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신경행 청난공신교서 및 관련 문적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202569
한자 辛景行淸難功臣敎書-關聯文籍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 87[명암로 143] 국립청주박물관지도보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3년 8월 21일연표보기 - 신경행 청난공신교서 및 관련 문적 보물 1380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신경행 청난공신교서 및 관련 문적 보물 재지정
성격 고문서
관련인물 신경행
용도 공신임을 알림
발급자 선조
수급자 신경행
발급일시 1604년(선조 37년)연표보기
발급처 국가
소장처 국립청주박물관
소장처 주소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 87[명암로 143]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정의]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  국립청주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 고문서.

[개설]

원래 충청북도 괴산군의 영산신씨 충익공파 종중에서 소장하고 있던 고문서로 현재 국립청주박물관이 관리하고 있다. 2005년 2월 8일부터 2005년 3월 31일까지 국립청주박물관에서 열린 ‘기증 및 기탁문화재 특별전’에 전시되기도 한 이  문서들은  공신교서와 신경행 및 그의 후손에 관한 문적들이다.

[제작발급경위]

신경행은 조선 1577년(선조 10년) 문과에 급제하여 한산군수가 되었으며, 충청도병마절도사 등을 지냈다. 1596년(선조 29년) 7월에 이몽학이 충청도 홍산에서 난을 일으키자 이를 평정하였다. 이때 세운 공으로 청난공신(淸難功臣)이 되어 영성군에 봉해졌으며 1604년(선조 37) 청난공신교서와 함께 관련 문서들을 발급받았다.

[구성/내용]

신경행과 관련된 문적으로 신경행 청난공신교서를 비롯하여 유서(諭書), 시호서경(諡號署經) 2점, 증시교지(贈諡敎旨), 조은신공시장(釣隱辛公諡狀), 청난원종공신록권(淸難原從功臣錄券), 이십공신회맹록(二十功臣會盟錄), 이십일공신회맹록(二十一功臣會盟錄) 등 모두 8종 9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경행 청난공신교서이몽학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운 신경행에게 내린 것으로, 임진왜란 때 큰 공을 세운 선무공신 및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한 호성공신과 함께 1604년(선조 37년)에 발급되었다. 이 교서는 녹훈 사실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당시의 청난공신 포상 규정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사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교서의 양식과 문체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유서는 1608년(선조 41년) 6월 16일에 신경행을 충청도병마절도사로 임명하면서 제1부의 밀부를 내린 것이다. 유서 가운데 제1부를 내린 것은 매우 희귀한 것으로 가치가 있다. 시호서경 2점과 증시교지·조은신공시장 등은 신경행이 ‘충익’이란 시호를 받는 과정을 알 수 있는 문서들이다. 시호서경은 사헌부 시호서경과 사간원 시호서경이 있는데, 1811년(순조 11년) 6월에 증예조판서 신경행의 시호를 충익으로 정하는 것에 대하여 사헌부와 사간원에서 동의한 문서이다.

증시교지는 1812년(순조 12년) 1월에 신경행에게 시호를 내리는 교지이다. 조은신공시장은 신경행이 시호를 받기 위하여 그가 살았을 때의 한 일을 가선대부 김이영(金履永)[1755~1845]이 지은 글이다.

청난원종공신록권은 이몽학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1605년(선조 38) 4월 16일에 공신도감에서 신경행의 아들인 주부(主簿) 신면(辛勉)에게 내려준 녹권이다. 이 녹권은 공신에 대한 대우와 포상 규정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선조 원종공신 관계 연구 자료로 가치가 있다.

그밖에 이십공신회맹록 및 이십일공신회맹록은 신경행과 관련 있는 자료들로, 당시 20공신·21공신과 그 자손들의 동향 및 당시의 정치 상황 등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이십공신회맹록은 1680년(숙종 6년) 남인이 대거 실각하여 정권에서 물러난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에 공을 세운 보사공신이 복훈되어 추록한 것을 계기로 1694년(숙종 20년) 6월 20일 보사공신을 중심으로 역대의 공신 및 그 적장자들이 모여서 회맹제를 행하고 참여인을 수록한 명단이다. 이 회맹록에는 신경행의 4세손인 신득중이 기록되어 있다.

이십일공신회맹록은 이인좌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분무공신의 녹훈을 계기로 1728년(영조 4년) 7월 18일에 개국공신 이하 각 공신의 적장손들이 모여서 회맹제를 행하고 그 참여자를 수록한 명단이다. 이 회맹록에는 신경행의 6세손인 신광우(辛光禹)가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신경행 청난공신교서 및 관련 문적은 서지학적으로 문서의 양식과 문체 연구는 물론 역사학적으로 그 당시 정치 상황, 청난공신 포상 규정, 포상 현황, 조선조 공신 관계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신경행의 전기 자료이기도 한 이 문서들은 이러한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3년 8월 21일 보물 제138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영문본문]

These are documents (eight types, nine documents) relating to Sin Gyeong-haeng (1559~1623), a civil official of the Joseon Dynasty. They include the royal document of meritorious subject for Sin Gyeong-haeng in recognition of his distinguished services in quelling the rebellion of Yi Mong-hak (Cheongnangongsin); a royal edict of appointment to government posts; mandate to scrutinize appointments of posthumous titles (two pieces); a royal edict for conferring posthumous titles; a document listing distinguished services during his lifetime; a lower level roy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awarded to Sin Gyeong-haeng’s son; the record of the ceremony held by 20 meritorious subjects to pledge allegiance to the King; and the record of the ceremony held by 21 meritorious subjects to pledge allegiance to the King. Sin Gyeong-haeng passed the higher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the 10th year of King Seonjo of the Joseon Dynasty (1577) and became the magistrate of Hansan County, and was later appointed army commander-in-chief of Chungcheong-do Province. He was awarded a special recognition as a meritorious subject for his distinguished services in quelling the rebellion of Yi Mong-hak, which broke out in July of the 29th year of King Seonjo (1596) in Hongsan, Chungcheong-do Province, and was also conferred the title of Yeongseonggun. After his death he was conferred with the official rank of Yejopanseo (Minister of Rites) and granted the posthumous title Chungik. The Sin Gyeong-haeng Cheongnangongsingyoseo is a royal document of meritorious subject for Sin Gyeong-haeng, which he received in recognition of his distinguished services in quelling the Yi Mong-hak rebellion. Together with the Seonmugongsin, a recognition bestowed on meritorious subjects for their distinguished services during the Imjin War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from 1592 to 1598), and Hoseonggongsin, a recognition bestowed on meritorious subjects who attended on King Seonjo to Uiju, the Cheongnangongsingyoseo was issued in the 37th year of King Seonjo (1604). The document is of important historical value as it contains details relating to the recognition of Cheongnangongsin, such as the regulations regarding concomitant rewards, and is also valuable to the study of the form and calligraphic styles of royal documents of meritorious subjects. The Yuseo, a royal edict of appointment to government posts, was issued to Sin Gyeong-haeng on June 16 in the 41st year of King Seonjo (1608) upon his appointment as army commander-in-chief of Chungcheong-do Province together with the 1st class milbu (a round wooden tablet (pae) given to military officials that permit them to mobilize forces in case of a military conflict). It is very rare that the 1st class yuseo was issued. The Sihoseogyeong (mandate to scrutinize appointment of posthumous title), Jeungsigyoji (royal edict for conferring the posthumous title) and Joeunsingongsijang (document listing distinguished services during Sin Gyeong-haeng’s lifetime) are documents that reveal the process of how Sin Gyeong-haeng was granted the posthumous title of Chungik. The Sihoseogyeong was given to the Saheonbu (Office of the Inspector-General) and Saganwon (Office of the Censor-General) so that they could review the appropriateness of the posthumous title. The two government offices agreed to grant Sin Gyeong-haeng the posthumous title of Chungik in June of the 11th year of King Sunjo (1811). The Jeungsigyoji is a royal edict conferring the posthumous title of Chungik on Sin Gyeong-haeng in January of the 12th year of King Sunjo (1812). The Joeunsingongsijang is a document listing the achievements of Sin Gyeong-haeng during his lifetime that was written by government official (Gaseondaebu) Kim I-yeong (1755~1845) in order to secure the approval of Sin Gyeong-haeng’s posthumous title. The Cheongnanwonjonggongsinnokgwon is a lower level royal certificate of merit awarded to Sin Gyeong-haeng’s son Sin Myeon on April 16 in the 38th year of King Seonjo (1605) by Gongsindogam (Government Office of Records for Meritorious Subjects) for Sin Gyeong-haeng’s distinguished services in quelling the rebellion of Yi Mong-hak. The certificate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as to the concomitant rewards and privileges granted to meritorious subjects at that time, and is of historical value in relation to the study of lower level meritorious subjects in the Joseon Dynasty. The record of the ceremony held by 20 meritorious subjects to pledge allegiance to the King and the record of the ceremony held by 21 meritorious subjects to pledge allegiance to the King are documents relating to Sin Gyeong-haeng, and contain details regarding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at time, and information about the 20 meritorious subjects and 21 meritorious subjects, respectively, and their descendants. The former document contains a list of all the meritorious subjects and their eldest sons that participated in the ceremony held on June 20 in the 20th year of King Sukjong. The meritorious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ceremony were all the meritorious subjects from the 1st to the 20th, Bosagongsin those that were awarded the roy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for their distinguished services during the political incident that led to the Southerners (Namin, political party) removal from political power in the 6th year of King Sukjong (1680). The name of Sin Gyeong-haeng’s fourth generation grandson Sin Deuk-jung is included in the record. The latter document contains a list of all the meritorious subjects and their eldest grandsons that participated in the ceremony held on July 18 in the 4th year of King Yeongjo (1728). The meritorious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ceremony were all the meritorious subjects from the 1st (Gaegukgongsin) to the 21st, Bunmugongsin those that were awarded the roy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for their distinguished services in quelling the rebellion of Yi In-jwa. The name of Sin Gyeong-haeng’s sixth generation grandson Sin Gwang-u is included in the record. The above documents are historically significant in that they are a valuable resource for the study of history and bibliography, and provide much insight into the system of meritorious subjects in the Joseon Dynasty. They also have historical value as the biographical writings of Sin Gyeong-haeng.

(출처 : 문화재청 홈페이지)

[참고문헌]
  • 문화재정보센터(http://info.cha.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