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2354 |
---|---|
한자 | 光州- |
영어공식명칭 | GWANGJU TECHNO PARK |
이칭/별칭 | 광주·전남테크노파크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 333[대촌동 958-3]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주영 |
설립 시기/일시 | 1999년 2월 - 광주·전남테크노파크 설립 |
---|---|
개칭 시기/일시 | 2004년 - 광주·전남테크노파크에서 광주테크노파크로 개칭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12년 6월 - 광주테크노파크 2단지 조성 시작 |
현 소재지 | 광주테크노파크 -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 333[대촌동 958-3] |
성격 | 정부 출연 기관 |
전화 | TEL : 062-602-7114, FAX : 062-602-7701 |
홈페이지 | https://www.gjtp.or.kr/home/main.cs |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대촌동에 있는 광주광역시 소속 경제 기관.
[설립 목적]
광주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의 산·학·연·관의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동연구개발, 정보유통사업, 창업보육 등을 추진하며 기술혁신 인프라 구축 및 지원사업을 수행하여 지역의 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광주테크노파크는 1999년 2월 광주·전남테크노파크로 개원했다. 이후 2004년 광주테크노파크로 법인 명칭을 변경하게 된다.
2002년 5월 티타늄·특수합금부품 개발지원센터 유치를 시작으로 2003년 4월 LED/LD패키징시험 생산기술지원센터, 2004년 5월 광주기술이전센터(RTTC), 2007년 7월 차세대 자동차 전장 부품 생산 지원센터, 2009년 6월 가전로봇센터, 2012년 7월 3D융합상용화지원센터, 2014년 12월 생체의료소재(치과용소재)부품기술지원센터 등을 유치해 왔다. 또한 2012년 6월 테크노파크 2단지 조성, 2016년 9월 I-PLEX 광주 개관 및 광주청년창업지원센터를 개소하는 등 지역의 여러 기업들을 지원하는 동시에 혁신의 거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광주테크노파크의 주요사업은 우선 지역의 일자리 기획 사업이 있다. 그 일환으로 일자리 창출 및 투자 유치 전략을 수립하고 일자리 창출 및 투자유치 네트워크를 운영하며, 일자리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 광주국가혁신클러스터 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
다음으로 산업정책기획으로 지역특화 산업과 광역협력권산업 육성 계획, 지역혁신성장기반 구축계획, 중앙 정부의 지역산업 정책에 대한 대응 등을 수립하고 있다. 또한 종합비즈니스센터, 창업 보육, 창업 지원, 마케팅, 인력양성, 투자조합, 기술이전 등과 같은 기업 지원 활동과 지역의 각종 협의회들과 기업들의 네트워킹 구축, 한국인정기구(KOLAS)의 시험인증을 지원하고 있다.
[현황]
2021년 기준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 과기로 333번지에 있는 광주테크노파크 1단지는 생활지원로봇센터, 벤처지원센터, 시험생산동, 본부동, 생산동, 사업화 1~4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105개사가 이곳에 입주해 있다. 이외에도 광주광역시 북구 월출동 987번지에 광주테크노파크 2단지가 조성 중에 있으며, 이곳에는 바이오에너지연구개발센터, 광주이노비즈센터, 헬스케어로봇실증센터, 생체의료소재(치과용소재)부품센터, 3D융합상용화지원센터가 들어와 총 32개의 입주 기업들이 자리하고 있다.
조직은 광주테크노파크 이사장 산하에 이사회와 감사, 원장, 감사실, 광주스마트제조혁신센터, 정책기획단(산업기획부, 미래사업기획부, 경영기획부), 기업지원단(기업육성부, 사업화지원부, 성장지원부), 융합기술본부(스마트융합기술센터, 생체의료소재부품센터, 생활지원로봇센터, 3D융합상용화지원센터, 인공지능종합지원센터), 지역산업육성실(일자리사업부, 혁신클러스터사업부), 경영지원실(총무관리부, 재무관리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