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0489 |
---|---|
한자 | 梅川大橋 |
영어공식명칭 | Maecheondae Bridge |
이칭/별칭 | 제2팔달교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대구광역시 북구 팔달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후은 |
준공 시기/일시 | 2003년 4월 23일![]() |
---|---|
전구간 | 매천대교 - 대구광역시 북구 팔달동 |
해당 지역 경유 구간 | 매천대교 -
대구광역시 북구 팔달동
![]() |
성격 | 교량 |
길이 | 792.5m[총길이] |
차선 | 왕복 6차선 |
폭 | 30m[총폭]|30m[유효폭] |
대구광역시 북구 관문동과 서구 비산동을 연결하는 교량.
매천대교(梅川大橋)는 금호강을 가로질러 대구광역시 북구 관문동[칠곡 지역]과 비산동[도심 지역]을 연결하는 왕복 6차선의 교량이다. 2003년 4월 23일 준공되었다.
교량이 위치한 매천로에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매천대교는 총길이 792.5m, 총폭 30m, 유효폭 30m, 높이 10m, 경간수 17개, 최대 경간장 55m의 교량이며, 상부구조 형식은 강상자형교, 하부구조 형식은 라멘식이다.
대구 칠곡 지역과 도심을 잇는 팔달교의 교통 분산을 위하여 건설되어 ‘제2팔달교’라고도 불린다.
2002년 준공 이전에 매천대교 통행료가 당초 유료화에서 무료화로 변경되었다.
매천대교는 북구 태전동의 태전고가교 교차로로 이어지는 매천로의 교량이며, 팔달교와 함께 대구 칠곡 지역과 도심을 연결한다. 대구시는 2020년 1월 ‘밤이 아름다운 대구 만들기’ 첫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경부고속도로에서 대구로 진입하는 관문인 매천대교와 금호강 수변에 야간 경관을 조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