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100392 |
---|---|
한자 | 鄭仁卿政案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문서 |
지역 | 충청남도 서산시 |
시대 | 고려/고려 후기 |
집필자 | 윤용혁 |
[정의]
고려 후기 서산 출신의 공신인 정인경(鄭仁卿)의 인사 기록.
[개설]
양렬공(襄烈公) 정인경[1237~1305]은 아버지인 남송 관인 정신보가 1237년(고종 24) 서산에 정착함에 따라 서산에 살게 되었다. 정인경은 고종 말년에 내침한 몽고군을 아산 지역에서 공격하여 전공을 세우고 무반으로 입신하였다. 몽고어에 능통하여 외교적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장군, 상장군, 삼사사 등을 거쳐 충렬왕 대에는 추밀원사(樞密院使), 첨의중찬(僉議中贊)의 고위직에 올랐다. 충렬왕 즉위 당시 시종1등공신이 되었으며, 그의 공으로 1284년(충렬왕 10) 부성현이었던 서산은 서산군으로 승격되었다가 다시 서주목으로 승격하였다.
[제작 발급 경위]
이두문으로 작성된 정인경 정안은 1819년 9월 정도환(鄭道煥)에 의하여 만들어진 『서산 정씨가승(瑞山鄭氏家乘)』에 실려 전한다. 정인경 정안에 의하면 인사는 이부, 병부의 인사안에 근거하여 이루어졌지만, 임명되는 관직의 높이에 따라 임명하는 주체가 달랐다. 즉 4~5품 이하의 직은 정해진 규정에 의한 사무적 차원에서 이루어진 반면, 그 이상의 고위직 임명은 국왕의 영향력이나 판단이 중요한 근거가 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 알려진 정인경 정안은 원본이 아니고 조선 후기에 간행된 『서산 정씨세보』, 『서산 정씨가승』에 편집되어 있는 자료이다.
[구성/내용]
정인경의 인사 기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두, 호구, 관력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호구에 수록된 가계의 범위는 호주·부·조·증조·모·외조 및 처·처부·처조·처증조·처모·처모부 등이다. 정인경 정안의 내용 중 경력에는 정인경이 거친 관직의 내용이 상세히 기재되어 있어 고려 후기 관제 연구에 있어서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고려 시대 정안으로는 이자수(李子脩) 정안 등이 있으나 단편적 자료인데 비하여 정인경 정안은 관리의 초임에서부터 상세한 승급 내역과 퇴임에 이르는 모든 내용이 연도별로 정리되어 있다. 정인경 정안은 관인의 이력을 처음부터 끝까지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