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0795
한자 白雲亭
영어음역 Baegunjeong
영어의미역 Baegunjeong Pavilion
분야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977[경동로 1850-97]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정진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6년 12월 11일연표보기 - 백운정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75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백운정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재지정
성격 누정
양식 팔작지붕
건립시기/일시 1568년(선조 1)연표보기
정면칸수 3칸
측면칸수 2칸
소재지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977[경동로 1850-97]지도보기
소유자 김승태
문화재 지정번호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정자.

[개설]

백운정귀봉(龜峯) 김수일(金守一, 1528~1583)이 지은 정자이다. 김수일은 본관이 의성(義城)으로, 청계(靑溪) 김진(金璡, 1500~1580)의 둘째 아들이다. 과거에 합격하였으나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고향에 남아 자연과 더불어 학문 연구와 후진 양성에 힘썼다.

[위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977번지[경동로 1850-97]에 있다. 반변천 건너 임하면 천전리를 마주 바라보는 강 언덕 위에 자리 잡고 있다.

[변천]

백운정은 1568년(선조 1) 김수일이 선친이 유산으로 남긴 부지 위에 건립하였으며, 이후 몇 차례 보수가 행해졌다.

[형태]

백운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집이다. 누마루는 동향으로 반변천을 굽어보게 배치하였으며 뒤쪽에 ‘ㄷ’자형 주사가 연접되어 전체적으로는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동쪽으로는 누마루 4칸을 두어 계자각(鷄子脚) 헌함을 돌렸고, 서쪽에 2칸통의 온돌방을 배치하였다. 누상부의 가구는 5량가로 종량 위에 제형판대공을 얹었는데 그 몸에 첨차(檐遮)를 직교로 끼워 장식하였다.

온돌방에서 누마루 쪽으로 난 사합문은 근년의 보수 시에 문 높이를 원래보다 낮추어 버린 듯하며, 주두에 결구된 보아지나 기타 목조의 세부를 보면 건립 당초의 양식에 어울리는 고격(古格)이 엿보이지 않는데, 이는 아마도 후대의 관리나 보수 시에 고친 것으로 보인다.

주사(廚舍)는 서쪽에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2칸통의 온돌방과 주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온돌방의 동측에는 안마당 쪽으로 개방된 마루 1칸과 그 옆에 고방 1칸이 배치되어 있으며, 정자와는 ‘이락문(二樂門)’이라 불리는 안마당으로 출입하는 널문으로 연결되어 있다. 부엌의 전면 쪽 서측에는 마구간이 1칸 돌출하여 있고, 동측의 정자 쪽으로는 장서실(藏書室)과 마루방 1칸씩이 배열되어 있으며, 정자와 마루 사이에는 토벽과 외여닫이 널문으로 이어져 있다. 따라서 주사와 정자는 기둥이나 지붕 결구가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고 별동으로 되어 있다.

[현황]

백운정은 1986년 12월 11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75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현재 소유자 및 관리자는 김승태이다.‘백운정(白雲亭)’이란 현판은 미수(眉叟) 허목(許穆, 1595~1682)의 글씨로 현재 한국국학진흥원에 보관되어 있고, 백운정에는 복각(復刻)된 현판이 걸려 있다.

[의의와 평가]

백운정은 비록 결구 세부에서 고격이 다소 상실되었다 하더라도, 건축물의 규모와 형식은 당당하며 배치 또한 요지를 택하고 있어 정자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