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2368 |
---|---|
한자 | 全春年 |
영어공식명칭 | Jeon Chunnyeon |
이칭/별칭 | 화서(和瑞),엄약재(儼若齋)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구본욱 |
출생 시기/일시 | 1552년 12월 25일![]() |
---|---|
활동 시기/일시 | 1588년 - 전춘년 진사시 합격 |
몰년 시기/일시 | 1592년 3월 29일![]() |
출생지 | 전춘년 출생지 -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
![]() |
거주|이주지 | 전춘년 거주지 -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
![]() |
수학|강학지 | 계동정사 -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로2안길 6-25
![]() |
수학|강학지 | 연경서원 -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
![]() |
묘소|단소 | 전춘년 묘소 -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
![]() |
성격 | 학자 |
성별 | 남성 |
본관 | 옥산(玉山) |
조선 후기 대구 출신의 학자.
전춘년(全春年)[1552~1592]의 본관은 옥산(玉山)이며, 자는 화서(和瑞), 호는 엄약재(儼若齋)이다. 할아버지는 전린(全璘)이고, 아버지는 진사 전윤창(全胤昌)이다. 부인은 주부(主簿) 서덕겸(徐德謙)의 딸 달성서씨(達城徐氏)이고, 동생은 전연년(全延年)이다. 아들 전이생(全以生)은 임진왜란 때 실종되었으며, 사위는 동지중추부사 겸 오위장 정신도(鄭信道)이다.
전춘년은 1552년(명종 7) 12월 25일 현재의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에서 태어났다. 열다섯 살 때 계동(溪東) 전경창(全慶昌)의 계동정사(溪東精舍)에 들어가 공부하였다. 1588년(선조 21) 37세에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1588년 10월 4일에 대구부사 권문해(權文海)가 연경서원(硏經書院)을 방문하여 유생들에게 시(詩)와 부(賦)를 짓게 하였다. 권문해가 방문할 때 전춘년은 서사원(徐思遠)과 함께 부사를 맞이하였다. 1592년(선조 25) 3월 29일 사망하였다.
전춘년의 저술로는 스승 전경창에게 올린 만사(挽詞)와 제문(祭文)이 전한다.
전춘년의 묘소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에 있다. 묘갈명은 1666년(현종 7) 3월 2일 외손자인 부사(府使) 정승명(鄭承明)이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