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천세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882
한자 鄭千世
영어공식명칭 Jeong Cheonse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행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09년연표보기 - 정천세 출생
몰년 시기/일시 1619년연표보기 - 정천세 사망
추모 시기/일시 1806년 - 정천세 효행으로 효자 정문과 포상이 내려짐
출생지 부여 - 충청남도 부여군
거주|이주지 부여 - 충청남도 부여군
활동지 부여 - 충청남도 부여군
성격 효자
성별 남성

[정의]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효자.

[가계]

정천세(鄭千世)[1609~1619]의 본관은 하동(河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행충무위사과 정희영(鄭希永)이고, 할아버지는 사천현감을 지낸 정득열(鄭得說)이다. 아버지는 정택뢰(鄭澤雷)이고, 어머니는 정사경(鄭思敬)의 딸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다. 동생은 정만세(鄭晩世)·정계세(鄭繼世)·정수세(鄭壽世)이다.

[활동 사항]

정천세는 1609년(광해군 1) 부여에서 태어났다. 1615년 이이첨(李爾瞻) 일파가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를 주장하였고, 정천세의 아버지 정택뢰는 이이첨을 처단하라는 상소를 올려 남해로 유배되었다. 1619년 정택뢰가 유배지에서 사망하자 정천세는 아버지의 관 옆을 떠나지 않고 식음을 전폐한 채 십여 일을 통곡하며 슬퍼하다가 사망하였다고 한다.

[상훈과 추모]

1806년 12월 10일, 예조의 요청으로 정천세의 효행과 정천세의 어머니 동래 정씨의 열행에 대하여 정문을 내리고 포상하였다. 『여지도서(輿地圖書)』정천세가 복호되었다는 기록이 있어서, 정조 대 이전에 복호의 포상을 받은 후 순조 대에 다시 정려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현 부여읍 관북리정천세를 비롯하여 할아버지 정득열, 아버지 정택뢰, 어머니 동래 정씨 등 네 명의 충효열을 기리기 위한 정려가 세워져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