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801596
한자 上元
영어음역 Daeboreum
영어의미역 First Full Moon of the New Year
이칭/별칭 보름,상원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전라북도 고창군
집필자 임세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시 풍속
의례시기/일시 음력 1월 15일

[정의]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에 지내는 세시 풍속.

[개설]

대보름은 정월 보름을 말하며, 한자로는 상원(上元)이라고도 한다. 대보름은 새해가 시작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 맞는 명절이다. 따라서 각종 놀이나 명절음식에는 한 해의 건강과 복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이미 그 해 여름을 생각하며 더위에 대비하고, 가을의 풍작을 기원하며 한 해를 마음으로부터 준비하는 것이다. 이날은 밤하늘에 둥그렇게 떠있는 보름달 아래서 밤늦도록 놀이를 즐기며 풍요로운 마음으로 소원을 빌었다. 지금은 큰 명절로 생각하지 않는 경향이 많지만, 예전에는 농경을 위주로 했던 까닭에 어느 명절보다도 성대하게 보냈다.

고창군 고창읍에서는 보리뿌리 점치기, 오곡밥 먹기, 오곡밥 얻어먹기, 진나물 먹기, 노적 쌓기, 댓불 피우기, 우물 먼저 긷기, 샘물 훔치기, 화재막이, 귀밝이술 마시기, 부럼 깨기, 더위팔기, 소밥주기, 두부·콩나물 먹기, 매운 음식 먹지 않기, 찬 음식 먹기, 날씨 점치기, 개보름쇠기 등의 대보름 세시 풍속이 전한다.

고창군 성내면에서는 오곡밥 먹기, 진나물 먹기, 매운 음식 먹지 않기, 김쌈 먹기, 오곡밥 얻어먹기, 밤새기, 우물 먼저 긷기, 부럼 깨기, 댓불 피우기, 머리카락 태우기, 달점치기, 더위팔기, 차례 지내기, 까치밥 주기, 소밥주기, 찬 음식 먹기, 두부 먹기, 키 큰 사람 부르기 등의 세시 풍속이 있다.

고창군 성송면에서는 오곡밥 먹기, 나물 먹기, 밤새기, 우물 먼저 긷기, 댓불 피우기, 화재 막기, 찬물 마시기, 무 먹기, 두부 먹기, 김쌈 먹기, 찰밥 얻어먹기, 더위팔기, 소밥주기, 매운 음식 먹지 않기, 찬 음식 먹기, 개보름쇠기, 다리 놓기 등의 세시 풍속이 전하고 있다.

[절차]

1. 차례

대보름날 아침에 각 가정에서는 차례를 지낸다. 조상 상은 물론이고, 여러 가정 신에 대해 따로 상을 차린다. 이날은 특히 외양간이나 곳간 등에도 상을 차린다. 성주 상을 차릴 때는 오곡밥과 고사리, 토란대, 무나물, 호박, 버섯 등의 나물을 올린다. 국물이 자작한 진나물을 마련하기 때문에 국은 따로 끓이지 않는다.

2. 오곡밥

대보름에 여러 가지 곡식을 넣어 잡곡밥을 지어 먹는데, 주로 곡식의 총칭인 오곡이라는 말을 써서 오곡밥이라고 한다. 이는 오곡이 풍성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시작된 것이다. 오곡으로는 콩, 수수, 보리, 쌀, 찹쌀, 팥 등을 넣는다. 이때 꼭 다섯 가지를 맞추지는 않지만 잡곡을 넣을 때는 홀수로 넣는다. 그리고 대보름날 세 집 이상의 타성받이 집의 오곡밥을 얻어먹으면 무병하다는 속신이 전하는 까닭에 아이들은 이날 바가지를 들고 일부러 오곡밥을 얻어먹으러 남의 집을 돌기도 한다. 또한 오곡밥을 먹을 때는 먼저 김에 밥을 싸서 먹는다.

3. 진나물

대보름은 나물을 먹는 명절로 고사리, 토란대, 무나물, 호박고지, 버섯 등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나물을 모두 장만한다. 보름에는 국을 끓이지 않는 대신 나물을 준비할 때 진나물을 만들어 국물을 떠먹는다. 진나물은 나물의 물기를 짜서 양념한 다음, 물을 붓고 끓이다가 들깨가루와 쌀가루를 넣어 자작하게 만든 것이다.

4. 부럼과 더위팔기

대보름 새벽에 부스럼 나지 말고 이가 튼튼하라고 부럼으로 무를 깨물어 먹고, 설에 쓰고 남은 술로 귀밝이술을 마신다. 그리고 아이들에게 여름에 더위 타지 말라고 시원한 물을 먹이며, 식은 음식도 데우지 않고 차게 먹인다. 대보름날 아침에 더위팔기를 한다. 밖에 나가 친구를 불러 대답을 하면 “내 더우”하고 파는 것이다. 그런데 더위 파는 것을 눈치 챈 친구가 대답 대신에 “니 더우”하면서 오리혀 더위를 되팔기도 한다.

5. 달점치기

보름달을 보고 달점을 치기도 한다. 보름날 아침에 날이 훤히 샌 다음에 달이 지면 그 해 흉년이 들고, 날이 새기 전에 달이 지면 풍년이 든다고 한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대보름에는 벌레에 물린 것처럼 울긋불긋하게 살성난다고 하여 음식을 만들 때 고춧가루를 넣지 않는다. 보름에는 매운 음식을 먹지 않는 것이다. 보름날 아침에 소에게 밥과 나물을 키에 담아 주고 무엇을 먼저 먹는가를 보아 1년 농사의 풍흉을 점친다. 소가 밥을 먼저 먹으면 그 해에는 풍년이 들고, 나물을 먼저 먹으면 흉년이 든다고 한다.

또한 대보름날에는 불싸움, 지하밟기, 강강술래, 널뛰기 등을 한다. 불싸움은 깡통에 숯을 담고 불을 붙여서 액막이한다고 논두렁에 불을 지르고 다니는 것으로, 나이 수대로 불을 지른다. 지하밟기는 여자 아이들의 놀이로, 사람이 엎드려서 다리를 만들면 등을 밟고 지나가는 놀이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