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202183 |
---|---|
한자 | 工藝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북도 청주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홍순영 |
[정의]
충청북도 청주 지역에서 실용적인 물건에 본래의 기능을 살리면서 조형미를 조화시키는 예술 분야.
[개설]
공예는 주로 재료에 따라 구분되는데, 흙을 이용한 도자 공예, 섬유를 이용한 섬유 공예, 금속을 이용한 금속 공예, 유리를 이용한 유리 공예, 나무를 이용한 목공예 등이 대표적인 공예 분야이다. 청주 지역의 공예는 고대 유적지에서 발굴되는 다양한 유물로 알 수 있듯이 전통이 매우 오래되었고, 일반 생활용품·장식품·신앙물·시설물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제작되었다. 이러한 공예의 전통과 역사는 현재 문화 도시 청주를 이룩하는 기반이 되었다.
[역사 속 청주 공예]
청주 지역의 신석기 시대 유적으로는 상당산성(上黨山城) 남문 밖, 사천동 재너머들, 쌍청리와 봉명동 유적 등이 있고, 청동기 유적으로는 흥덕구 내곡동과 향정동, 강내면 황탄리, 내수읍 내수리, 북이면 화상리 유적 등이 있다. 청동기 유적지에서는 다양한 토기와 석기 등이 출토되어 청동기 시대의 생활상과 청주 지역 공예가 가진 특별한 아름다움을 엿볼 수 있다.
6세기 중엽 이후에 청주 비중리 석조삼존불좌상(淸州 飛中里 石造三尊佛坐像)과 같은 작품이 등장하고, 통일 신라 시대 청주 탑동 오층석탑(淸州 塔洞 五層石塔), 고려 시대 청주 계산리 오층석탑(淸州 桂山里 五層石塔), 청주 보살사 오층석탑(淸州 菩薩寺 五層石塔), 청주 백족사 삼층석탑(淸州 白足寺 三層石塔) 등이 등장하게 된다. 특히 고려 시대 청주 지역은 높은 수준의 인쇄·출판 문화를 갖고 있었는데,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금속 활자본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의 인출지가 청주라는 사실만으로도 청주 지역의 고인쇄(古印刷) 출판 문화를 알 수 있다.
청주 용암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淸州 龍岩寺 石造毘蘆舍那佛坐像)은 청주대학교 내 용암사에 있었는데, 광배는 없고 대좌와 불신만이 남아 있는 통일 신라 후기의 전형적인 비로자나불(毘盧遮羅佛)이다. 9세기 말 내지 10세기 초 전형적인 석불 좌상 양식을 보여 주는 작품으로 평가되며 현재 청주대학교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우암사지(牛岩寺址) 또는 은덕사지(恩德寺址)라고도 불리는 고려 시대 절터 청주 흥덕사지(淸州 興泉寺址)에서 1970년 청자 그릇 1점과 동종 1점, 쇠방울 등이 출토되었다. 동종은 국립청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데, 음통을 감싼 용의 갈기와 비늘이 매우 선명하게 조각되어 있으며, 들어 올린 발의 여의주를 섬세하게 조각하여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다. 국보로 지정된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淸州 龍頭寺址 鐵幢竿)은 고려 시대 조성된 것으로서 현재 전국의 철당간 가운데 유일하게 조성 연대가 명확하다. 특히 밑받침돌과 두 기둥이 온전히 남아 예전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어, 당간이 남아 있는 경우가 드문 우리 문화재 현실에 비추어 볼 때 귀중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청주 노계산의 대청댐 수몰 지역 내 ‘박장군 묘(朴將軍 墓)’라고 알려진 무연고 분묘에서는 17세기 초 유물로 판단되는 생활 복식 공예품이 다수 출토되었다. 출토된 유물은 단령, 중치막, 장옷, 방령의, 도포, 바지 등이며, 조선 시대 복식 생활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내수읍 초정리에서 출토된 청원 구례손씨 묘 출토유물(淸原 求禮孫氏 墓 出土遺物) 역시 17세기 조선 시대의 생활 복식 공예를 이해하는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현황]
1962년 생긴 한국미술협회 충청북도지회는 1978년 한국미술협회 청주지부로 개칭되는데, 공예 분과를 포함한 6개의 분과 위원회를 두었다. 2004년 생긴 한국미술협회 청원지부 역시 공예를 포함한 6개 분과를 두었으며, 2014년 청주·청원 통합에 따라 통합 청주시지부가 되어 현재 회원전, 아트페어&페스티벌, 미술 실기 대회 등을 운영하고 있다.
1981년 청주대학교에 총 정원 50명으로 공예과가 신설되면서 청주 지역 현대 공예가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공예과 신설을 계기로 지역 공예의 명맥을 이어 가고 신진 공예 작가를 배출시키는 전기가 마련되었으며, 1997년에는 공예디자인학과로 명칭을 변경하여 디자인 경쟁력을 더욱 높여 나갔다.
1987년에는 충북공예가회가 창립되어 청주를 중심으로 활발히 작품 전시회를 개최하였고, 청주대학교 공예과 졸업생으로 구성된 토화전, 청염전, 충북도예가회 등이 청주 공예 발전에 힘을 더하였다. 1999년에는 격년으로 열리는 세계적인 공예인들의 축제인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가 개최되어 청주가 세계 속의 공예 도시로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고, 2001년에는 전국 최초로 한국공예관이 설립되어 한국을 대표하는 공예의 장으로서 전시, 교육, 아카이브 구축 등을 전문화하였다. 2001년 설립된 청주시문화산업진흥재단은 공예 문화 예술의 확산과 진흥을 목적으로 청주공예비엔날레, 전통공예페스티벌, 한국공예관 등의 사업을 운영하며 지역 사회와 지역민의 문화 예술적 성장을 도모하였다.
한편 청주시에서는 전통 공예 문화 산업의 경쟁력을 한층 높이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전통공예촌 복합문화산업단지의 조성을 추진하여 2025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