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302365 |
---|---|
한자 | -膾 |
영어공식명칭 | Sliced raw angler |
영어음역 | agwihoe |
영어의미역 | raw anglerfish |
이칭/별칭 | 아귀회,물텀벙회,아쿠회,아꾸회,악귀회 |
분야 | 생활·민속/생활 |
유형 | 음식물/음식물 |
지역 | 강원도 강릉시 |
집필자 | 황재희 |
[정의]
강릉의 아귀회는 아귀를 저며 썰어 회로 만든 음식.
[개설]
아귀는 아귀과에 속하고 흔히 아구라고 부르지만 표준말은 아귀이다. 아귀는 몸과 머리는 납작하며 특히 머리가 비대하고 입이 크며 양쪽에는 이빨이 나 있으며 아래턱과 머리의 배 쪽 테두리를 따라 수십 개의 수염 모양의 돌기가 나 있다. 몸길이는 약 100㎝이며 수심 55~150m에서 주로 서식한다. 주로 어류와 오징어류 등을 잡아먹는데 보통 위턱의 유인장치를 이용하여 먹이를 잡는다.
[명칭유래]
아귀는 볼품없고 흉측한 형태의 못생긴 물고기라고 하여 악마고기(devil fish)라고도 한다. 어부들은 아귀가 그물에 잡히면 못생겨서 재수 없다 여겨 바로 버리거나 거름으로만 썼다. 물에 잡히면 바로 버렸다고 해서 물텀벙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만드는 법]
아귀의 지느러미와 뼈를 제거하고 살만을 도독하게 저며서 접시에 담고 초고추장과 고추냉이간장을 곁들인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황]
아귀는 예전에는 거름이나 사료용으로 쌓아 두기도 하였으며 쓸모없는 고기라고 놓아주기도 하였으나 서민들은 국 등으로 조리하여 먹어온 어종이다. 그러나 아귀찜 덕분에 1980년대에 와서부터 푸대접을 받던 아귀가 고단백 식품으로 알려지면서 고급 어종인 복어에 상응할 정도로 대접받는 물고기로 부상하게 되었다.
[용도]
아귀는 생아귀, 냉동아귀, 훈제아귀, 아귀맑은국, 아귀매운탕, 아귀수육, 아귀조림, 아귀전골, 아귀튀김, 아귀내장찜 등의 재료로 이용된다. 강릉 지역의 아귀회는 밥반찬이나 술안주로 이용된다.
[효능]
아귀는 지질함량이 적고 단백질, 인, 철분 등이 적당히 함유되어 있으며 비타민 A가 풍부하게 들어 있다. 간에는 30%의 지질이 들어 있어 독특한 맛이 난다.
[현황]
강릉 지역에서 산출되는 아귀는 3~4월경에 산란하고 겨울에 제일 맛이 좋다. 아귀의 크기는 1~20kg으로 다양하지만 7~8kg 정도의 것이 맛이 있고 가격도 비싸다. 가장 맛있는 것은 참아귀이며 황아귀(yellow goose fish)라고도 부른다. 아귀는 고기뿐만 아니라 아가미, 간, 꼬리지느러미, 난소, 위, 껍질 모두를 먹을 수 있다. 강릉의 금진항 일대의 횟집에서는 살아 있는 아귀로 회를 떠서 손님들에게 제공하며 매우 귀하고 인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