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000276 |
---|---|
영어공식명칭 | Broad-billed roller (Eurystomus orientalis) |
분야 | 지리/동식물 |
유형 | 동물/동물 |
지역 |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비봉면|구이면|고산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기인 |
지역 출현 장소 | 파랑새 -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비봉면|구이면|고산면 |
---|---|
성격 | 조류 |
학명 | Eurystomus orientalls |
생물학적 분류 | 척삭동물문〉조강〉파랑새목〉파랑새과〉파랑새속 |
서식지 | 노거수|침엽수림|낙엽 활엽수림 |
몸길이 | 몸길이 29.5㎝ |
새끼(알) 낳는 시기 | 5~7월에 3~5개의 알을 낳음 |
[정의]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서식하는 파랑새과의 조류.
[개설]
파랑새의 학명은 Eurystomus orientalls이며 러시아, 중국 남동부, 한국 등에서 번식하고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월동한다. 곤충류가 주식이며 주로 딱정벌레, 매미, 나비 등을 먹는다.
[형태]
파랑새의 몸은 선명한 청록색이며 머리와 꽁지는 검은색을 띤다. 첫째날개깃 중앙에 창백한 코발트색 무늬가 있으며 날 때는 흰색으로 보인다. 부리와 다리는 산호색을 띤 붉은색이다. 수컷의 머리 꼭대기와 머리 옆은 검은 갈색이고, 윗등은 푸른색을 띤 갈색인데, 어깨·아랫등·허리·위꼬리덮깃으로 내려가면서 점차 불명확한 푸른 녹색이 되며 7월에 시작하는 털갈이에 의해 얻어진다. 아랫등 이하의 깃털은 기부가 갈색을 띠고 있기 때문에 고르게 푸른 녹색은 아니다. 턱 밑과 멱은 머리 꼭대기보다 다소 엷고 검은 갈색이다. 목 주변 중앙의 깃털은 자색을 띠며 또한 아름다운 푸른 자색의 얼룩무늬가 있다. 가슴과 옆구리는 등과 같은 색이다. 목 주변은 자색을 띠며 꼬리의 깃털 기부는 푸른 녹색이고 그 외는 검은색이다. 첫째날개깃의 색은 어두운 푸른색이고 기부 가까이에 엷은 색의 넓은 얼룩무늬가 있다. 둘째날개깃은 검은색으로 외판만이 청자색이다. 암컷은 일반적으로 수컷보다 색이 엷으며 머리는 어두운 흑갈색이다. 날개를 비롯해 전체적으로 청록색을 띠며, 비행 때 날개에 흰점이 보인다. 몸은 선명한 청록색이고 머리는 흑갈색을 띤다. 날개는 첫째날개깃의 중앙에는 푸른빛이 도는 흰색 알록달록한 무늬가 있으며 날 때 크게 보인다. 부리와 다리는 붉은색을 띤다. 몸은 선명한 청록색이고 머리는 흑갈색을 띤다. 부리와 다리는 붉은색을 띤다. 아랫면은 선명한 푸른 녹색이며, 암컷은 일반적으로 수컷보다 색이 엷고 또한 둔하다. 부리는 굵으며 짧고 기부의 폭은 높이와 같고, 부리등의 전반은 많이 굽었고 끝은 갈고리 모양이다. 홍채는 어두운 갈색이며 부척(跗蹠)[정강이뼈와 발가락 사이]과 발가락은 붉은색이며 발톱은 검은색이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파랑새요」라는 민요가 있으며 어린이들에게 널리 애창되었고 또 다른 민요로 「새야 새야 파랑새야」가 있다. 자신의 현재 일에는 별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장래의 막연한 행복만을 추구하는 현상을 ‘파랑새증후군’이라고 하는데 이는 ‘파랑새’라는 제목의 벨기에 작가가 쓴 동화극에서 유래된 말이다. 615년(신라 진평왕 37)에 원효대사가 처음 지은 무위사에는 파랑새로 변신한 이승이 관음보살의 눈동자를 그리다 사라졌다는 이야기가 전하고 있다.
[생태 및 사육법]
파랑새는 부리가 단단해서 전신주에 구멍을 뚫고 둥지를 틀기도 한다.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데, 나무 꼭대기 가까이 앉아 있다가 날아다니는 곤충을 잡아먹는다. 5월경에 찾아온 새는 초기에 둥지를 차지하기 위해 서로 격렬하게 싸운다. 전깃줄이나 전신주 끝 등 높은 곳에서 주로 관찰된다. 매일 1개씩 낳아 22~23일 동안 알을 품고, 새끼는 약 20일 동안 암수가 함께 기른다. 번식 때 둥지를 새로 짓기보다 다른 새의 둥지를 다시 이용하기도 한다. 가끔 인공 둥지 상자를 이용하기도 하며 둥지 내부에는 대개 아무것도 깔지 않고 알을 낳는다. 나무꼭대기 또는 높은 상공에서 날아다니면서 “케게게게” 하는 소리를 낸다.
[현황]
파랑새는 97’ 전국자연환경조사부터 2015년 전국자연환경조사를 통해 완주군 운주면, 비봉면, 구이면, 고산면 등에서 서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