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101553 |
---|---|
한자 | 長峴里-祭 |
분야 |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의례/제 |
지역 |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장현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강성복 |
[정의]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장현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 농사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장현리 볏가릿제는 음력 2월 1일 볏가릿대 앞에 제상을 차리고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장현리에서 이월 초하루는 본격적인 농사를 앞두고 그 준비를 시작하는 날이다. 겨우내 쓰지 않던 농기구를 손보고 두엄을 내는 등 농사에 필요한 여러 가지를 챙긴다. 마을에서는 이날을 ‘머슴날’이라고 하여 집안의 허드렛일과 농사일을 맡아 주었던 일꾼들을 특별하게 대접한다. 즉 장차 도래할 고된 농사철을 앞두고 푸짐하게 술과 음식을 차려 머슴들을 위로하는 것이다. 머슴날 행사는 정월 대보름에 세워 두었던 볏가릿대를 내리고, 오곡 종자 주머니에 담아 두었던 쌀이 얼마만큼 불었는지를 확인하며 한 해 농사의 풍흉을 점칠 때에 절정에 이른다. 볏가릿제는 볏가릿대를 내리기 전에 풍농을 기원하는 주민들의 소망을 기원하는 기풍 의례(祈豊儀禮)이다.
[신당/신체의 형태]
볏가릿제를 올리는 볏가릿대는 대나무 장대의 꼭대기에 오곡의 종자를 담은 주머니를 매달고, 그 밑에 동아줄로 장대를 지탱하는 세 갈레의 삼방줄을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삼방줄엔 벼농사가 풍년이 들어 이삭이 늘어진 모습을 형상화한 짚이 주렁주렁 매달려 있다.
[절차]
이월 초하룻날 아침 마을의 풍물패와 제관은 흥겹게 길군악을 울리면서 볏가릿대가 서 있는 곳으로 간다. 제장에 도착하면 볏가릿대 앞에 제상을 차리고 맨 앞에 떡시루를 놓는다. 또 하나의 상에는 돼지머리, 삼색실과, 포 등을 진설하고 헌작 재배한다. 이어서 바가지에 담은 곡식을 허공에 뿌리며 ‘고수레’라고 외친다. 이 마을에서 고수레는 굶어 죽은 고씨를 추모하기 위해 ‘고씨네’라고 부른 데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제를 마치면 풍물이 울려 퍼지는 가운데 볏가릿대를 쓰러뜨린다. 그리고 오곡 종자 주머니를 떼어 담아 둔 쌀이 보름 동안 얼마나 불었는지를 살펴 풍흉을 점치는데, 이 ‘쌀점’에서 쌀이 불어 있어야 풍년이 든다고 한다.
[부대 행사]
볏가리대를 묶었던 삼방줄은 ‘풍년줄’이라 하여 집에 가져가면 복이 들어오고 풍년이 든다는 속설이 전한다. 그래서 이 줄을 가져간 집에서는 떡을 해서 마을에 돌리기도 한다. 이렇게 해서 모든 행사를 마치면 주민들은 마을 회관에 모여 조촐한 주연을 겸하여 점심을 함께 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