 문화카페 뜨레가 자리하고 있다. 완주 구 삼례 양곡창고는 2013년 12월 20일 국가등록문화재 제58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가등록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