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101535 |
---|---|
한자 | 道堂里- |
분야 |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의례/제 |
지역 |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도당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강성복 |
[정의]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도당리에서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도당리 바위백이 볏가릿대 세우기는 음력 1월 15일 아침에 가장 농사를 많이 짓는 부잣집 근처에 볏가릿대를 세우고 풍년 농사를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부잣집에서는 술과 떡 등 음식을 준비하여 마을 사람을 대접한다.
도당리에서는 정월 대보름에 농사의 풍년과 가정의 평안을 비는 다양한 의례가 행해졌다. 가령 대보름날 아침에 김밥을 싸 먹는 ‘볏섬 쌓기’, 오곡밥과 묶은 나물 먹기, 대보름 새벽에 샘물을 길어오는 ‘용알뜨기’, 그밖에 집안의 해충이나 뱀 등이 들어오지 않기를 소망하는 ‘두더지방아’, ‘노래기 침주기’ 등이 대표적이다. 이처럼 가정이나 개인의 무병 제액을 축원하는 세시 풍속 외에 마을에서는 일꾼들이 볏가릿대를 세우고 제사하며 흥겹게 풍물을 치고 논다.
한편 음력 2월 1일은 머슴날이라고 하여 마을 사람이 모여서 잔치를 베풀고 하루를 쉰다. 이날은 지난해 농사와 관련된 모든 품값을 결산하는 날이기도 하다. 대보름에 세운 볏가릿대는 이월 초하루 머슴날에 고사를 지낸 뒤 쓰러뜨리고 오곡이 불어 있는 상태를 보아 풍흉을 점친다.
[절차]
정월 대보름날 아침을 먹고 나서 볏가릿대를 세운다. 이를 위해 오전 일찍 청년들이 산으로 가서 소나무나 대나무를 베어 오면 맨 꼭대기 가지만 빼고 잔가지를 치고 짚으로 옷을 입힌다. 그리고 장대의 꼭대기에는 쌀·콩·수수 등 여러 가지 곡식을 담은 주머니를 매달아 장대를 동아줄로 고정시킨다. 동아줄은 위에서부터 세 가닥으로 묶고 중간에서 다시 세 가닥으로 묶은 다음 짚을 너덜너덜하게 끼워 장대를 세운다. 짚이 늘어진 것은 가을에 풍년이 들어 벼이삭이 늘어진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볏가릿대를 세우고 나면 떡과 술, 삼색실과, 돼지머리, 나물 등을 준비하여 볏가릿대 앞에 상을 차리고 풍물패의 상쇠가 와서 고사를 지낸다. 볏가릿대를 세우는 장소는 마을에서 농사를 많이 짓는 부잣집 근처이다. 때문에 이날은 부잣집에서 술과 음식을 내어 풍물패와 일꾼들을 대접한다.
이월 초하루 머슴날의 가장 큰 행사는 정월 대보름날 세워 두었던 볏가릿대를 내리는 일이다. 그 전에 풍물패들은 볏가릿대 주변을 빙글빙글 돌면서 흥겹게 풍장을 울린다. 이어서 볏가릿대 앞에 상을 차린 다음 농사의 풍년을 축원하는 고사를 지낸 후, 삼방줄을 끊어서 쓰러뜨린다. 이때 꼭대기에 묶어 두었던 곡식 주머니에서 쌀을 꺼내어 그해의 풍흉을 점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