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0374 |
---|---|
한자 | 達句伐大路 |
영어공식명칭 | Dalgubul Street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대구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유태윤 |
전구간 | 달구벌대로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수성구 사월동 |
---|---|
해당 지역 경유 구간 | 달구벌대로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수성구 사월동![]() |
성격 | 도로 |
길이 | 33.58㎞ |
차선 | 왕복 4~10차선 |
폭 | 40m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에서 수성구 사월동을 연결하는 도로.
달구벌대로(達句伐大路)는 대구 도심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대구 지역의 대표 광역도로이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하산리에서 동곡교차로, 강창교, 신당네거리, 성서네거리, 죽전네거리, 두류네거리, 신남네거리, 반월당사거리, 수성교, 범어네거리, 만촌네거리, 연호네거리, 신매네거리를 지나 수성구 사월동 중산삼거리까지 이어지는 도로이다.
대구의 옛 지명인 달구벌에서 유래되었고, 2010년 3월 22일 고시되어 ‘달구벌대로’로 명명되었다.
직선상의 도로로 총연장은 33.58㎞, 폭은 대부분 약 40m이며 차선은 왕복 4~10차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달성군 지역에서는 대부분 왕복 4차선으로 구성되어 있고, 달서구부터 대부분 왕복 10차선이 나타난다. 운행 최대 제한 속도는 시간당 60~70㎞이다.
달구벌대로는 대구 도심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광역도로로 대구의 가장 서쪽인 달성군 하빈면과 다사읍, 달서구, 중구, 서구, 수성구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개설되었다. 반월당네거리를 중심으로 동편은 대동로, 서편은 대서로로 불렸으나 달구벌대로로 통합되었다.
대구도시철도 2호선이 함께 길게 달리고 있는 달구벌대로는 대구 교통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달구벌대로 주변에는 대구광역시교육청, 계명대학교 등의 교육기관과 청라언덕, 모명재와 김광석다시그리기길 등 다양한 명소가 있어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달구벌대로는 두류네거리에서 성서IC까지, 담티고개에서 수성교까지 버스전용차로가 적용되고 있다.
두류네거리와 성서IC 구간 광장코아 앞의 2019년 8시간 통행량은 양뱡향 4만 5172대이고, 성서IC에서 두류네거리 방향이 176대 더 많이 지나고 있다. 담티고개와 수성교 구간 수성구청 앞의 2019년 8시간 통행량은 양뱡향 4만 5392대이고, 담티고개에서 수성교까지 방향이 420대 더 많이 지나고 있다. 다른 도로에 비하여 승용차의 교통량이 매우 많은 도로이다. 광장코아 앞의 교통량은 전년 대비 14.15%가 증가하였고, 수성구청 앞의 교통량은 전년 대비 6.37% 감소하였다. 달구벌대로 중 성서와 경산의 19㎞ 구간에서 2019년 기준 승용차 평균 통행 속도는 시간당 34.6㎞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