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운산리 횟개 볏가릿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101551
한자 雲山里-祭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의례/제
지역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운산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성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중단 시기/일시 1950년연표보기 - 6·25전쟁으로 중단
재개 시기/일시 1980년대 초반 - 노인회의 노력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0년연표보기 - 서울 메트로, KT 서산 지사와 함께 행사 진행
의례 장소 운산리 마을회관[회포마을] -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운산나루터길 37-16[운산리 5구 241]지도보기
성격 민간 신앙|마을 제사
의례 시기/일시 음력 1월 15일|2월 1일 11시경
신당/신체 볏가릿대

[정의]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운산리 횟개마을에서 농사의 풍년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운산리 횟개 볏가릿제는 음력 1월 15일에 볏가릿대를 세우고 2월 초하룻날 이를 내리면서 풍년 농사를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기풍 의례(祈豊儀禮)이다. 횟개 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대보름에 주민들이 볏가릿대를 마을 회관 앞에 세운다. 음력 2월 1일이 되면 주민 모두가 농사의 풍년과 마을이 무탈하기를 기원하는 볏가릿제를 지낸 후 흥겹게 풍물놀이를 한다. 그런 다음 볏가릿대를 쓰러뜨려 오곡의 종자를 꺼내어 그 상태를 보고 농사의 풍흉을 점친다.

[연원 및 변천]

운산리 횟개 볏가릿제는 예부터 내려오는 마을의 전통이었는데 6·25 전쟁 무렵에 중단되었다. 이후 한동안 맥이 끊어져서 시행되지 못하다가 1980년대 초반 노인회의 노력에 힘입어 다시 부활되었다. 2010년 운산리 5구[회포마을로도 불림] 주민은 서울 메트로, KT 서산 지사 등과 1사1촌 자매결연을 통한 친선 관계를 맺었다. 이로 인하여 볏가릿대 3개를 세우고 마을의 번영과 자매결연 회사의 번영을 기원하였다. 현재 마을 주민들은 볏가릿제를 마을 행사만으로 그치지 않고 지역 축제로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신당/신체의 형태]

횟개마을 볏가릿대의 장대는 소나무 혹은 대나무를 사용한다. 길이 6~7m의 소나무를 베어다가 맨 꼭대기에는 오곡을 헝겊으로 싸서 매달고, 장대에는 볏짚으로 감싸서 옷을 입힌다. 그런 다음 벼이삭이 늘어진 모양으로 장식한 동아줄을 오곡 주머니 밑에 세 갈레로 묶어서 지면에 고정시킨다.

[절차]

이월 초하룻날 아침에 주민들은 마을 회관에 모여서 고사에 쓸 제물을 준비한다. 오전 11시경이 되면 ‘농자천하지대본’이라 쓴 농기와 ‘삼재불입지지(三災不入之地)’라고 묵서한 삼재 축출기(三災逐出旗)를 들고 흥겹게 풍물을 울리며 마을 공동 우물인 참샘으로 가서 ‘참샘굿 고사’를 지낸다. 고사를 마치면 곧바로 볏가릿대 앞에 제상을 차려 놓고 분향(焚香)→ 강신(降神)→ 초헌(初獻)→ 독축(讀祝)→ 아헌(亞獻)→ 종헌(終獻) 등 유교식 절차에 따라 제를 지낸다. 영좌가 비손문을 외며 축원을 드리고 나면 참석한 주민 일동은 재배를 한다. 제사가 끝나면 집사가 ‘고수레’를 한 다음 떡과 술을 나누어 먹고 풍물을 울리며 흥겹게 논다.

볏가릿제의 마지막 절차는 장대를 쓰러뜨리는 일이다. 이윽고 삼방줄을 끊어서 땅에 눕혀지면 오곡 주머니를 풀어 씨앗이 튼 상태를 보고 풍흉을 점친다. 이때 서북쪽의 싹이 잘 텄으면 육답(陸畓)의 농사가 잘 되고, 동남쪽이 잘 텄으면 갯가의 간척지 농사가 잘 될 징조로 여긴다.

[축문]

볏가릿제에 사용되는 축문은 유교식이 아니라 주민들의 소망을 담은 비손문이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전지전능하신 천지신명님께 비나이다. 세세연년 입은 덕도 많지만 금년에도 우리 대한민국 삼천리강산에 삼재를 물리치고 풍년이 들게 하시고 온 백성들이 부귀등명하여 자손마다 태평하게 하여 주시기를 두 손 모아 비나이다. 한 가지 더 천지신명 전에 비옵고저 하는 것은 지금은 옛날과 달라서 삼재 외에도 사람이 만든 문명의 기계 때문에 불행의 사고를 입는 일이 많사오니 불행한 일이 없게 해주시기를 진심으로 비는 바입니다.”

[부대 행사]

볏가릿대를 세웠던 동아줄과 짚은 작두로 썰어서 볏섬에 담아 집안의 창고에 보관하였다가 이듬해 가을에 거름으로 사용하는데, 이렇게 하면 풍년이 든다고 하여 서로 볏짚을 가져가려고 한다.

예부터 이월 초하룻날은 머슴날이라 하여 볏가릿제를 지낸 후 집집마다 돌며 지신밟기로 축원을 해 주면 그 집에서 푸짐하게 술상을 차려 대접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