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801096 |
---|---|
한자 | 高敞- |
영어음역 | Gochang Ttangkong |
영어의미역 | Peanut of Gochang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특산물/특산물 |
지역 | 전라북도 고창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우자원 |
[정의]
전라북도 고창군 일대 야산 황토밭에서 생산되는 땅콩.
[연원 및 변천]
1980년대 초에 비해서 1980년대 중반에는 재배 면적이 2배로 증가하여 5,194톤을 생산하였으나, 그 이후 수입산 땅콩에 밀려 재배 면적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2008년에는 808톤을 생산하는 등 특용 작물로서의 명성을 점차 잃어가고 있다.
[제조(생산)방법 및 특징]
고창땅콩은 단백질과 비타민 B1, B2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강장 스태미나 식품으로 변비, 동맥 경화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특히 고창의 대단위 야산 개발지인 황토밭에서 생산되는 고창땅콩을 원료로 생산된 제품은 황토 속에 함유된 인산, 나트륨, 마그네슘과 같은 미량 원소가 다른 지역 생산품보다 많아 건강에 유익하다. 작물 생육 시기에 농약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천연 무공해 식품으로, 품질 면에서도 다른 지역의 땅콩과 비교하여 고소한 맛이 월등하다.
[현황]
고창땅콩의 산업적 이용 방법으로 볶은 제품, 당류 코팅 제품, 커피류 코팅 제품 등이 출시되고 있으며, 과자류의 재료, 영양 음료 등의 혼합 재료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고창땅콩의 저장성을 높이고 향미를 가미하여 내수 시장뿐만 아니라 수출 상품으로 개발하는 적극적인 산업화 및 마케팅 활동이 기대된다.
고창땅콩은 고창군 일대에서 1985년 3,169톤, 1990년 5,194톤이 생산되었으나 1995년에는 771톤으로 급감하였으며, 2005년 1,010톤, 2007년 864.9톤, 2008년 808톤이 생산되었다. 땅콩은 제과용, 간식용으로 수요가 늘고 있으나 수입산 땅콩에 밀려 지속적으로 생산 감소 현상을 보이고 있다.
고창땅콩의 가공 식품 원료로서의 확대 재생산을 통해서 농가의 수입원으로서의 가능성 증진과 특용 작물로서의 명성 회복을 기대해 볼 수 있으며, 그밖에도 고창땅콩의 농작물 체험, 고창땅콩축제 등을 통해 고창땅콩의 우수성을 국내외에 널리 홍보하고 판로를 확대하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