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302734 |
---|---|
영어의미역 | rice wine strainer |
분야 | 생활·민속/생활 |
유형 | 물품·도구/물품·도구 |
지역 | 강원도 강릉시 |
집필자 | 유춘근 |
[정의]
술이나 간장을 거를 때 쓰는 도구.
[개설]
간장은 메주와 소금물의 비례에서 메주가 많을수록 간장의 맛이 좋은데, 메주를 많이 넣고 담그면 그대로 청장(淸醬)을 떠내기가 어렵다. 따라서 간장이 익었을 때 용수를 장독에 박아놓고, 용수 안으로 흘러드는 청장만을 떠내서 모아 간장으로 하면 장이 매우 맑다.
[연원]
장담기는 2,000여 년의 역사가 있고 삼국시대 후기경부터 장즙의 일부를 걸렀을 것으로 추정하므로 용수와 같은 용구도 이미 당시부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만드는 법]
대나무나 싸리나무로 엮어서 둥글고 긴 통 모양으로 만든다. 버드나무 가지, 칡넝쿨의 속대 등으로도 엮는데, 운두가 깊게 원통형으로 만든다.
[용도]
술독에서 맑은 술을 거를 때, 간장을 거를 때 용수를 독에 박아놓고 그 안에 고인 맑은 술과 청장을 떠낸다.
[현황]
용수는 가정의 필수용구의 하나였으나 생활양식의 변화로 그 사용이 줄어들고 있다. 관동대학교 박물관에는 2점의 유물이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