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0071 |
---|---|
한자 | 壯元峯 |
영어공식명칭 | Jangwonbong Mountain |
이칭/별칭 | 자운봉,장운봉,필봉,문필봉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광주광역시 동구 지산동|북구 청풍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현창 |
전구간 | 장원봉 - 광주광역시 동구 지산동~북구 청풍동 |
---|---|
해당 지역 소재지 | 장원봉 - 광주광역시 동구 지산동~북구 청풍동 |
성격 | 산 |
높이 | 387.5m |
[정의]
광주광역시 동구 지산동과 북구 청풍동에 걸쳐 있는 산.
[명칭 유래]
『동국여지승람』에 “장원봉(壯元峯)은 무등산 지봉(支峰)으로 속설에 향교가 옛날 봉우리 아래 있었다고 전하고, 고을 사람 중 장원하는 자가 많아 이름이 생겼다.”라는 기록이 있다. 『1872년 지방지도』[광주지도]에는 장원봉이 그려져 있다. 1896년 지도군수 오횡묵(吳宖默)[1834~1906]은 『지도군총쇄록』[1896]에 “읍의 형국은 배가 가는 형상이라 하고, 읍의 주산(主山)은 장원봉이다”라고 썼다. 장원봉 동남쪽 무등산의 작은 봉우리인 꼬막재는 꼬막뫼에 있는 고개인데, 광주 두방면[1910]에 속한 호두(虎頭)마을의 호두가 범머리〉호두〉꼬두매〉두뫼로 변이된 것으로 보인다.
[자연환경]
장원봉 북쪽으로는 작고개를 지나 군왕봉으로 흘러간 산 능선이 삼각산으로 향하여 이어지고. 북동쪽으로는 제4수원지와 청풍골짜기가 있다. 남쪽으로는 지산유원지를 두고 향로봉과 마주하고 있는데, 이 산줄기는 무등산으로 이어진다. 장원봉 서쪽으로 구와산이 시내 쪽으로 밋밋하게 흐른다.
[현황]
장원봉은 광주광역시의 주산(主山), 무등산은 조산(祖山)이라는 기록이 있다. 그만큼 장원봉은 광주에서는 큰 의미가 있는 산이다. 광주의 지적 측량은 장원봉을 기점으로 이루어졌다. 장원봉 북쪽으로는 옛길인 무돌길이 넘는 잣고개와 무진도독고성 터가 있다.
과거에 장원봉 아래에는 광주향교가 있었다고 전한다. 광주향교는 풍향동 또는 산수동에 있었다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현재 여러 학교가 있는 풍향동을 옛 광주향교 터로 추정하는 설의 고사리 지역은 국도 제29호선 동쪽[동신대학교 입구]의 풍동리가 아니라, 옛 담양 철도길이 있던 현 군왕로 남쪽 지역이었다.
광주읍성유허 발굴조사보고서 『광주읍성』1[2008]에서는 통일신라시대의 기와 출토와 함께 고려 말 시기의 축성으로 추정하고 있다. 『전라남도지지조서』[1916]의 광주군 서방면사무소 '지지조사부도례'와 『1:10000 지형도』-광주[1916] 등에 의하면 광주군 읍내에서 작고개로 가는 길 좌측이 호두리, 작고개로 가는 길 우측[현 구와산 북쪽 기슭]이 장원리이다. 풍향리와 장원봉이 있었던 동계리 사이에 장원리가 있었다.
장원봉은 장원리의 동남쪽에 솟아 있다는 기록을 보아 장원봉의 북서쪽 아래에 장원리가 있게 된다. 『1:50000 지형도』-광주[1956]에도 동신대학교와 광주교육대학교 일원은 풍향리, 현 북구 두암동 부근이 고사리, 잣고개로 올라가는 현 광주장원초등학교 뒷산 능선을 따라 산수동 일대를 장호리, 척고개 서쪽 아래 골짜기에 있는 마을을 장원리라 표기하였다.
옛 광주향교 터는 무등산명지로드힐아파트 일원으로 추정된다. 『광주지』[1964]의 광주향교 이전 기록과 『조선지지자료』[1919]의 광주군 성내면 사정리에 고향교평(古鄕校坪)이라는 옛 땅이름 기록 등으로 보아, 광주향교는 성내면 사정리 근방으로 옮겼던 것으로 추정된다. 광주향교는 현재 광주공원 성구산 동쪽 기숡에 있다. 성내면은 광주천의 홍수피해가 극심하였던 곳이었기에 1488년에 광주향교를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