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800495
한자 興東獎學會
영어음역 Heungdong Janghakhoe
영어의미역 Heungdong Scholarship Associatio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양계리 458-7[시기1길 56-5]지도보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신순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장학회
설립연도/일시 1914년연표보기
설립자 백관수 외 97명

[정의]

1914년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 설립된 독립 자금 관련 장학 단체.

[설립목적]

흥동장학회는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 자금 조달과 육영 장학 사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변천]

흥동장학회는 1914년 봄 부안군 내소사에서 백낙윤(白樂允)·이순열(李舜烈)·이석열(李錫烈)·황상익(黃尙翼)·백관수(白寬洙)·이휴열(李休烈)·이갑수(李甲洙)·황서구(黃瑞九) 등이 발기하고, 성내면 중심의 지역 유지 98명의 지역 유지들이 모여 흥동장학회를 조직했다. 계원 자녀가 보통학교 6학년에 진학하면 장학금 5원을 지급하는 등의 계칙을 마련했고, 계원 자녀가 아니더라도 성적이 우수하거나 생활이 곤란한 학생들에게도 장학금을 주었다.

[활동사항]

흥동장학회 회원들은 고창의 독립 만세 시위를 주도하였으며, 회원들이 낸 자금으로 1922년 3월 25일 사립 성내보통학교를 설립하고 초대 교장으로 이휴열이 추대되었다. 또한 오산고등보통학교를 인수해 고창고등보통학교 설립의 기반이 되기도 하였다. 1931년 흥동장학당과 부속 건물을 건립했고 계원들을 중심으로 한 상해 임시 정부 군자금 모집 국내부 호남지부 본부를 흥동장학당 안에 두어 전라도 일대에서 독립운동의 정신적·물질적 거점 구실을 하였다.

한편, 계원으로 활동했던 이휴열은 임시 정부의 비밀 조직망인 연통제 하에서 전라북도 지역 재무원을 맡아 자금을 조달하는 데 앞장섰다. 1918년에는 일본인 마스도미[桝富]가 세운 오산학교가 운영난으로 어려움을 겪자 1만 원의 성금을 기탁하였다. 3·1운동 당시에는 흥덕 지역 만세운동에 후원자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청년운동과 관련하여 재정적인 뒷받침을 하였다. 1922년에는 큰 금액의 사립학교 신축비를 기부하였고, 매년 1,000원씩의 유지비 기탁을 약속하였다. 흥동 장학회원이었던 근촌 백관수는 해방 후 건국 포장과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현황]

현재 흥동장학회는 없어졌고 당시의 흔적이 배인 흥동장학당만 남아 있다. 흥동장학당은 앞면 6칸, 옆면 3칸의 팔작지붕 홑처마 목조 기와집이다.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양계리 458-7번지[시기1길 56-5]에 있으며 현재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40호로 지정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흥동장학회는 독립운동의 거점 및 민족 교육의 발판을 이루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흥동장학당 건물도 비교적 전통적 수법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어 의미가 깊다.

[참고문헌]
  • 문화재청(http://www.cha.go.kr/)
  • 공훈전자사료관(http://e-gonghun.mpva.go.kr/)
이용자 의견
관** 고훈님 디지털고창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귀하께서 작성하신 댓글에 개인정보(휴대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어 개인정보보호정책에 의거하여 댓글을 삭제하였습니다. 댓글 작성시 개인정보가 포함되지 않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019.03.20
고* [변천]지역유지 98명>>>>지역유지 96명. [현황]현재 흥동장학회는---남아 있다>>>>현재 흥동장학회는 계승 유지되고 있고 그 흔적이 배인 흥동장학당은 잘 보존되고 있다. 흥동장학회>>>>흥동장학계로 명칭을 변경 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감사합니다.흥동장학계 총무 고훈 드림
  • 답변
  • 디지털고창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귀하의 요청 사항을 검토한 결과, 일제 강점기의 흥동장학회와 현재의 흥동장학계의 연속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또한 흥덕장학회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의 일환으로 활동했던 내용을 중시하여 백과사전 항목으로 선정하여 원고를 집필한 성격을 이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지속적인 관심과 이용 부탁드립니다.
2019.02.15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