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201697 |
---|---|
한자 | 禁忌語 |
영어음역 | Geumgieo |
영어의미역 | Taboo Word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경상북도 김천시 |
집필자 | 김기현 |
[정의]
경상북도 김천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피하거나 금기시 되는 말과 행동.
[개설]
금기어는 사람의 어떠한 행위나 언사가 자신 및 타인에게 나쁜 해가 미치는 것을 막기 위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언어나 행동을 표현한 말이다. 금기어의 구조는 대개 ‘~하지 마라’, ‘~하면 ~나쁘다’로 이루어진 금지형이다. 대부분이 “무엇 무엇을 하면 무엇이 나쁘다.”처럼 두 소절로 된 말로써 부정적인 뜻이 있다. 이런 금기어는 인간 생활에 있어 경계와 주의를 주어 어떠한 행동과 말을 하지 못하게 하는 사회적 행동 양식과 깊은 관련이 있다.
금기는 인간의 모든 생활 주변과 사회 구조 속에 번지고 뿌리 박혀 하나의 속신·속설로 정립되었다. 이런 금기는 인간 행동의 규칙으로 존재하며, 그것을 위반했을 때는 나와 남에게 함께 해가 미친다는 의식과 결부되어 속신·속설 등으로 끈기 있게 전승·잔존·유포되고 있다. 그 이유는 금기를 범하면 신령의 노여움으로 즉시 벌이나 재앙을 받게 된다는 주술적 신앙의 마력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금기어는 과학적인 인과 관계에 의하여 설정되었다기보다는 관습적인 측면에서 설정된 것이다. 금기어는 대부분 지역적 특성에 의해 형성되기보다는 민족 공동체적 측면에서 이루어지므로 주로 전국적으로 쓰이는 것들이 많다. 그만큼 보편적인 생활 의식 속에 자리 잡고 있음을 뜻한다.
[사례]
김천 지역의 금기어를 일부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 밤에 손톱을 깎지 마라.
- 고사 지낸 다음에 방을 쓸지 마라.
- 자는 사람 머리 위를 타 넘어 가지 마라.
- 남의 집에서 손톱을 깎지 마라.
- 메주 쑤는 날 콩을 먹으면 안 된다.
- 발을 밟히면 재수가 없다.
- 베개를 세워 두지 마라.
- 아이 뱄을 때 토끼 고기를 먹지 마라.
- 여자가 남자를 타 넘으면 안 된다.
- 잠을 잘 때 북쪽으로 머리를 두지 마라.
[현황]
금기어는 오랜 세월 동안 민중들이 경험을 통해 삶에서 금하고 싶은 일들을 표현한 말이다. 따라서 전통 사회에서 행해지던 금기어들은 농경 문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지고 사용된 것들이므로 근대화가 이루어진 오늘날에는 이러한 금기어의 사용이 점차 사라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의의와 평가]
금기어는 문화적인 산물로서 그 지역의 역사적인 조건이나 지리적 환경 그리고 인문학적·사회학적 배경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금기어는 이를 향유·전승하는 사회 구성원의 사고방식을 살피는 데에도 좋은 자료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김천 지역의 금기어는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으며, 금기어의 전승과 보존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