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815
한자 鄭澤雷
영어공식명칭 Jeong Taekroe
이칭/별칭 휴길(休吉),화강(花岡),충결(忠潔)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85년연표보기 - 정택뢰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12년 - 정택뢰 진사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615년 - 정택뢰 남해에 유배
몰년 시기/일시 1619년연표보기 - 정택뢰 사망
추모 시기/일시 1623년 - 정택뢰 사헌부지평 추증
추모 시기/일시 1695년 - 정택뢰 부여 의열사에 배향
추모 시기/일시 1818년 - 정택뢰 이조판서 가증
출생지 부여 - 충청남도 부여군
수학지 성균관 -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
유배|이배지 남해 - 경상남도 남해시
묘소|단소 정택뢰 묘소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지도보기
사당|배향지 의열사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지도보기
성격 지사
성별 남성
본관 하동(河東)

[정의]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지사.

[가계]

정택뢰(鄭澤雷)[1585~1619]의 본관은 하동(河東)이며, 자는 휴길(休吉), 호는 화강(花岡)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인국(鄭仁國)이고, 할아버지는 정희영(鄭希永)이다. 아버지는 사천현감 정득열(鄭得說)이고, 어머니는 강종경(姜宗慶)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다. 부인은 정사경(鄭思敬)의 딸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고, 아들은 정천세(鄭千世)·정만세(鄭晩世)·정계세(鄭繼世)·정수세(鄭壽世)이다.

[활동 사항]

정택뢰는 1585년(선조 18) 부여에서 태어났다. 1612년(광해군 4) 진사시에 합격한 후 성균관에 들어가서 수학하였다. 1615년 이이첨(李爾瞻)이 정조(鄭造)·윤인(尹訒)·이위경(李偉卿) 등을 사주하여 인목대비(仁穆大妃)를 폐하여야 한다는 의견을 제기하였고, 정택뢰는 유생의 신분으로 폐모론이 부당하며 정조 등을 죽여야 한다는 내용의 상소를 올렸다. 이후 양시진(楊時晉)과 신광업(辛光業) 등 대간의 탄핵이 이어져 정택뢰는 남해로 유배되었고, 1619년 유배지에서 사망하였다.

[묘소]

정택뢰의 묘소는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정택뢰는 1623년(인조 1) 사헌부지평에 추증되었고, 1695년 부여의 의열사(義烈祠)[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배향되었다. 1818년(순조 18)에 이조판서로 가증(加贈)되었고, 1820년 충결(忠潔)이라는 시호를 하사받았다. 현 부여읍 관북리정택뢰를 비롯하여 아버지 정득열, 부인 동래 정씨, 아들 정천세 등 네 명의 충효열을 기리기 위한 정려가 세워져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