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369
한자 楮石里 山神祭
영어공식명칭 Religious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 in Jeoseok-ri
이칭/별칭 저석리 산치성,저석리 산제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저석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의례 장소 산신당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저석리 지도보기
성격 민간 의례|마을 제사
의례 시기/일시 음력 1월 14일
신당/신체 산신당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저석리에서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저석리 산신제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저석리의 서원마을 주민들이 마을의 수호신인 산신을 위하는 전형적인 유교식 의례로, 공동체의 안녕과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서원마을 사람들은 산신제를 지내면 수호신인 산신이 복을 가져다주는 것으로 믿고 있으며, 산신제를 ‘산치성’ 또는 ‘산제’라고 부른다.

[연원 및 변천]

언제부터 저석리 산신제를 지내기 시작하였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이와 관련하여 마을에서는 다양한 경험담이 전하여 오는데, 마을 주민 한 사람이 아들을 낳지 못하여 대가 끊길 위기에 놓였는데, 산신을 모시면 아들을 낳을 수 있다는 꿈을 꾸고 정성껏 산신제를 모셨다고 한다. 이후 아들을 낳게 되어 산신제를 지낼 때마다 쌀 서 되[약 5.4ℓ]씩 바쳤다고 한다.

[신당/신체의 형태]

산신당은 맞배지붕 형태로, 정면에는 4개의 문이 있다. 상부에는 ‘산신당(山神堂)’이라고 쓴 현판이 걸려 있다. 산신당 안으로 들어가면 ‘산신지위(山神之位)’라고 쓴 위패와 함께, 산신할아버지와 호랑이가 그려진 산신 탱화가 있다. 위패 아래에는 산신제에 쓸 제기를 비롯한 각종 제사 도구가 수납된 나무 장이 있으며, 위패 좌우에는 촛대가 세워져 있다. 위패의 아래에는 향합과 향로가 제사상 위에 올려져 있다.

[절차]

저석리 산신제창강서원(滄江書院)[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이 있는 서원마을에서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에 거행된다. 제사 당일 오후 제관인 화주(化主)를 비롯한 산신제 참석자들은 모두 목욕재계하고 정결한 복장을 갖추고 산산당에 오른다. 화주는 제물을 산신 제단과 허공 제단[지신 제단] 순으로 차려 놓는데, 이때는 일체의 말을 삼가며, 제물에 침이 들어가지 않게 마스크를 쓴다. 예전에는 마스크 대신에 하얀 백지를 입에 물기도 하였다. 제물을 다 차려 놓을 때쯤 화주는 메를 짓는다. 메를 짓는 쌀은 산신제 비용을 마련하려고 운영하는 마을 공동 논인 산제답(山祭畓)에서 제일 먼저 수확한 쌀을 정성껏 씻어 창호지에 따로 보관한다. 메 짓는 쌀의 양은 3되 3홉[약 6ℓ]이다.

산신제는 자정에 시작한다. 초헌관·아헌관·종헌관 등의 제관들은 다시금 몸을 깨끗이 하고자 세수를 하고 본격적으로 산신제를 지낸다. 산신제의 형식은 조상의 제사를 지내는 유교식 기제사와 비슷하다. 절차는 강신제, 참신제, 독축, 분향, 초헌례, 분향, 아헌례, 분향, 종헌례 순으로 진행된다.

[현황]

저석리 산신제는 2023년 2월 5일 서원마을 산신당에서 행하여지는 등 최근까지도 전승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